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을 읽을때 글자를 읽나요 아님 글을 보면서 그림을 그리나요?
1. 저는
'12.9.22 5:53 PM (124.63.xxx.9)보통 책을 읽다보면 글자를 읽으면서 같이 그림이 펼쳐져요.
그렇다고 원글님 아이처럼 빠르게 보여지진 않고요.
물론 애들 책은 문구가 많지 않아서 그럴 수도 있겠지만요.
근데 대부분
책 글자 읽으면서 그림이 같이 그려지지 않나요?2. 저도
'12.9.22 5:56 PM (119.192.xxx.5)그래요..
읽는 속도 엄청 빠르고..
글자 하나하나를 보는게 아니라 슥 눈으로 훑으면 그 상황이 영화처럼 머리에 떠올라요..
제 아이들도 그렇다고 합니다..3. ---
'12.9.22 6:01 PM (175.125.xxx.63)저는 속독 잠깐 배운적 있는데요,
지금도 소설이나 잡지류는 한페이지를 한눈에 읽어요.
2~5초 정도?
당연히 회화적인 내용이라면 그림이나 영상도 함께 떠오릅니다.4. 근데
'12.9.22 6:02 PM (124.63.xxx.9)속독처럼 읽으면
내용이 잘 기억은 안나지 않나요?
책은 빨리 읽을 수 있지만 세세한 내용은 잘
기억하지 못한다고 하던데.5. ---
'12.9.22 6:04 PM (175.125.xxx.63)윗님, 전혀 그렇지 않아요.
내용이 기억이 안나면 읽은게 아니죠..;6. 근데
'12.9.22 6:07 PM (124.63.xxx.9)---님 제가 궁금한게
내용이 전혀 기억이 안난다는 게 아니라
천천히 읽어서 세세한 내용을 기억하는것과 달리
속독으로 읽으면 세세한 내용은 잘 기억하지 못하고
큰 틀?만 기억한다고 해서요.
전에 속독 관련해서 어디서 나온 얘기가 그렇더라고요.
그래서 궁금했어요.7. ---
'12.9.22 6:14 PM (175.125.xxx.63)특별히 어려운 책 아니라면, 전 페이지의 모든 문장, 어휘 다 기억납니다. 스토리는 물론이구요.
단순히 스토리 전개가 적힌 책이라도 좀 어려우면 문단 단위로 한눈에 읽습니다.
더 어렵거나 빨리 읽기가 아예 불가능한 책은 물론 한줄씩 읽구요.
속독으로 읽기 가장 편리한 문자는 한문이구요.(중국어)-문자 자체가 '읽는' 문자가 아니라 '보는' 문자라서요.8. 허
'12.9.22 6:48 PM (1.224.xxx.24)속독이 나중에 성적에는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치지 않나요?
어렸을적 부터 속독하는 버릇하며는 제대로 책을 못읽는다고 들었던거 같아요9. ---
'12.9.22 6:50 PM (175.125.xxx.63)공부하는 것과 별개입니다.
속독은 그냥 한가지 재주일 뿐, 버릇이 아니에요.
늘 속독으로 읽는 것도 전혀 아니구요.10. 음
'12.9.22 7:59 PM (188.22.xxx.223)아이가 머리가 비상하네요. 저런걸 포토르래픽 메모리라고 사진찍듯이 기억하는 능력이예요. 잘 키워보세요^^
11. 음
'12.9.22 7:59 PM (188.22.xxx.223)포토그래픽
12. ??
'12.9.22 8:12 PM (203.152.xxx.178)저도 그렇고, 저희 아이들도 그래요.
책 읽으면 동영상이 눈앞에서 막 펼쳐져요.
그렇지만 원글님 아이처럼 휘리릭 빨리 읽지는 않아요.
보통 읽는 속도.13.
'12.9.22 9:01 PM (123.228.xxx.128)책 빨리 읽는 것보다
깊이 생각하고 읽는 게 중요하죠.14. 우뇌형
'12.9.22 9:55 PM (221.145.xxx.245) - 삭제된댓글인가봐요..
전 정독하는데 속도는 느리지만 그림을 그리며 보죠.
저 예능쪽이구요.15. 음님
'12.9.22 10:42 PM (74.14.xxx.15)포토그래픽 메모리는 아녀요.
포토그래픽 메모리는 책이나 노트를 읽으면 그걸 직접적인 시각을 이용해 활자 그대로 기억하는 거예요. .
