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외노자 다문화 관련: 혈통주의 포기 방향일 수 밖에

람다 조회수 : 1,238
작성일 : 2012-03-09 09:33:14

이 글 시작은 저기 아래 '한국'님이라는 분이 쓰신 외국인 노동자에 대한 댓글이었습니다만, 글이 길어져서 독립적인 글로 다시 써 봅니다.

저는 원글"한국"님이 제기하신 문제의식의 심각성에 동의합니다. 저의 다른 글에서 일본인 이주라는 실현가능성이 희박한 설에 대한 감정적 대응보다 국내에 들어와 있는 외국인 노동자(정확히는 이주 노동자) 및 결혼이주여성과 소위 다문화 가족 문제가 우리 사회에서는 더 시급하게 해결해야할 문제라고 이야기 했습니다만 문명사회의 인권중시와 이들 외국인 문제가 점점 양립이 불가능한 방향으로 가는게 아닌지 안타깝습니다.  
저의 알팍한 사회과학 지식으로 보건데 이주노동자와 다문화 가정의 증가는 필연적으로 대도시 주변 또는 downtown의 게토 증가와 슬럼화로 이어질 것으로 보입니다. 그리고 시골마을은 인구구성비 변화로 그 전세대와 전혀 다른 문화를 갖는 사회로 변할 것 같습니다. 단적으로 그런 지역은 현재 한국인의 정체성(인종 및 문화)을 갖는 사람들이 매우 이질적인 곳으로 느껴서 솔직히 피해서 다닐 곳으로 인식하게 될 것 같습니다.

또한 이주노동자와 다문화가정의 후손이 저임금 한국인 노동자와 일자리를 두고 직접적인 경쟁관계에 놓이면서 사회적 긴장을 높일 것 같습니다. 마치 몇년전의 프랑스 폭동이나 92년 LA폭동 하다못해 슬럼독 밀리어네어의 인도내 이슬람 마을 습격 같은 상황과 유사한 사태가 일어날지 모른다는 생각이 듭니다.

 

그렇다고 이주노동자와 결혼이민을 막을 수 있는가에 대해서 저는 매우 회의적입니다. 분명 기업주의 논리가 이주노동자의 증가를 유발하고 있지만 현실적으로 저출산과 고령화가 맞물린 상황에서 경제성장을 유지하려면 젊은 외국 노동인력의 유입은 불가피하다고 생각합니다. 좋든 싫든 무역으로 먹고사는 나라에서 삼성전자와 현대자동차 그리고 수직적 연계산업에 종사하는 많은 생산직 노동자의 노령화에 대한 대안마련이 없이는 제조업의 해외이주는 가속화될 것 같습니다. 비록 경제성장의 과실을 피라미드 상위의 사람이 대부분 가져가고 있어 개선이 필요한 것이 현실이지만 제 짧은 머리로는 그런 성장이라도 유지해야 사회를 지탱할 수 있지 않나 합니다.

 

그리고 대외 개방적인 국가체제에서 아무리 외국인 문제가 심각해도 이들의 합법적 또는 불법적 이주를 원천봉쇄하는 것은 불가능할 뿐더러 외교관계상 바람직하지도 않습니다. 설사 외부 유입을 막더라도 다문화가정의 후손이 증가하는 것은 막을 수 없습니다. 어느 분이 댓글에서 홍콩과 싱가포르 필리핀 메이드 처럼 여권을 주인이 소유하고 임금 통제하는 것을 말씀하시는데 저는 이런 계약관계는 일종의 인신구속으로 자유로운 임금노동의 범주를 벗어나는 불평등한 관계라고 생각합니다. 이들 국가에서 주인집 남자와 여자로부터의 학대(성적 착취 포함)가 많이 발생하는 것을 조금만 신경쓰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저도 아직 뾰족한 방법을 모르지만 결과적으로 한국사회가 혈연중심의 공동체에서 공동의 가치관을 향유하는 열린 공동체로 진화하는 것이 그나마 갈등을 줄여나가고 경제적 성장을 지속할 수 있는 방법이지 않을까 합니다. 즉, 단군의 후손, 단일민족, 백의민족, 충효사상 이런 것이 아니라 이를 대체할 수 있는 공동체의 가치관을 개발해야 하지 않나 합니다. 새로운 가치관에는 개인의 인권과 다양성을 인정하되 공동체에 대한 책임도 함께 나누는 어떻게 보면 한국인이라는 인종적 개념을 지양하고 한국시민이라는 다분히 정치적이고 사회적인 형태의 개념이 필요하지 않나 합니다.

