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어제 반찬 내는 문제 글 보고...

조회수 : 3,730
작성일 : 2012-03-04 14:50:42
그 글에도 댓글 달았었는데 원글님 지우셨네요.

저희는 그 집하고 반대 경우에요.
아빠 상 차릴 때 항상 새 그릇에 반찬 담아내셨던
친정엄마 보고 자라서인지 저는 반찬을 먹을만큼 접시에 덜어서 먹는걸 좋아하고 신랑도 더 대접받는 느낌을 받을 줄 알았는데 신랑은 왜 설거지거리만 늘리고 번거롭게 하냐며 반찬통채 내 놓고 먹자고 해요.

어제 글에 달린 댓글에서 반찬통 채 내놓으면 비위샹적이고 막대하는 느낌 준다는 의견이 대부분이었다고 하니 분명 그분들은 직접 설거지 안 하시는 게 분명하다고 --;

시댁에서 반찬통채 먹는 습관이 들어서 그런거 같기도 하고 저는 나름 신랑 대접한다고 한 행동이 거꾸로 신랑을 불편하게 하니 반찬통 채 내놓고 먹긴 하는데 제 마음이 좀 불편하네요.
IP : 116.41.xxx.157
13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 .
    '12.3.4 2:55 PM (121.138.xxx.181)

    저희집과 비슷해요.
    남편이 설거지 자주 도와주거든요.
    반찬을 조금씩먹을만큼만 덜어 먹자면 반찬그릇, 밥그릇, 국그릇 찌개냄비등 설거지가 많아져서
    그냥 반찬그릇채 놓고 먹자고 할때가 많아요.
    그래서 저는 김치등은 조금씩 덜어먹고 나물이나 샐러드는 큰 접시에 서너가지 함께 담아요.
    오목한 반찬그릇 보다는 넓은 접시 두세개가 설거지에 편해요.

  • 2. ㅎㅎ
    '12.3.4 2:59 PM (116.41.xxx.157)

    저희랑 비슷한 집 있으시네요 ㅎㅎ
    근데 저희신랑은 설거지 잘 하지도 않으면서
    저런 소리 해요 ㅋㅋ
    제가 청소 싫어하고 신랑이 설거지 싫어해서
    제가 설거지 하는 동안 신랑이 청소하거든요
    아마 제가 반찬통 채 놓고 먹는거 불편하듯이
    차려놓고 먹는거에 불편함을 느끼는거 같아요.

  • 3. ...
    '12.3.4 3:07 PM (211.243.xxx.154)

    저희도 제가 그릇그릇에 담으면 간혹 남편이 그냥 통째로 놓고먹자고, 손님 올땐 몰라도 우리끼린 그냥 먹자! 하거든요. 그래도 왠만하면 그릇에 담아내요. 친정에서는 워낙 손님 많이오고 지금은 하숙을하셔서 아주 어렸을때부터 큰 접시에 부페처럼 덜어먹어서 그게 더 익숙해요. 국도 따로 안덜어 먹으면 친정엄마한테 쿠사리 먹고요. 그게 더 깨끗하고 간편하긴해요.

  • 4. ..
    '12.3.4 3:09 PM (211.253.xxx.235)

    설거지꺼리의 문제가 아니라 위생상의 문제기때문에 이해가 안가요.
    그냥 좀 큰 접시 하나 꺼내서 몇가지 반찬 올려두면 될텐데
    설거지가 늘어난다는 거 자체도 이해를 못하겠꾸요.

  • 5. 원글
    '12.3.4 3:11 PM (116.41.xxx.157)

    저희 신랑은 설명을 해 줘도 왜 위생에 문제가 있는지 이해를 못하겠데요.
    식구끼리 먹는 건데 더럽냐고 --;

  • 6.
    '12.3.4 3:13 PM (115.140.xxx.84)

    제로망이
    커다란접시에. 밥 . 반찬을
    먹는사람 재량껏 덜어먹는거에요
    급식그릇같은거말고 큰접시요

    젤로위생적같아 보이는데‥
    잔반 남아도 침섞이는거 걱정없구요

  • 7. ..
    '12.3.4 3:15 PM (119.202.xxx.124)

    남편 교육 시키세요. 그거 위생관념 부족이에요.
    통째로 먹다가 침 발라 놓으면 반찬 세균 금방 번식하고 잘 상해요.

  • 8. 반찬같이먹으면
    '12.3.4 3:16 PM (115.140.xxx.84)

    헬리코어쩌구같은 문제들땜에

    메스컴에서
    금연캠페인같이 식탁반찬문화도
    짚어줬음해요

  • 9. .......
    '12.3.4 3:23 PM (119.192.xxx.98)

    집안마다 다 습관이 다른데
    손님상에만 잘 차리면
    어떻게 먹든 상관없는거 아닌가요
    위생상 좀 그렇고 침 닿으면 반찬 잘 상해서
    그런건데
    남편이 싫다면 그냥 통째 꺼내놓고 드셔도
    경찰출동 안해요
    쇠고랑 안차요~

  • 10. 접시
    '12.3.4 3:50 PM (203.152.xxx.189)

    두개에 조금씩 덜어서 먹으니
    설거지 얼마 안되고 좋아요
    찬그릇채 먹으면 빨리 상하더라구요
    요즘 식재료값도 비싼데
    상해서 버리는건 싫어요

  • 11. ...
    '12.3.4 4:13 PM (121.184.xxx.173)

    보통 반찬은 접시에 덜어먹지 않나요?
    접시 설겆이하는 건 어려운 일이 아닌데 그게 뭐가 어렵다고 반찬통째로 내다놓고 먹는지.

