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홍명보 감독에 대한 아른한 추억....

새벽에 축구를 보니 조회수 : 1,791
작성일 : 2012-08-06 11:50:42

일요일 새벽 한국 올림픽 축구 대표팀이 사상 처음으로 4강에 진출했었죠^^ 그것도 개최국인 영국을 꺽고, 축구 종가라고 자만하던 영국을 홈에서 이겨서 더 큰 의미가 있는 경기였어요.

새벽에 그 경기를 보다가 승부차기에서 기성용이 마지막 골을 넣었을때.. 홍명보 감독의 웃는 모습을 보면서 10년전 한일월드컵에 진출했을때 그 밝았던 웃음도 떠올랐지만.. 정말 문득.. 갑자기.. 홍명보 감독의 국대 데뷔 시절이 생각 났답니다

 

제가 홍명보 감독의 모습을 가장 처음, 인상 깊게 본 것은 90년 이탈리아 월드컵때에요..

당시 홍명보 감독 정말 새내기^^ 고려대 3학년 재학 시절이었죠

(빠른 69년 생이니까 만으로 갓 스무살 넘길 때였을 거에요)

우리 나라 86년 월드컵 본선 때 32년만의 본선이라고 엄청 주목받으면서, 당시 차범근 감독이 합류한 것 만으로도 큰 이슈가 됬었죠. 우승후보였던 아르헨티나, 이탈리아, 불가리아와 한 조였는데 비록 1무 2패였지만 전혀 주눅들지 않고 인상적인 경기를 했었습니다.

그리고 4년뒤 90년 이탈리아 월드컵.. 90년 대회때는 정말 우리팀에 큰 기대를 많이 했었습니다. 황선홍, 김주성등이 이끌었던 대표팀은 예선 23골 무실점이라는 놀라운 성적을 거두고(정말 그때는 아시아 축구가 형편 없었던거 같아요--) 86년 대회때의 자부심 때문에 세계축구를 쉽게 봤었는지 몰라도 90년도 대회때는 정말 최악의 성적이었죠.. 3경기 1골 6실점(득점은 그 유명한 황보관의 캐논슛 1방), 당시 세계 3대 미드필더였던 스페인의 미첼에게 대회 첫 해트트릭을 선사하면서.. 내용도 정말 졸전이었습니다 ㅜㅜ

 

그런데, 말이 6실점이지 우루과이전이랑 스페인전에서 일방적으로 밀리면서 무수한 유효슈팅은 막아낸 장본인이..

바로 홍명보 감독이었습니다.ㅜㅠ 지금도 생각해보면, 그 어린나이에 새벽시간 잠을 설쳐가면서 일말의 기대감을 갖고 축구보면서 홍감독님만 유독 많이 비춰지는건,, 지금도 생각해보면 너무 안쓰러운게 온몸으로 막아낸 슈팅만 7, 8개는 넘을거 같고... 당시에는 포백이라는 수비형태가 없었고 원 스위퍼 투 스토퍼 체제에서  그 어린 소년이 최종 수비를 혼자 다 감당하는 모습만 너무 눈에 선해서.. 대회 1골을 넣은 황보관 선수보다 홍명보라는 이름이 대회 끝난 뒤에 너무 유명해진게 생생하네요.

말 그대로 세계 축구에 가까워진 한국 축구의 중심에는 홍명보라는 아시아 최고의 리베로가 있었기에 가능했던거 같아요.

지금도 선수 선발시 학력과 추천만 가지고는 절대 뽑지 않는다고 합니다. 본인은 엘리트 코스를 밟았지만, 절대로 선수 기량을 직접 확인하지 않고는 선발하는 않는 원칙, 그리고 선수와 형동생처럼 소통하는 원칙이 지금의 겁없는 홍명보호 아이들을 만들어 낸게 아닌가 싶어요..

 

제 생각에 4강에서 브라질에 실력으로 지지는 않을거 같아요. 일본과 브라질 경기 보면 심판이 너무 일방적으로 편드는 거 빼고는 기량상 두드러진 모습은 없습니다.. 그리고 대진 상대들 역시 우리가 만난 팀들보다 기량이 많이 떨어지는 편이고요. 이런 저런 기대감과 걱정을 안고 수요일 새벽을 기다려 봅니다만, 설사 지더라도 원망하지는 않을거 같아요 ㅎㅎ 오히려 최선을 다한 모습에 박수를 쳐줄겁니다.

 

IP : 166.125.xxx.101
7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12.8.6 11:55 AM (112.145.xxx.77)

    우리나라 축구가 많이 발전한거 사실이지만 브라질에 실력으로 지지 않는다는건 좀....-;

  • 2. 단발성이잖아요
    '12.8.6 12:03 PM (210.221.xxx.46)

    한번 해 볼만하다는 것 아닌가요?
    제 각각 잘 난 선수들과 한번 의기 충천한 선수들과 붙어 볼 만하다는 것.
    꼭 토를 달아야 속이 시원하신지.....