매우 이상적으로 보이겠습니다만 실제로는 어떤 사회도 인종적, 종교적, 경제적으로 나뉘겠지만 그래도 공동의 목표 및 가치관을 최고로 두는 즉 사회통합의 근거가 있는 사회가 되어야 하지 않을까 합니다.

그럴때야말로 전통적 혈연주의 아래 결혼과 시댁문제, 자식교육에 얽매여 있는 많은 한국여성의 문제도 해결되지 않을까하는 소박한 바람입니다.

또 여러분의 심기를 어지럽혔다면 유감입니다.

  

      

IP : 121.162.xxx.170
2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음..
    '12.3.9 10:07 AM (121.172.xxx.83)

    상당부분 공감해요
    말씀처럼 막을수는 없지만
    대안이 있어야 되구요
    장려라도 하는 듯한 지금의 정책보다는 억제방향으로
    정부 차원의 대안이 필요한것 같구요
    외국인이 유입되면
    외국인을 위한 정책수립보다는 자국민을 위한 정책수립이 우선인데
    거꾸로 하고 있죠

    기업문제나 외노자나 다문화나 모두 이 사회구조,사회의식이
    근본적으로 왜곡 된 데서 기인하지 않나 싶네요
    원천적인 문제 해결을 위한 노력이 필요할거 같습니다
    물론 아무도 그럴의지가 없다는게 문제지만요

  • 2. 신입사원임
    '12.3.28 2:24 PM (122.34.xxx.40)

    다문화가 문제 되는건 일단 외노자 신고제가 사라져서 불체자 시키들이 싸질려 놓은 똥 때문이죠..

    그전까지는 괜찮앗는데....일단 남초 현상때문에 일부 신부를 데려오는건 어쩔도리가 없다는데 이견은

    없지만 개인적으로 다문화 좋아하진 않아요...


    외노자신고제 부활시켜야되는데...노무현때 없앴던가;...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84434 시어머니는 시어머니.. 불변의 진리인 것 같아요 3 .. 2012/03/14 2,357
84433 전실 인테리어 도움 좀 주세요~ 고민중 2012/03/14 3,729
84432 초등5학년 가슴멍울, 여드름 ...의논드려요 4 엄마 2012/03/14 3,703
84431 투싼타시는 분 계세요? 5 달려라 엄마.. 2012/03/14 1,955
84430 두돌 생일상..시어머니.. 3 ㅠㅠ 2012/03/14 3,968
84429 FTA 주역’ 김종훈 공천 무소식…새 됐네요..ㅋㅋ 9 글쎄요 2012/03/14 2,179
84428 만날 온몸 여기저기 삭신은 쑤시는데 그 넘의 손님은 2 이궁 2012/03/14 1,505
84427 요즘엔 영어못하면 취직도 못하고 일도 못하나봐요.. 10 어라. 2012/03/14 2,950
84426 임신인지 생리불순인지 알수없어서요... 4 기다림 2012/03/14 1,806
84425 지금은 바짝 정신을 차려야 할 시점인듯해요. 4 ... 2012/03/14 1,429
84424 적립식 펀드 환매수수료 문의에요. 3 비비드 2012/03/14 2,751
84423 서울에서 원단(천) 살 수 있는 곳 가르쳐 주세요^^ 4 연우 2012/03/14 1,369
84422 추워요. 12 아휴 2012/03/14 2,648
84421 생애전환기 건강진단 분당죽전분들 병원 어디로 가셨나요~ 유방암.자궁.. 2012/03/14 1,437
84420 거식증 치료, 가족이 합께하변 좋아 / 한겨례신문 .. 2012/03/14 1,196
84419 얼굴에 화상을 입은거 같아요! 3 gh 2012/03/14 1,697
84418 [동아] 주가 뚝…마음 급해진 안철수, 슬슬 나서나 6 세우실 2012/03/14 1,646
84417 초등 여아 블랙헤드 2 레몬티 2012/03/14 4,121
84416 3살인데 4반에 다녀요 남는보육료는? 4 보육료지원 2012/03/14 1,386
84415 영유보내는건 자유인데 5 ㅎㅎㅎ 2012/03/14 1,672
84414 법원등기는 왜 환부불필요 일까요? 1 흠.. 2012/03/14 6,203
84413 아가 등이랑 팔이 거칠거칠해요 3 아가 2012/03/14 1,219
84412 목욕탕(온천)에 뭐 들고 가세요? 4 촌년 2012/03/14 1,778
84411 통합진보당 정진후 공천에 관한 딴지일보의 논평...실망스럽다 못.. 4 에구에구 2012/03/14 1,268
84410 SK2 달라지는걸 느낄거예요.광고로 고민.정말 좋나요? 9 광고에서 하.. 2012/03/14 2,6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