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지방대 나왔으면 솔직히,고시라도 붙지않는한 서울에서 기회가 없다구요?

,. 조회수 : 3,777
작성일 : 2012-03-27 00:27:21

제가 저 댓글읽고 기가막혀 글을 새로 쓰게 되는군요.

제가 참 도움도 많이 얻고 좋아하는 곳이긴 하지만.

대학얘기만 나오면 82쿡은 정말 말도안되게 웃기더라구요.

어젠가?

80년대말, 90년초학번으로 건대나왔다면 정말 반에서 뒤쪽에 있던

애들이 들어갔다고 하질않나...

내, 참....

제가 90학번인데요,

건대도 제법 점수가 나와야 들어갈수 있었어요.

저 고향이 저기 아래동네 지방입니다. 그리고  지방사립대 나왔는데요..

서울에 저희 동기들, 선배들 정말 많거든요.

대기업에 입사한분들도 있구요,

작은회사지만, 서울에서 돈 잘벌고 있는 선후배들 많아요.

지방대나와도 똑똑하고 야무지고 서울에서 돈 잘버는 사람들 정말 많아요.

서울에서 돈잘버는 사람들은 다 서울에서 대학나온 사람들일까요??

 

IP : 221.139.xxx.107
10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어느글에 그런
    '12.3.27 12:30 AM (175.119.xxx.6)

    댓글이 있었는지 모르겠지만... 님은 90학번이잖아요.. 그때랑 지금이랑 다를텐데..
    그때보단 지금 그렇다는 말 아닐까요?

  • 2. ..
    '12.3.27 12:36 AM (116.127.xxx.156)

    저희 남편이 그리 좋은 회사아닙니다.
    제2금융권...
    신입 면접관으로 있을 때의 얘기인데 몇년 전이지요.
    서류에서 다 떨어진답니다.
    인정하기 싫은 현실이라고...
    지금 대기업에서 입사하는 신입들보면 거의 일류대 아니면 찾아보기 힘들더군요.
    남편 회사도 마찬가지구요.
    지금 제2금융권도 유학파에 에스대 스카이가 주류가 되고있습니다. ㅠㅠ
    아이를 키우고 있는 입장에서 참 마음이 아픕니다.

  • 3. 흠.
    '12.3.27 12:41 AM (115.0.xxx.194)

    너무 걱정 마세요.
    동창 친구가 모 은행 본점에 근무하고 있습니다.
    소위 잘나가는 스카이 애덜은 잘 안 뽑는다네요.
    뽑아 놓으면 지들 잘났다고 그만두는게 다반사라 아예 인서울급이나 지방대 졸업생들 뽑아 놓으면
    일 열심히 한다고.....

  • 4. ...
    '12.3.27 12:51 AM (211.201.xxx.143)

    대학 나오기만 하면 무조건 취직되던 시절에나 얘기죠
    인서울도 취직경쟁 치열하다못해 전쟁터인 현시점에서 씨알도 안먹히는 얘기네요
    자식 있으면 차라리 서울권 전문대를 보낼래요
    왠만한 방거점국립대도 인서울 하위권보다 저평가받는세상인대요. 그냥 요즘 현실이 그렇다고요

  • 5. ...
    '12.3.27 12:55 AM (121.172.xxx.83)

    지방대도 어느정도 상위권 대학이고
    인기 있는 과이며
    그 중에서도 토익,자격증,학점,기타 활동 이력 좋으면 대기업 갑니다.
    학점은 물론 상위권이어야 하구요
    위의 것들이 조금 부족하면 어학연수라도 다녀오면 해결..
    과연..몇%나 될까요?

  • 6. 시대별 업종별 차이
    '12.3.27 1:08 AM (121.166.xxx.82)

    80년대 대기업 인사과에서 일했던 대학 동기한테 들은 말: 신입사원을 뽑을 때
    1) 1/3은 서울대 졸업생
    2) 1/3은 연고대 및 그에 준하는 학교나 학과 졸업생
    3) 1/3은 학교 상관없이 학점이 우수한 사람
    서울대 졸업생들은 처음 승진시 실패하면 집단으로 사직하기 때문에 1/3만 뽑는다고 그랬어요.
    80년대는 머슴처럼 일 잘하고 충성심 강한 직원들이 필요했던 시절이죠.
    어떤 대기업체는 영어실력으로만 신입사원을 뽑았어요. 정주영씨도 그랬다죠.
    "영어 잘하는 놈은 뭘 시켜도 잘한다." 80년 대는 영어 교재나 방송이 지금처럼 흔하지 않아 개인이 노력을 많이 했어야 했거든요.

    90년대 중반 SS그룹 업체 인사과에서 나온 말:
    외국인들을 많이 상대하는 회사라 매너가 중요해 고르고 또 골라서 뽑아도 일상생활 모습을 보면 매너가 개판이다.

