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부모님들의 용돈, 보통 어느선에서 드리나요?

코알라 조회수 : 1,014
작성일 : 2012-01-16 14:07:50

남편이 큰아들입니다.

 결혼초에 시동생이 엄마가 돈이 없다고 해서 남편이10년전부터 어머님만 따로  한달에 30만원씩 드렸어요.

그외에 경조사,가족모임여행비,등등  다 따로 남편이 부담했었구요.

그리 한 5년 지나면서 저희 경제생활에 일시적 어려움이 와서 매달 드리는 용돈은 못드리고 명절,생신,어버이날,아니면 무슨 여행 가실때,,,병원비,가전제품 바꾸기 등등을 해드리고 있습니다.

지금 상황은 다시 용돈을 드릴 수 있는 상황이 되었는데....(아주 넉넉은아니고 )

가만히 보니 아버님이 세금 다 내시고 어머님께 150만원 가량의 생활비를 주십니다.

그런데 어머님은 항상 쪼들리시는 듯 해요...남편이 용돈을 드렸었던 기간에두요...

알고보니 저희  드린 용돈이랑 아버님이 주신 생활비에서 아끼고 생활해 남은 돈을 모아

일부 본인이 비자금으로 저축하시고 (비자금으로 최소 1억이상 있으신듯)

나머지는 예전에는 시누이와 결혼한 시동생에게 지금은 시동생에게 비정기적으로 돈이나 전세금이나 기타 등등으로 도와주시는 듯해요..그러니 나머지는 완전 절약모드입니다..

그리고 큰며느리가 자기아들한테 시어머니에게 돈못주게 해서 자기가 돈을 넉넉히 받지 못한다고 제 욕을 하고 다니셨대요..

그래서 저희 집 사정을 아시는 사촌형님께 아무래도 더 넉넉히 대드려야하나 부나고 했더니...

그러면 뭐하느냐고 어차피 본인들은 다 쓰지도 않고 그돈이 다 시동생네로 가는데...얼마전에도시동생네 티브이 바꿔줬드라 그러시더라구요..어머님은 아직 티브이 못바꿔서 저희가 바꿔드릴까 했었거든요...

그러면서 시어머니의 시동생 사랑이 병적으로 지나치니 너희가 더 넉넉히 드린다고 해결되는 건 없다

냅둬라 못고친다 그러시더군요..

저는 이런 생각이 들어서요.

남편네 3형제 아마 남편이 정말 돈은 제일 조금 들이고 키웠는데 결과적으로 가장 성공했는데...

성공한 아들이 넉넉히 주지않는다고 어머님이 욕을 하고 다니셨다는데...

이 시점에서 용돈을 정기적으로 더 드려야 하나???

어차피 드린 용돈 쓰는 건 어머님의 몫이니....하는 고민 들어갑니다.

그러나 저희가 아주 잘사는 건 아니고 대출낀 아파트 작년에 샀습니다.

남편은 자기는 더 드리지않을 거랍니다.

왜냐면 뭔가 해드리면 딱 1주일 지나면 다시 불평이 시작되기 때문에 며칠짜리 땜질 처방은 이제 싫답니다..

다들 성공한 자식은 얼만큼 해드리고 계신지요?

남편의 주장은 왜 성공한 자식은 부모가 어느정도 경제적 능력이 됨에도 불구하고 해주어야 하느나?

자기는 이정도면 되었다라는 것입니다.

참고로 저도 최근까지 죽도록 맞벌이해 돈 벌다가 병얻어 쉬고 있습니다.

명절이 돌아오니 머리가 아파서요...돈때문에..

IP : 218.48.xxx.32
4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2.1.16 2:24 PM (110.14.xxx.164)

    남편이 하자는 대로 하세요
    아버님이 주시는 돈이면 충분한데 엄한데 쓰시느라 쪼들리네요

  • 2. 왜 고민하세요?
    '12.1.16 3:07 PM (183.98.xxx.57)

    남편이 하자는 대로 하세요.2

  • 3. 원그
    '12.1.16 4:09 PM (218.48.xxx.32)

    어머님이 며느리가 잘못 들어와서 아들한테 돈못주게 한다고 하고 다니셨다니..
    객관적으로 판단이 필요해서요.
    어느 정도 성공한 아들은 어느 정도의 용돈을 드리고 있는지 궁금해서요....
    제가 욕심 사나운거지 궁금해서요...

  • 4. 냉정히
    '12.1.16 4:12 PM (175.199.xxx.183)

    생각해서 더 줘도 또 불만 나오겠네요
    어차피 먹을 욕 무리하지 마시고 형편에 맞게 하시라고 하고 싶네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65687 예전에 비듬글 올렸는데 지루성 피부염이라네요..ㅠㅠ 11 맘처럼 2012/02/04 3,206
65686 간단한 영어 문장 질문입니다. 4 .... 2012/02/04 735
65685 얼마 정도 벌면 입을 수 있나요? 34 40대옷? 2012/02/04 10,774
65684 대학선택 17 고민 2012/02/04 2,062
65683 호두 여러종류 사 보신분. 원래 미국산이 알이 작나요 5 북한산보다 2012/02/04 1,230
65682 컴퓨터 안에 있는 mp3를 어떻게 휴대폰으로 옮기죠? 6 ........ 2012/02/04 1,305
65681 요즘 성당에서 결혼하는게 인기가 많나보군요. 9 ... 2012/02/04 2,544
65680 아이허브닷컴 재구매인데.. 8 주문대기 2012/02/04 2,176
65679 엄마가 이번 여행에서 지갑을 사신다고 하는데.... 8 면세점 2012/02/04 1,592
65678 선한농부마을이란 곳의 메주는 어떤가요? 3 메주 고르기.. 2012/02/04 2,350
65677 생지옥 59 답답 2012/02/04 15,808
65676 압구정동 사자헤어 가시는분들 계세요? 9 사자헤어 2012/02/04 3,655
65675 작은 캡슐의 비타민&미네랄 영양제 추천해주세요... 3 피곤한 남편.. 2012/02/04 1,869
65674 제가 오피스텔 관리실에 취업을 했는데요.. 고무신1 2012/02/04 1,159
65673 오십넘어 잔소리 늘어난 남편. 8 언니 2012/02/04 2,014
65672 오늘 잘먹고 잘사는 법에서 윤학원 선생님 1 제자리 달리.. 2012/02/04 1,304
65671 중학생 남자애들 집에 오면 뭐하고 노나요? 5 부르르 2012/02/04 1,672
65670 여자들에게 병역세를 징수하라! 징수하라! 빠뿌 2012/02/04 523
65669 기사를 보다가 (방사능생리대) 라고 봤네요?? 어떻게 생각하세요.. 8 까만콩 2012/02/04 10,849
65668 한식 중식 양식.. 조리사 자격증은 따려면 얼마나 걸릴까요? 5 -_- 2012/02/04 3,400
65667 화사하면서 순한 화운데이션 추천해주세요 4 수지 2012/02/04 2,054
65666 나꼼수 논란종결을 위한 왜곡된 팩트와 리액션 정리 썩다른상담소.. 2012/02/04 1,240
65665 '보름 나물' 선물 받았는데요... 네가 좋다... 2012/02/04 813
65664 반숙 카스테라 만들어 드세요! 간단한 레시피! 5 달별 2012/02/04 3,315
65663 파리바게트 케익 어떤게 맛있나요? (급질) 19 .. 2012/02/04 3,5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