  • 3. 새벽에 축구를 보니
    '12.8.6 12:17 PM (166.125.xxx.101)

    ㅋ 윗분 브라질 축구를 좀 아시나봐요? 지금 브라질 팀 자체는 브라질이라는 명성으로 봤을때는 많이 뒤쳐져요.. 네이마르 오스카 같은 애들 개인기 좀 있는 거 빼고는..
    그래서 축구는 팀이 중요한 겁니다. 지금 한국 팀이 지금의 브라질보다 약하지 않다는 거구요.
    홍명보 감독의 유명한 얘기 모르시나요?
    "우리팀의 에이스는 바로 팀이다"
    메시가 있는 아르헨티나도 최근 국제대회서 좋은 성적을 거둔적이 없죠. 메시가 뛰는 바르셀로나는 팀이 되어 있지만 메시가 뛰는 아르헨은 팀이 안되 있어서인 거에요. 축구는 팀이 가장 중요합니다. 이름값 있는 한두명으로는 절대 안되죠

  • 4. ㅐㅐ
    '12.8.6 12:18 PM (1.177.xxx.54)

    제가 태어나서 지금까지 우리나라가 브라질에 이긴적이 거의 없었던것 같아요
    통계적으로 데이타를 보면 이긴적이 없겠냐만서도
    브라질에 크게 진적이 있었잖아요.여러번..
    그래서 무서워요..

  • 5.
    '12.8.6 1:20 PM (121.143.xxx.126)

    브라질에 지더라도 영국경기 만큼만 선수들이 뛰어준다면 그것만으로도 잘했다고 봅니다.
    항상 후반전에 체력이 떨어져서 어쩌구 하면서 무너지던 한국축구모습 보다가 후반전, 연장전에 이여 승부차기까지 어쩜 그리도 열심히 하는지,,,

  • 6.
    '12.8.6 2:03 PM (112.150.xxx.73)

    브라질에 이긴적 있습니다
    알고말하세요

  • 7. ....
    '12.8.6 4:59 PM (125.142.xxx.72)

    저 어릴적에 우리나라에서 브라질과 친선경기 할 대 1:0으로 우리가 이겼어요.
    우리나라 대표팀 승리의 요인은 브라질 선수들에겐 힘든 추운날씨에 원정, 브라질 선수들은 1명인가 빼고 2진 이었지요.
    브라질은 무서운 게 팀조직의 방패를 그냥 둟어버리는 공격력이죠. 영국과 비교가 안되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41805 염색 3 ... 2012/08/14 1,230
141804 요즘 프리미엄 5천주고 집사면 미친짓일까요? 17 프리미엄 2012/08/14 4,269
141803 토론토에 유명한 공립학교로는 어떤 학교가 있나요? 2 토론토 2012/08/14 1,741
141802 소화제의 최고봉은 무엇일까요? 22 소화제 2012/08/14 8,384
141801 비나이스 라는 사이트에서 구매해보셨나요? ... 2012/08/14 1,158
141800 비타시몽은 머릿결 근본적으로 개선해주나요? ㅡㅡ 2012/08/14 975
141799 저도 종신보험 어찌할까요? 4 고민. 2012/08/14 2,353
141798 후쿠시마 방사능 영향 ‘돌연변이 나비’ 발견 충격 3 샬랄라 2012/08/14 1,776
141797 아오;;;;;고사리 삶는거 돌아버리겠어요 18 고사리 2012/08/14 16,567
141796 뒷북이지만 김구라는 왜 티비못나오게된거에요? 3 궁금 2012/08/14 1,579
141795 비행기서 카톡되나요 5 .. 2012/08/14 2,590
141794 오분도미에서 신맛이 나요.. 수리수리 2012/08/14 1,130
141793 해외사는 데 웨이트리스 과정 이수 도움이 될까요? ( 끌어올림).. ---- 2012/08/14 877
141792 오십견도 실비 실손보험처리 받나요? 4 아프다 2012/08/14 5,662
141791 댓글 달아주세요 """"&q.. 10 낑낑 2012/08/14 1,431
141790 저녁부터 전국에 비 1 비가온다니 2012/08/14 1,804
141789 요오드액... 중국산~ 2012/08/14 987
141788 비행기 국내선 어린이 가격 어떻게 되는가요. 2 대한항공 2012/08/14 1,302
141787 날씨가 좋으니 행복해요 5 바람 2012/08/14 1,191
141786 잘들었다 하는 보험있나용?? 9 가르쳐줘요 2012/08/14 2,378
141785 현 정부 들어 국토부 산하기관 빚 갑절 1 세우실 2012/08/14 933
141784 참치액 , 어디에 사용하면 좋은가요? 10 알려주세요... 2012/08/14 3,135
141783 아파트에서 살다가 빌라나 타운하우스로 이사가신분 4 이사 2012/08/14 4,207
141782 나꼼수 1 왕초보 2012/08/14 1,580
141781 그만싸우고 싶다고.....엊그제 글 올렸던 글쓴이에요~ 2 ㅜㅜ 2012/08/14 1,7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