    요즘도 머슴처럼 일만 잘하는 직원을 원하는 직종이 있는데, 젊은이들이 안가는거겠죠.
    영어와 매너 조건엔, 서울 명문대 졸업한 사람들이 문화적으로 더 어울리겠지요.
    인서울 대학 졸업생들과 비교해 지방대 졸업생들 특징(간부급 직원들 의견):
    - 과잉행동(뻥이 심함, 뻥은 절대로 충성이 아님)
    - 눈치보기(솔선수범이 드문데, 남이 시작하면 더 설침)
    - 솔직하지 않음(문제를 감춰 더 커지게 만듬)
    - 답답함(엉뚱한 고집을 부리고, 눈치가 부족)

  • 7. 으익,,,
    '12.3.27 1:35 AM (14.52.xxx.59)

    윗님 말씀하신거 저도 비슷한 뉘앙스로 들은적 있어요
    오버하고 눈치보면서도 분위기파악 못한다는 ㅠㅠ

  • 8. 슬픈 눈치
    '12.3.27 1:38 AM (211.207.xxx.145)

    눈치가 부족한 건 반대로 인서울 졸업자가 경주나 안동같은 지역 회사에 들어가도
    좀 듣는 소리 아닐까요. 문화적인 배경이 다르니, 맥락파악이 느려서요.

  • 9. ~~
    '12.3.27 8:45 AM (163.152.xxx.7)

    비명문대 나와도 잘나가는 사람 많더라..는 그만큼 수가 적기 때문에 부각되는겁니다.
    무시해서가 아니라
    확률적으로는 명문대의 비율이 훨씬 높은거죠.
    그게 어떤 면에서는 공평한거구요
    명문대, 제비뽑기로 들어간거 아니잖아요?

  • 10. ??
    '12.3.27 10:45 AM (218.234.xxx.27)

    지방대 출신이 문제가 아니라, 서울 지역 대학에 졸업자들이 너무 많아졌으니까 굳이 지방대 응모자까지 손이 안가는 거 아닐까요? 제가 면접관이었을 때에도 동등 조건이면 서울 지역 사는 사람을 뽑았어요. 솔직히 말하면 저희 회사가 야근, 심야 근무가 많았는데 회사 가까운 지역에 사는 사람이 더 유리했어요. 역삼동이 회사였는데 경기도 용인이나 남양주, 수원에서 입사한 애들은 야근하는 것도 무척 신경쓰이고 (10시면 차 떠난대요),어쩔 수 없이 다 같이 12시 넘어 퇴근할 때에도 택시비 안준다며 팅팅 부어 있고 그랬어요(회사가 택시비를 따로 주지 않아요. 월급에 야근수당으로 포함되어서 일괄 지급되는 데도 그랬거든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95200 서울대 경영 파이낸스 과정이요 .. 2012/04/13 530
95199 저는 어제밤 이후로 뉴스를 안봅니다 12 앞으로도죽 2012/04/13 1,170
95198 총선득표수 새누리 932만표, 야권연대 944만표 30 참맛 2012/04/13 2,124
95197 통영 가보신님들~ 8 찹쌀 2012/04/13 1,211
95196 생각하는 나꼼수 15 내가 2012/04/13 1,690
95195 선관위 노조위원장이 갑자기 어디서 3 선관위? 2012/04/13 1,416
95194 [스크랩] 박근혜의 152석의 의미 13 이기자 2012/04/13 1,329
95193 맞춤법, 띄어쓰기 지도해야 할까요?(6세 여아) 5 misson.. 2012/04/13 826
95192 축농증 코세척 문의합니다. 아시는 분.. 8 축농증 2012/04/13 5,323
95191 근데 충청도와 강원도는 왜인가요 24 그냥요 2012/04/13 2,006
95190 방금 목격한 엠빙신마감뉴스 기가차다 7 나참 2012/04/13 1,681
95189 선거 패인 분석 2 종합 2012/04/13 521
95188 역대 선거에서 이번처럼 20대 투표율이 높은 선거는 처음 보네요.. 30 이럴수 2012/04/13 2,390
95187 어제는 멘붕 오늘은 으쌰 1 으랏챠 2012/04/13 655
95186 글 찾아 주세요! 없어져 버렸어요! 3 순식간에 2012/04/13 519
95185 야권 지지 성향 2030세대…서울서만 ‘투표의 힘’ 발휘 9 마이토즈 2012/04/13 1,315
95184 지인이 무서워요 5 ..... 2012/04/13 2,141
95183 보수를 껴안지 않고 대통령이 된 경우는 없습니다. 69 20대를 모.. 2012/04/13 2,401
95182 진중권이 가여워요.. 17 84 2012/04/13 2,226
95181 만원의 행복 아시나요? 부자동네 2012/04/13 583
95180 더킹 11 더킹 2012/04/13 1,731
95179 어제는 속상해 잠을 못잤으나 오늘은 차분히 앞날을 도모해봅니다... 2 ... 2012/04/13 474
95178 부정선거는 파헤쳐야 하지만 허위동영상은 구분해주세요 4 부정선거 2012/04/13 523
95177 코스트코 먹거리 환불 문의드립니다. 15 단맛에 질려.. 2012/04/12 6,136
95176 구호 옷이 눈에서 자꾸 아른거려요 1 구호옷 2012/04/12 1,3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