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Banner

전기밥솥 밥하고 모두 덜어서 냉동시키시나요??

전기세를 줄여보자 조회수 : 5,798
작성일 : 2012-05-25 17:56:01

저는 직장맘이라 밥솥에 항상 밥을 해둬요.

저녁에 밥하는 시간이 10분이라고는 하지만 은근 바쁘고 그래서

시간날때 항상 해놓고 그거 다 먹고 다 먹는 즉시 새로 해서 두기 때문에...

저희집은 전기압력밥솥이 24시간 거의 365일 켜져있는거죠.

 

다른분들은 혹시 어떻게 쓰시는지 궁금합니다.

그동안은 전기세고 뭐고 일단 나는 이런상황이니 써야겠다는 생각으로 그렇게 쓰고있는데...

좀만 부지런떨면 뭔가 해결책이 있는가 싶어서 여쭤봅니다.

 

밥 해서 다 덜어서 냉장고? 또는 냉동실? 로 넣었다가

먹을때 데워 드시나요?? 밥도 상온에 오래두면 상하겠지요??

특히 여름에는 더더욱이요.

 

그리고 냉동한 밥이 렌지에 돌리면 막한 따끈한 밥처럼 된다고는 하는데

그래도 그건 최후의 방법으로 쓰고싶고 얼리지 않고 해결할수 있는 방법 아시면 좀 알려주세요~

 

IP : 203.241.xxx.14
16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뚱딴지
    '12.5.25 5:59 PM (211.173.xxx.253)

    남은밥은 전엔 냉동실에 넣어뒀는데요. 금방 하루,이틀안에 먹을밥은 그냥 냉장고에 두고 렌지에 데워먹습니다.

  • 2. 저는
    '12.5.25 6:01 PM (211.108.xxx.154)

    밥하고나면 바로 코드빼놔요
    다음 식사때는 덜어서 데워먹고요
    이틀정도는 괜찮더군요
    여름엔 하루치씩만 밥해요
    상할까싶어 냉동실에 넣었다먹어봤는데
    녹여데워먹는것도 일이더군요

  • 3. 그렇게
    '12.5.25 6:02 PM (125.135.xxx.131)

    써요.
    그렇게 안 하려면 뭐하러 전기 밥솥에 하겠어요?
    전기 압력보온밥솥은 주방의 혁명같아요.
    찰지고 맛나고 보온 되어 상시 먹을 수 있고..
    냉동이 뭐 좋다고 넣어놓고 꺼내서 데피고 그런 수고를 하는지..
    집엔 항시 밥솥에 밥이 있어 맘껏 먹을 수 있는게 좋답니다.

  • 4. ..
    '12.5.25 6:07 PM (1.240.xxx.180)

    보온으로 하면 밥솥에서 이틀 정도까지는 괜찮아요
    취사가 요금이 많이 나오지 보온만 하는건 전기요금 많이 안나와요
    이틀에 한번씩 밥하세요 그리고 뎁히고 하는 번거로움 없이 그냥 보온으로
    해놓고 이틀정도 드세요
    저는 오뚜기 씻은쌀 먹는데 그거 정말 편해요
    씻지않고 물만 붓고 압력솥에 취사 누르면 햇반처럼 맛있는밥이 된답니다

  • 5. ...
    '12.5.25 6:18 PM (116.37.xxx.5)

    밥먹도 남은 건 바로 덜어서 뚜껑있는 도자기 밥그릇에 담아서.. (뜨거울때 뚜겅덮어 식혀야 수분이 안날아가서 데워도 맛있어요) 식힌다음 냉장실에 둬요. 먹을때 그릇 그대로 전자렌지 돌려서 먹으면 돼요.
    도자기 밥그릇이니까 뚜껑 그대로 전자렌지 돌려서 그대로 먹으면 돼니까 편해요.
    2~3일정도는 괜찮아요. 냉장고에 너무 오래두면 맛없구요..
    전기밥솥이 오래되서 보온해놓으면 너무 맛없어서 이 방법을 쓰고 있는데.. 전기밥솥에 계속 보온해 두는 것보다는 이게 더 맛있더라구요.

  • 6. dd
    '12.5.25 6:38 PM (61.106.xxx.101) - 삭제된댓글

    저도 윗분처럼 해요..
    현미랑 콩을 많이 섞기 때문에 보온을 오래하면 색도 변하고 이상해져서...