  • 12.
    '12.3.4 4:30 PM (14.52.xxx.59)

    침 닿으면 음식이 쉽게 상합니다
    그리고 아무리 식구라도 먹던 젓가락으로 건드리면 기분 안좋지 않나요??
    전 애들이 집었다 놓는것도 뭐라고 하는데요 ㅠ
    아마 시어머님이 아이들 키울때 그리 하셨나본데 그게 싫으시면 아랑곳말고 접시에 예쁘게 놓으세요
    손님한테 대접하는것보다 예쁜 그릇 내 식구상에 정갈하게 차리는게 더 종요하죠
    전 아무리 비싸고 좋은 그릇도 다 집에서 막 씁니다,오히려 손님이야 한번 보고 말 사람도 있는데요 뭐 ㅠ

  • 13. 우주마미
    '12.3.4 7:54 PM (122.40.xxx.12)

    제가 원글님 같은경우에요..
    친정에선 항상 그렇게 먹어서 신혼때도 따로 조금씩 차려줬는데 정반대인 시댁에 익숙한 신랑이 불편해하더군요...
    근데 결혼 10년쯤되니깐 가끔 몸아프거나 힘들어서 대충 조금남은 반찬은 통째로 내놓으면 8살된 아들한테 웃으면서"엄마 진짜 힘든가보다 반찬을 통째 내놓고?"합니다.
    이젠 예쁘게 깨끗하게 내놓은 반찬이 대접받는 느낌이고 좋다고해요..
    제가 버릇 잘못 들인지 모르겠지만...건강상 좋은거같아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85068 기업체 비서겸 수행기사는 어떤 업무를 하나요? 1 궁금해요 2012/03/15 929
85067 체크카드는 환불이 이렇게 어려운건가요? 13 체크 카드 .. 2012/03/15 11,476
85066 기프트콘 나눠쓸수는 없나요? 2 질문 2012/03/15 832
85065 모르고 스티로품 알 2미리미터크기를 먹었는데 몸에 이상이 없을까.. 2 사과나무 2012/03/15 876
85064 조언 부탁드려요 1 선배맘님들~.. 2012/03/15 898
85063 위즈웰이나 컨벡스오븐 쓰시는분 계신가요? 4 전기오븐 2012/03/15 3,480
85062 어떤 이는 외식을 하는 화이트데이. 9 ㅎㅎ 2012/03/15 1,858
85061 도와주세요..mp3 문제입니다. 1 줌렌즈 2012/03/15 845
85060 참관수업옷차림..... 15 초4 2012/03/15 4,717
85059 '이달곤 메시지' 파문, '靑 공천개입설' 확산 1 샬랄라 2012/03/15 941
85058 중 1 교실에서 있었던 일... 15 걱정 2012/03/15 3,762
85057 저 영작 몇 줄만 부탁드려도 될까요? 5 d3 2012/03/15 814
85056 잠원동 반원 초등학교와 신동 초등학교.. 어느 학교가 더 좋을까.. 11 .. 2012/03/15 7,842
85055 아줌마 정신 참...;;; 2 깜빡 2012/03/15 1,404
85054 전 오늘 굴국밥이에요.. 6 깍두민 2012/03/15 1,829
85053 사랑니 발치 후 소독하러 꼭 가야하나요? 2 dd 2012/03/15 24,146
85052 “복지? 돈 없어 못해!” 발목 잡는 <조선> <.. 그랜드슬램 2012/03/15 884
85051 락앤락 같은 프라스틱류 밀폐용기,, 수십개씩 갖고 계시나요? 4 너무 많은 .. 2012/03/15 2,041
85050 화이트데이 땜에 살 찌는 소리.. 2 ^^미소 2012/03/15 984
85049 여러분이라면 여행 가실수 있겠어요? 12 이런상황 2012/03/15 2,970
85048 영어책-리딩레벨 2와 3사이를 연결해줄 책이 뭐가 있을까요? 8 엄마표 2012/03/15 3,746
85047 시사평론가 고성국씨에 대해 어떻게 보세요 13 .. 2012/03/15 1,719
85046 12월생과 뱀띠 중에 어떤게 더 좋을까요? 9 이런고민 참.. 2012/03/15 9,326
85045 직장맘 아이들은 회장, 부회장 나오지 말란 밑에 글때문에 씁니다.. 20 봄날 2012/03/15 3,908
85044 보통의 연애 -보신 분 계세요? 8 호평일색 2012/03/15 1,5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