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수학 과외 관련인데요. 수학 흐름을 알게 해 주는 교수법이 있나요?

이게 뻘 소리 일지.. 조회수 : 2,635
작성일 : 2012-06-26 15:53:47

저희 큰 애 수학 과외 교사 구할때 어떤 사람이 자기는 수학의 흐름을 알게 해준다고

했었구요.

제 동료 아이는 유명 책 저자인 원장의 지도를 받고 있는데요.

이분한테 들으면 초등 수학 단원이 중, 고등까지 연결되게 가르쳐 준다고 해요.

같은 공부를 해도 단원별로, 학년별로, 학교별로 끊어져서 맨날 어려운 수학이 아니라

항상 쉽고 재미있다고 하는데요.. 이거 말이 되나요?

그렇다면 찾으려구요.

 

IP : 121.160.xxx.196
5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oneandtwo
    '12.6.26 3:56 PM (121.173.xxx.165)

    가능은 합니다.
    초중고 내용을 확실히 알고 있고
    수학사에 대해서도 이해가 좋다면 가능합니다.

    문제는 그렇게 수업을 해도 학생들이 집에서 그만큼의 복습이 문제죠...

  • 2. 아마
    '12.6.26 4:14 PM (211.207.xxx.157)

    기계적인 반복학습 위주로 하는 걸 좀 포기하면, 좀더 수학의 흐름이나 맥을 알게 되서 더 흥미 가질 수 있겠죠.

  • 3. 국사도 아니고
    '12.6.26 4:19 PM (14.52.xxx.59)

    수학의 흐름이라니 좀 그렇지만...
    계단별 학습은 가능하죠
    1학기 부분 주욱 나가고 2학기 부분 주욱 나가면 그게 가능합니다,
    그러나 학교 시험기간에는 또다시 돌아와야 하기때문에 지속되기가 쉽지 않죠
    대부분의 학원은 이미 그렇게 다 가르쳐요
    7가 8가 9가
    7나 8나 9나 이런식으로요

  • 4. 흐음
    '12.6.26 5:23 PM (1.177.xxx.54)

    네..원래 그렇게 가르쳐야해요
    이론적으로는 가르치는 사람이 초중고 수학을 꿰고 있어야해요.
    그런데 여러명을 가르칠땐 그게 쉽지가 않아요.

    가르치는 사람의 자질이 반드시 필요하구요
    전공은 중요하지 않아요
    그사람이 초중고 수학에 대한 확실한 지침.거시적 안목이 반드시 있어야해요
    그래서 하나를 가르치더라도 중고등때 나올것들에 대한 대비를 미리 이야기 하는거죠.
    그럼 아이는 단순히 그 문제에 국한시키는게 아니라 다른 문제 영역까지도 확장하게 되죠.
    그러나 정말 힘들죠...진정으로 그렇게 가르치는다는거는 말이죠.

    만약 이런식으로 누군가 제대로 가르치면 그 아이는 수학머리가 없어도 수학을 잘하게 되어 있어요.
    실제로 이런식으로 잘 가르치는 능력자가 그렇게 많진 않기때문에 그 말을 또 다 믿을수도 없는게 현실이죠

  • 5. ...
    '12.6.27 12:18 AM (222.121.xxx.183)

    가능은 합니다만.. 그게 그다지 크게 좋은 영향은 아닐거 같습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29117 위로 좀 해주세요.. 4 ... 2012/07/10 1,280
129116 나는 딴따라다 4회요 Alma 2012/07/10 2,054
129115 여행의 첫번째 준비는 쇼핑~~ 신라면세점의 더 큰할인혜택!! 고고유럽 2012/07/10 2,986
129114 필리피노 이자스민의 거짓말,,, 6 별달별 2012/07/10 2,204
129113 국회 문방위원장 한선교, MBC 파업은 물건너가는가? 4 휴.. 2012/07/10 1,732
129112 영어로 문장 번역 부탁드립니다. 4 영어완전 초.. 2012/07/10 1,037
129111 아침식사 1 아침식사 2012/07/10 1,305
129110 커피머신 질렀어요~~~ㅋㅋ 9 기분짱 2012/07/10 2,886
129109 아이 둘 이상 있는 전업주부님들, 동네 엄마들 일주일에 몇 번 .. 10 원글 2012/07/10 3,864
129108 월세 어떤가요? 봐주세요. 6 25평 아파.. 2012/07/10 2,016
129107 “박정희는 되는데 전두환은 왜 안 되나?” 2 세우실 2012/07/10 1,217
129106 남편감으로 누가 괜찮을까요 17 락락 2012/07/10 4,346
129105 MSG(인공화학조미료) 알러지라는게 있는건가요? 7 .... 2012/07/10 4,366
129104 오늘 점심 식당에서 본 남녀풍경 31 검은나비 2012/07/10 18,065
129103 시골풍경 여름날의 추억이 생각나서 글써요 3 그리움 2012/07/10 1,366
129102 절약의 비법은 13 절약 2012/07/10 7,670
129101 한국 교육과정 평가원에 질문하였더니.. 1 학부모 2012/07/10 1,727
129100 자원봉사 하시는분 3 봉사 2012/07/10 1,434
129099 수신이 완료되지 않은 mms를 수신하려고 하니 5 mms문자 2012/07/10 3,568
129098 예비초등아이 전통문화 대장간 책 도착했네요 1 개미따라 2012/07/10 1,153
129097 cj 통신사? 스마트폰 2012/07/10 1,409
129096 이미숙 몸매가 우와~~ 30 2012/07/10 19,246
129095 이불솜.. 베개솜.... 어떻게 버리죠? 4 쓰레기? 2012/07/10 3,306
129094 어머니가 여행가서 사기당한거 같아요 9 배나온기마민.. 2012/07/10 5,146
129093 머리빗의 명품이라고 불리우는 것들은 뭐가 있나요? 13 탈모방지 2012/07/10 7,0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