  • 7. ..
    '12.5.25 6:51 PM (120.142.xxx.31)

    3 컵정도만 무조건 밥을해서, 4컵량물붙고, 2끼먹을것만 딱해서 밥다되자마자 코드빼서
    식혀서 냉장보관해서 한번더먹고 , 이걸 계속 반복해요
    보온해서 먹으면 맛이 별루에요

  • 8. ??
    '12.5.25 7:32 PM (211.224.xxx.193)

    우린 그냥 전기압력밥솥에 해서 먹고 한끼정도 더 먹고 나머지 한끼는 다시 새밥해먹고 그러는데. 그냥 보온으로 놔뒀다가 먹어요. 냉동보관해 전자렌지 돌리면 새밥처럼 된다고 하던데 우리집선 찝찝하다고 그냥 먹고 있어요. 근데 저 위에.. 취사만 전기가 많이 나가는게 아니고 보온도 전기가 꽤 많이 소비된다고 해요.

  • 9. 된다!!
    '12.5.25 8:06 PM (1.231.xxx.21)

    전 딱 맞게 해서 거의 안 남는데요 남을떄는 그냥 밥공기 넣어서 보관해요..
    그리고 나서는 그냥 제가 먹어요 식은밥 좋아해서말이죠..
    냉동실에서 나온 밥도 싫어하고 렌지에 돌리는것도 싫어하고..
    암튼 그냥 밥도 그때 그때 아침 저녁으로 해서 먹는편이라.

  • 10. ...
    '12.5.25 8:15 PM (116.126.xxx.116)

    저는 그래서 소형 압력밥솥 살까해요.
    전기밥솥보다 빨리 된다고 해서요.

    저는 취사나 보온이나 전기 마찬가지라도 들었는데 아닌가봐요??
    그것이 정말 알고싶습니다...

  • 11. ㅇㅇㅇ
    '12.5.25 8:38 PM (124.56.xxx.5)

    전업이지만 매끼니 새밥을 하지는않고요,밥솥에 넣어둘때 코드 뽑아놔요.
    전 보온에 하루 종일 둔 밥이 그렇게 맛이 없어요.
    저녁에 밥하면 여름철에는 다음날 아침까지 괜찮구요 겨울에는 24시간까지 상하지 않는데 전 먹을때 밥솥에 재가열 모드 눌러서 데워먹고 그 이상 두고 먹을땐 그냥 냉장고 넣었다가 전자렌지에 데워요.
    밥을 냉동시키는건 아주 비효율적이라고 생각합니다.2-3일 먹을 밥은 냉장실에 둬도 상하지 않고 잘데우면 촉촉하니 맛있는데 뭐하러 얼리나요?

  • 12. ..
    '12.5.25 9:40 PM (175.127.xxx.220)

    저는 냉동밥을 유용하게 사용하는데요
    원글님의 경우는 냉동이 필요없어보이네요

    저의 경우, 가스 압력밥솥으로 매끼를 새로 밥을 합니다
    그러니 양을 맞춰하게 되는데 간혹 밥이 남는다 해도 1공기 정도이구요, 다음에도 새밥을 하게 되니 이렇게 나은 밥은 언제 먹게 될지 몰라 얼려요.

    이렇게보관해 놓으면. 간혹 밥이 모자랄때나,
    한공기정도의 밥이 필요할때 유용하게 쓰입니다
    원글님처럼 바로 먹어야하는 밥을 얼릴필요는 없지요

  • 13. ...
    '12.5.25 10:53 PM (115.126.xxx.68) - 삭제된댓글

    겨울철엔 두끼분 밥지어서 한끼먹고 한끼분은 그냥 밥통에 넣어둬요.
    코드는 안뽑지만 취소버튼 눌러서 보온은 안되어있는 상태죠.
    보온 해두면 밥에서 나는 냄새가 싫어서...
    여름철엔 역시 두끼분 밥지어 한끼먹고 한끼분은 퍼서 실온에 뒀다 먹어요.
    못먹을땐 바로 냉동해놓구요.
    냉장실에 넣거나 보온상태로 밥을 보관하진 않아요.

  • 14. 짱스맘
    '12.5.26 1:23 AM (182.215.xxx.89)

    결혼 12년차인데 여지껏 전기압력밥솥은 사용하지 않고
    압력밥솥에 밥 해서 그날 하루는 그냥 밥솥에 뒀다가 렌지에 살짝 데워서 먹고
    남은 밥은 한 공기씩 냉동실에 얼려서 급할 때 2분 정도 돌리면 괜찮아요.

