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아이를 위한 책만 사는 엄마들

책책책 조회수 : 3,234
작성일 : 2012-09-22 22:00:49

저 어릴땐 ( 30대 후반 ) 이정도는 아니었던것 같은데 요즘 엄마들은 아이들 책읽히기에 굉장히 열심히더라고요

저는 결혼을 늦게해서 아이가 아직 어려요. 그래서 그냥 책 몇권 사주고 있는책 계속 반복해서 읽히고

지겨워질때쯤이면 또 서점에 데려가서 꼼꼼히 제가 먼저 읽어보고 리뷰보고 한두권씩 사주거든요.

전집도, 제 경험에 비춰봤을때.. 막상 몇십권 들여놓으면 흥미가 떨어져서 들춰보지도 않았었어요..

낱권으로 사주었던 책들이 더 감질맛(?) 나고 재밌었던 기억이 있어서.. 아이 책도 그렇게 고르고 있어요.

 

그런데 동네 엄마들이 우리집 오더니.. 책장의 책을 보더니 완전 비웃습니다 ;;

책좀 사주라네요. 그리고 책장에 꽂힌 제 책을 보더니.. 아이고 @@ 엄마는 자기 책 사느라고 아이책은 뒷전인거야? 하네요..

 

저도 책 욕심이 많아서 한달에 몇권씩은 아이책 구매하며 같이 사서 읽거든요.

그리고, 아이에게 책을 읽으라 말하고 책을 사주는것도 중요하지만.

그냥 제가 먼저 모범을 보이면 언젠간 아이도 따라와줄거라 믿어요.

 

저희 엄마도 한번도 저에게 책읽으라 말한적 없으시지만

전 엄마가 책을 재밌게 읽는 모습을 보고 책을 잡았거든요

중고등학교 가서는 엄마가 본인이 읽은책을 추천해주시기도 하고요..

 

그런데.. 요즘 엄마들은, 아이들 책은 정말 열정적으로 사면서,

자기 책은 정작 단 한권도 사질 않네요.

 

물론 안그런 엄마들도 많지만,

제 주변 엄마들은 자기 책을 사는 엄마들이 정말 단 한명도 없어요..

 

아이가 책을 읽어야 한다는게 중요하다는걸 아는데..

왜 자신은 읽지 않는걸까요?

IP : 118.91.xxx.39
8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전문가
    '12.9.22 10:03 PM (58.236.xxx.74)

    이보연쌤말로는 평생 읽을 책의 절반을 6세 미만에 다 읽힌다 하더군요.
    책 읽히기가 입시대비하는 트렌드가 아니라,
    가족문화로 자리잡으려면 좀더 시간이 걸리겠죠.

  • 2.
    '12.9.22 10:04 PM (58.226.xxx.176)

    요즘 애들 책은 많이 읽어 머리에 지식은 많은데
    그걸 잘 못써먹는데요

    밖에서 활동도 아무경험도 안쌓고 요즘은 책읽기에만 급급한 교육이라 더 문제가 많다고 하더만요..

    그런 사람들은 패스 하세요...
    제 주변에 집안에 책 별로 없어도..
    도서관에서 애들 책 많이 보고 읽고..
    애들도 똑똑하고 바르고 괜찮아요...

  • 3. nm
    '12.9.22 10:07 PM (115.126.xxx.115)

    울 집이 그랬어요
    학교들어가기 전에 한글 떼고
    만화방에 가서 사니
    엄마가..50권짜리 세계문학전집을 비롯해서
    100권이 넘는 온갖 책들...중학교 들어갈 땐 또 100권짜리
    세계문학전집....그나마 나나 읽었지
    동생 셋은 정말,,,,장담하건대...단 5권도 읽지 않았다는 거...

  • 4. 아예
    '12.9.22 10:08 PM (58.236.xxx.74)

    경제학 책에 나와요, 엄마 자신이 책을 좋아하는 아이들이
    엄마가 책을 많이 읽어주는 아이들을 능가하는 성취를 한다고요.

    엄마 자신이 책을 읽지 않는 이유는.....워낙에 우리 자체가 에너지와 흥이 많은 민족이라,
    조용히 책읽고 사색하는 것보다는 에너지 발산하고 우르르 어울려 다니는걸 더 좋아해서가 아닐까요 ^^

  • 5. 그냥 님 주변에
    '12.9.22 10:10 PM (1.251.xxx.194)

    그런 엄마들이 없는것뿐
    제 주변에엄마들은 책 많이 읽어요...

