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아파트값이 영원히 폭락할 가능성 제로

감평사 조회수 : 3,383
작성일 : 2012-08-21 16:33:45

그냥 간단히 말씀드리면

싼매물은 이미 블루칩같은 경우에는 왠만함 낙찰되고..

양적완화에 따라 자산버블 만들 가능성도 높고..........

 

무엇보다도

금융권 부실때문에 배드뱅크 통해서 전월세 가격을 은행이 평가할겁니다.

지금 말나오는 배드뱅크가 뭐냐면

 

집주인의 소유권은 인정하되 집거래에 대해선 은행이 수익을 내는거지요

위탁관리시스템..

 

결국 집주인의 집을 은행이 매입하되 소유권은 인정하고

은행은 전월세 장사하고

집주인은 매월 원리금을 상환하는 방식..

 

전월세입자에게는 가격상승이

집주인에게는 원리금 폭탄을 잘게 나누어서

시간가치만큼  먹는것이지요.

 

결론은 은행권 공동화때문에

대안은 집값이 오르던지

아니면 전월세 상승시키던지

 

둘중 하나입니다

 

아마 당장 집값 안오르면

전월세 조정들어가겠지요.

 

그러다 은행 부실생기면?

세금퍼부음 됩니다.

 

집값 폭락어쩌고

이런 시나리오 닥치면

전월세입자들은 죽었다 생각하는것이 빠를것입니다.

 

은행은 냉정하게 가격 올릴테니까요.

IP : 220.70.xxx.68
7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조ㅈ같은
    '12.8.21 4:37 PM (121.162.xxx.111)

    정책이네요. 원글님 말대로라면.....

  • 2. 감평사
    '12.8.21 4:39 PM (220.70.xxx.68)

    금융권 공동화 막기위해서 어쩔 수 없어요.
    하우스푸어 자살보다
    금융권 물린 금액..이거 어마어마하거든요..

  • 3. ...
    '12.8.21 4:47 PM (61.74.xxx.243)

    집있는 사람들도, 은행 대출이 있으면, 그것도 월세나 마찬가지인듯.. 내집이 있는건 맞지만, 은행에 대출이자내는 동안은 월세내는 거나 같은 거 같아요. 집주인한테 주는 돈을 은행에 내는..

  • 4. 네네
    '12.8.21 4:52 PM (219.251.xxx.5)

    은행에 내나~집주인에게 내나~~

  • 5. ㅇㅇ
    '12.8.21 4:53 PM (203.152.xxx.218)

    그냥 희망사항일뿐인것 같아요.
    정말 집때문에 대출금에 목이 메는 사람들 입장에선
    이런 글이 더 얄미워요. 대책없이.. 누굴 바보로 아나;

  • 6. 전월세 상승세는 이미 시작
    '12.8.21 5:01 PM (119.64.xxx.89)

    배드뱅큰지 뭔지 그거 시행안해도 이미 집값 떨어지기 시작하던 해부터 전월세 인상은 빠른속도로 진행되고 있는 거 같아요.
    이번에 전세 재계약하면서 문득 깨달은게 집값이 빠지는 속도가 가팔라질수록 전월세 상승폭도 똑같이 가파르게 올라갔단 사실을 발견했네요.
    지금 3번째 재계약인데 1500인상-2500인상-올해 무려 4500 인상했네요.
    아마 집값이 더 떨어질수록 전월세 상승폭은 올라가고 제일 문제는 전세가 점점 없어질 거에요.
    울동네도 올전세 내놨더니 여기저기 부동산서 전화 빗발치더군요.
    가격도 가격이지만 전세매물 자체가 희소해진다는게 더 심각한 문제..
    뭐 배드뱅큰지 뭔지 진짜 시행되면 정말 월세화가 급속도로 진행되겠군요.
    외국까지 안가도 사실 집값 그간 정체됐던 지방은 이미 예전부터 월세지 전세매물 거의 없었어요.
    서울 수도권도 이제부터 시작되는 거죠.

  • 7.
    '12.8.21 5:51 PM (87.152.xxx.76)

    배드뱅크가 과연 현재의 한국법&상대적인 고금리&아주 싼 월세가격 등등을 봤을 때 가능한 물건인 지는 모르겠지만

    장기적으로는 어떤 과정을 통해서건

    전세는 없어지고 보통들 월세 살이 하다가 은퇴하기 직전에 그간 모은 돈으로 들어가 죽을 집 사서 역모기지 물려놓고 일부 유동화 시키는 구조가 되겠죠.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47058 저도 어렸을때 홍수 생각이 나네요. 1 추억 2012/08/27 1,052
147057 독일사시는 분!!! 쇼핑하려는데.... 3 독일 2012/08/27 1,377
147056 클났어요 낼 택배 픽업하는데 7 볼라벤 무섭.. 2012/08/27 1,987
147055 이혼하면 4살 아이에겐 뭐라고 말해야 될까요? 1 이맛 2012/08/27 1,597
147054 신문지가 자꾸 떨어져요 3 해바라기 2012/08/27 2,538
147053 요즘 심심해서 핸드폰 게임해요 :) 고구맛탕 2012/08/27 818
147052 확장한 거실의 경우 신문지를... 고민중 2012/08/27 1,102
147051 신문지대신 비닐이나 뽁뽁이는 어떨까요? 3 mika 2012/08/27 1,437
147050 테풍이 올까요? 3 정말로 2012/08/27 1,884
147049 근데 114.30.xxx.99님은 왜 그렇게 연하남에 집착하나요.. 3 ,,, 2012/08/27 1,782
147048 지난. 루사 때 실제 피해를 봤었어요. 9 실제 피해자.. 2012/08/27 5,570
147047 내일 출근하시는 분들, 지하철이 제일 안전? sss 2012/08/27 1,101
147046 기차로 대구 대구 2012/08/27 883
147045 새아파트에 입주할때 청소전문업체 불러 청소 꼭해야될까요? 7 새아파트 2012/08/27 1,674
147044 예쁜여자피곤할꺼같아요 11 쵸코맛우유 2012/08/27 11,890
147043 내일 애들끼리 있어도 괜찮겠죠? 4 딸기맘 2012/08/27 1,570
147042 좀 세련된? 괜찮은 욕실화는 없나요? 2 욕실화 2012/08/27 1,830
147041 태풍대비 일반주택은 어쩌시나요? ... 2012/08/27 1,126
147040 생리때 팔도 아픈가요? 생리? 2012/08/27 832
147039 지금 관리실에서 방송했네요 3 yaani 2012/08/27 3,456
147038 보험 들지 말라는 나꼼수의 내용이 뭔가요? 궁금해요 2 ㅇㅇ 2012/08/27 2,748
147037 냉동실 용기로 구입하려고 하는데 어떨까요? 냉동실 용기.. 2012/08/27 823
147036 태풍대비 질문이요~! 거울 1 해피해피 2012/08/27 989
147035 부산 휴원, 휴교 연락 받으신 분 계세요? 12 태풍때문에 2012/08/27 2,340
147034 토익 공부 처음입니다. 조언 부탁드려요.. 7 토익초보,,.. 2012/08/27 1,6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