예를 들어 시험문제에 대한 답을 떠올릴때, 교과서 몇쪽 몇째줄에 있던 내용이었던걸 기억하고
머릿속에서 책을 펼쳐 답을 읽는 거죠.
제가 그래요.16. ㅇㅇ
'12.9.23 12:20 AM (125.177.xxx.135)저는 82하면서 속독 익혔어요 촤르륵 아 이거
17. 음
'12.9.23 5:15 AM (188.22.xxx.223)원글님 아들도 포토그래픽 메모리 맞아요.
18. ...
'12.9.23 7:19 AM (74.14.xxx.15)포토그래픽 메모리의 특징은 정보를 인식할 때 주관적인 해석을 곁들이지 않아요.
글자를 읽으면 글자 자체를, 그림을 보면 그림 자체를, 있는 그대로 사진찍듯이 기억하고요.
반면 원글님 아드님은 글자를 읽으면 자연적으로 이미지가 연상되고 그 주관적으로 전환된 이미지를 기억하는 경우죠.
반대에 가깝습니다.
번호 | 제목 | 작성자 | 날짜 | 조회 |
---|---|---|---|---|
159154 | 요즘 대학생들 노트북 들고다니나요? 4 | 노트북 | 2012/09/23 | 2,202 |
159153 | 시스템 드레스룸 ..어떤가요? 4 | .... | 2012/09/23 | 2,918 |
159152 | SBS 스페셜 보고계세요? 뉴욕에서 노숙하는 한국인 쌍둥이자매 .. 3 | ,,, | 2012/09/23 | 5,557 |
159151 | 의자놀이 읽어보신 분요.. 3 | 꼭! | 2012/09/23 | 1,913 |
159150 | 여자들의 셈법 (결혼시...) 23 | ㅁㄴㅇ | 2012/09/23 | 4,085 |
159149 | 갈비집 할아버지의 새사람론! 1 | 기분좋은 저.. | 2012/09/23 | 1,361 |
159148 | 집에 다녀온뒤 울었어요 8 | .... | 2012/09/23 | 3,870 |
159147 | 광고에 블루벨벳 노래가 나와서 2 | .. | 2012/09/23 | 1,245 |
159146 | 남편이 구조조정 당했다고 쓴 사람이에요. 12 | 속이 타 | 2012/09/23 | 5,415 |
159145 | 시어머니 없는 결혼식 시누이 의상 도움요 9 | 결혼식 | 2012/09/23 | 2,070 |
159144 | 외동인데 신랑이 둘째를 갖고 싶어하네요 2 | 행복한영혼 | 2012/09/23 | 1,821 |
159143 | 시판하는 동그랑땡중에서 괜찮은게 있으면 추천바랄께요.. 13 | 추석이코앞`.. | 2012/09/23 | 4,415 |
159142 | 해석좀요.. 5 | 김수진 | 2012/09/23 | 1,027 |
159141 | 여자들은 남자 외모 안보는줄 아는 남자들 15 | ... | 2012/09/23 | 8,616 |
159140 | 박근혜씨 내일 기자회견 과거사 사과키로 22 | 진홍주 | 2012/09/23 | 2,751 |
159139 | 분따 2 | 분따 | 2012/09/23 | 2,166 |
159138 | 우리남편은 첫사랑에 대한 환상이 없어요 2 | 첫사랑 | 2012/09/23 | 2,271 |
159137 | 내가 첫사랑이였을오빠 3 | 처음 | 2012/09/23 | 2,242 |
159136 | 박근혜의 집주인전세대출 안에 대해... 황당 그 자체 10 | 기막혀 | 2012/09/23 | 2,871 |
159135 | 내일 사과하는다는 박근혜후본임게. 2 | .. | 2012/09/23 | 1,529 |
159134 | 냉동실 8개월된 조기 먹어도 될까요? 12 | 냉장고정리 | 2012/09/23 | 4,749 |
159133 | 새댁인데요. 이거 서운해 할일 맞죠? 75 | ggg | 2012/09/23 | 21,396 |
159132 | 약 알러지 있는분 있으신가요? 8 | 여니 | 2012/09/23 | 6,452 |
159131 | 붕어찜을 먹었는데 뼈가 억세서 1 | ... | 2012/09/23 | 2,048 |
159130 | 원글은 내립니다. 28 | 고민 | 2012/09/23 | 4,5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