  • 15. cho
    '12.5.26 2:42 AM (116.122.xxx.106) - 삭제된댓글

    제가 신혼때 멋모르고 전기밥솥은 늘 꽂혀있는건 줄 알고 365일 보온켜놓고, 비데는 늘 온수로 켜놓고..그렇게 살았었거든요. 그땐 직장에 다녀서 관리비 이런 거 잘 신경 안쓰고 살던 시절.ㅋ
    애 없이 둘이 직장갔다가가 와서 저녁에만 집에 있는 거였는데도 전기세가 5-6만원 나왔었어요. 그 땐 누진세라는 게 없었으니까 그냥 직방으로 많이 쓴거죠. 지금은 300와트인가 에서 조금만 넘어도 배로 나오고 그러짐나..
    한전에서 주변가구에 비해서 진짜 많이 나오는거라고 전화왔을 정도였어요..지금 생각해보면 왜 전화가 왔는지 모르겠지만요.
    그러다가 애 생기고 전업이 되면서 가스비 전기세 이런거 신경쓰기 시작했는데요..
    TV에서 전기는 열을 내는 게 가장 전력소비가 크다고 한 걸 봐서 전기보온밥솥을 꺼버렸어요.
    그리고 대기전력 줄이려고 스위치 달린 멀티탭 사다가 안쓰는 전기들은 다 꺼버린 거, 비데 더 이상 사용 안하거. 이거였거든요. 그랬더니 2만원이 줄던데요..
    오본밥통은 확실히 전기를 많이 먹는거 같고요. 늘 보온으로 켜두면 밥맛은 점점 나빠지는것이니 1,5일정도 드시는거면 그대로 전기 뽑았다가 재가열 버튼만 다시 눌러서 드시는게 차라리 낫더라고요. 완전 여름 아니고는 안 상해요..

  • 16. ..
    '12.5.26 1:20 PM (121.190.xxx.60)

    요즘 같은 날씨에도 이틀씩이나 정말 괜찮을까... 오늘 실험해봐야겠네요~

    저도 늘 고민하던 일이거든요~^^

    기껏해야 하루에 한끼. 정말 가끔 두끼 먹는 맞벌이 저희집은 차라리 햇반사먹는게 나은거 같다니까요.

    스트레스 안받고..배고플때 빨랑 먹을수 있고 T.T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773036 내년 공시가율 69프로 동결ㅡ민주당 대실망 ... 08:49:18 91
1773035 공무원 휴대폰 조사?? 8 ..... 08:45:19 153
1773034 예전에 욕먹던 여성분 기억하세요? 4 ... 08:42:32 381
1773033 노처녀가 되는 꿈 1 08:38:21 170
1773032 남자도 어장을 하나요? 그리고 당하는 여자도 있구요? 7 .... 08:34:53 211
1773031 박성재가 조희대를 대면한 듯 9 ... 08:30:24 481
1773030 드라마 태양을 삼킨 여자 보시는 분 계실까요(스포유) 6 드라마 08:22:42 373
1773029 [단독] "김건희, 통일교몫 비례 약속…2달만에 240.. 1 이래도 08:13:00 853
1773028 복 중에 어떤 복이 최고라고 생각하세요? 14 08:11:59 1,153
1773027 주식. 오늘은 안들여다보시는거 추천합니다. 6 ... 08:07:52 1,679
1773026 박성재가 엄청 중요한 키맨인가보다. 7 ㄱㄴㄷ 07:56:58 1,127
1773025 영장기각은 죄가 없다는 말인가요? 10 왜?기각인지.. 07:53:58 867
1773024 두꺼운 94마스크 필요한 곳 있을까요? 3 마스크 07:47:35 453
1773023 유류분제도 없어지는거 맞는건가요 3 .. 07:43:38 1,121
1773022 검찰개혁 빨리 하자 시간만 간다 8 강하게나가자.. 07:36:34 352
1773021 엘지 우승기념 TV올레드 65행사 4 푸른바다 07:21:50 1,494
1773020 정성호, 댓글 수사 땐 "법무장관 의견 표명도 상당한 .. 18 ... 07:15:19 1,123
1773019 캐나다 대학교 졸업하는 것 질문드려요 3 캐나다 대학.. 07:14:34 783
1773018 세탁기 미니워시 포함 제품 쓰시는 82님 계실까요 12 ... 07:06:06 693
1773017 부산 여행 옷차림 어찌할까요? 6 ........ 06:46:25 833
1773016 크리스마스 트리 에 대해 잘 아시는 분~ 1 uf 06:27:32 553
1773015 조계종 큰절 주지 선거가 여의도 정치판과 똑같네요 1 아사리판 06:11:22 761
1773014 세탁기 같은 스펙인데 100만원이나 차이가 나요 11 ... 06:06:42 1,565
1773013 대장동' 남욱들 강남 부동산, 100억 올라 추징금은 '0원 22 ..... 06:03:22 1,709
1773012 나스닥 말아 올리고 있음 - 추매의 기회 10 나스닥 05:51:47 4,6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