  • 6. Yeats
    '12.9.22 10:26 PM (116.127.xxx.74)

    저도 아기책도 좀 사주는 편이고 저도 육아서 나오는거 거의 사서 읽으려는 편이에요.. 근데 점점 책이 쌓여가니 이젠 빌려 읽어야 겠다는 다짐중ㅠㅠ 책 놓을곳이 없어져 가요 ㅠㅠ 아기책도 어른책도 ㅠㅠ

  • 7.
    '12.9.22 10:42 PM (211.219.xxx.200)

    40이전에 모았다면 40이후는 버리는 삶이라고 수요기획에 나온 김기덕 감독님이 그리 말씀하셨죠
    전 제책 아이책 누구보다 열성적으로 사들였던 사람인데요 집안이 온통 책으로 둘러싸여있죠
    물론 그래서 둘째가 책벌레이긴해요 첫째는 강제로 겨우겨우 읽는 수준
    근데 이제 그게 짐스럽게 느껴집니다.좀 숨막히는것 같은 느낌도 있어요
    도서관에 가면 좋은책 새로운책 수두룩하니 빌려읽히면 되구요
    하나둘 책장 정리중이에요 팔건 팔고 줄껀 주고 그렇게요

  • 8. 그런
    '12.9.22 11:36 PM (112.149.xxx.61)

    원글님이 말씀하신 그런 엄마들이 많긴해요
    정말 거실이고 방이고
    책장 짜넣어서 책 시리즈로 다 채워 넣어놓고는...애들 안읽어요
    얘기 해 보면
    엄마는 책은 당연히 안보고 신문조차 구독하지 않더라구요..뉴스도 안봐요
    뭐 신문 구독안하고 인터넷 뉴스 볼수 있지만 그런거 같지도 않고
    엄마들 모여서 교육정보 얻는다고 여기저기 많이 다니긴 하던데..
    그게 무슨 의미가 있는지...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72958 역사책 추천 좀 해주세요 (아이들용 말구요) 3 레이첼 2012/10/29 825
172957 집에서 며칠동안 간장 달이면 집 엉망될까요? 1 000 2012/10/29 1,036
172956 클래식기타? 통기타? 우크렐레? 뭘 해 볼까요 5 추천좀 2012/10/29 2,173
172955 스킨답서스 좀 살려주세요 2 누가우리집 2012/10/29 989
172954 진중권 vs 간결 토론 핵심 부분 (29분 15초 이후) 프러시안블루.. 2012/10/29 1,081
172953 대형학원-교습소로 방향을 바꾸었는데'- 영어 2012/10/29 1,065
172952 휴대폰 바꿨는데 의무통화란게 있네요... 6 헐.. 2012/10/29 3,618
172951 응가와의 전쟁입니다. 6살 5 전쟁 2012/10/29 1,847
172950 돌솥을 이용하시는 분께 질문드려요 4 돌솥 2012/10/29 1,424
172949 남편이나 남친이 바람피울꺼대비해서 8 화이트스카이.. 2012/10/29 2,658
172948 우리집 강아지 얘기입니다^^ 5 귀여워 2012/10/29 1,518
172947 김성주 난 영계가 좋더라 발언 논란 9 ... 2012/10/29 2,896
172946 여러분도 요즘 살거 많으세요? 4 ... 2012/10/29 1,249
172945 폴더폰과 탭,이렇게 사 줄까요? 1 중학생 2012/10/29 766
172944 진중권 토론의 백미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5 진쌤 2012/10/29 2,443
172943 바람 잘 피는 남자들이요~~ 6 몰라요 2012/10/29 2,611
172942 초4학년 이번에 필리핀 가는데요 전자사전필요할까요 3 울아들 2012/10/29 1,109
172941 여행지에서 음담패설하던 아저씨!!! 2 당신만이 2012/10/29 1,281
172940 아기 키우면서 효율적인 돈쓰기가 있을까요? 10 선배님들 도.. 2012/10/29 1,878
172939 잊혀질만하면 나오는 싸이의 강남스타일 패러디, 이번엔 MIT공대.. 10 규민마암 2012/10/29 2,079
172938 sc은행은 어느정도급의 은행인가요? 6 예금 2012/10/29 1,939
172937 비싼 과외는 확실히 그 값을 할까요? 5 교육비 부담.. 2012/10/29 2,102
172936 女 초등생 "집단 따돌림 당했다"며 자살 시도.. 5 샬랄라 2012/10/29 3,412
172935 무릎위로 오는 롱코트 158센치 정도의 키에도 어울릴까요? 9 겨울채비 2012/10/29 3,386
172934 과탄산소다로 세탁시 부작용 경험해 보신 분 있으세요? 2 친환경 2012/10/29 15,0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