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육개장에 고사리 토란대 필수요소인가요?

lana 조회수 : 4,551
작성일 : 2011-11-02 18:19:16
외국에 살고 있어서 생각나는 음식 한두개가 아니지만요즘엔 육개장에 꽂혀서...소고기 파 말고 꼭 들어가야 하는 재료는 무엇인가요?간단히 맛있게 끓이는 비법 있으신 분들해외동포 하나 돕는 셈 치고 좀 알려주시면 고맙겠습니다.
IP : 120.140.xxx.235
17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근데
    '11.11.2 6:26 PM (14.45.xxx.205)

    토란냄새 넘 좋지않나요?
    입맛을 확 살려주는..

  • 쓸개코
    '11.11.2 7:34 PM (122.36.xxx.13)

    저도 그 토란대 먹는맛에 육개장 먹어요^^

  • 2. 고사리
    '11.11.2 6:27 PM (112.153.xxx.240)

    토란대도 넣음 좋지만, 고사리는 필수인듯 해요. 맛이 달라요.

  • 3. 음...
    '11.11.2 6:28 PM (121.140.xxx.185)

    저는 느타리버섯을 길쭉하게 찢어서 듬뿍 넣어 먹어요.

  • 4. 저는
    '11.11.2 6:33 PM (112.148.xxx.164)

    토란대는 안 넣을때도 많아요..고사리, 숙주, 파, 버섯 이렇게만 넣어요.. 특히 버섯을 좋아해서 버섯을 종류별로 다 넣어요.. 아 갑자기 먹고싶네요..

  • 5. 사과나무
    '11.11.2 6:33 PM (14.52.xxx.192)

    두개 빼면 쇠고기무국 같아요. 저는 그래도 고사리, 토란대 없어도 맛있어요.

  • 6. 커피향
    '11.11.2 6:40 PM (180.71.xxx.244)

    저도 다른건 안 넣어도 고사리 숙주 대파는 꼭 이것만 있음 대충 맛나더라구요.

  • 7. lana
    '11.11.2 6:44 PM (120.140.xxx.235)

    고사리 없이 가보려고 했는데 소고기 무국 같다는 말씀에 좌절이네요.
    쉬운 레서피도 좀 부탁드릴께요.

  • 8. ..
    '11.11.2 6:56 PM (1.225.xxx.40)

    고사리, 토란대가 필수는 아닙니다.
    무가 안들어가는데 무슨 무국같아요?
    저희친정이나 시집이나 그런거 안넣어도 주위에서 최고로 맛좋은 육개장이다 소리 들어요.
    jasmine님의 육개장은 심지어 파만 들어갑니다

  • ..
    '11.11.2 6:58 PM (1.225.xxx.40)

    고기와 파가 필수고요 나머지 토란대, 고사리, 버섯, 숙주 등등은 다 옵션이에요.

  • 9. 경력자
    '11.11.2 7:07 PM (218.153.xxx.77)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어요..고사리 토란대 없이도 맛있는 육개장 가능해요


    1. 질좋은 고기(질좋은 양지로 많이 써요...한국이라면 한우지만 외국이라면 현지 사정 맞게^^얇은것 말고 두툼한 양지로요 얇은양지는 국물도 잘 안나거든요...질좋은 고기에서 특유의 맛있는 감칠맛이 나옵니다)
    2. 다소 많다 싶은 양(적게 끓이면 그 맛이 안나요..좀 많다싶게 끓이세요 기본1킬로이상)

    3. 물을 다소 적게 잡으세요(고기국물이 진해야 맛나요,,,맹물되지 않게 조심)
    4. 바닥 삼중냄비로 끓이세요(바닥이 얇으면 국물만 쫄아들뿐 잘 익지도 않고 맛도 떨어져요)

    5. 파를 많이 넣으세요..고기1킬로에 1단 다 쓰실정도의 비율..파가 많이 들어가야 단맛이 납니다
    6. 양념재료..마늘같은것도 음식 직전에 빻은 신선한 걸로 쓰세요...요즘 새댁들은 만들어진 양념쓰니
    맛이 안나는 경우가 많아요
    7. 국간장으로 간하세요 소금쓰지마시고요 소금은 써집니다..맛좋은 국간장이 맛내기 비결이고요
    8. 고추기름 내실필요없어요..괜히 겉기름만 돌고 별롭니다..고기자체의 기름으로도 충분해요
    9. 계란 같은것 풀지 마세요...깊은맛 안납니다
    10. 자꾸 냄비 뚜껑열고 들여다보고 자꾸 저어주고 그러지 마세요..초보자들이 자꾸 음식을 만져대서
    음식맛이 떨어져요...뭉근한게 국물낼땐 뚜껑 자꾸 열지 말고 두세요


    질좋은 고기 삼중냄비에 물 넣고 푹 끓이시다가 고기가 익으면
    고기를 건저 결대로 썰던가 찢고 갖은 양념으로 무치세요(마늘,고춧가루, 국간장 등..간간하게)
    뜨거울테니 장갑같은것 끼고 무치시고요...이것만 먹어도 맛있게..무치세요
    그다음 다시 냄비에 투하하고...파 숭덩숭덩 크게 잘라 많이 넣고...푹 끓이세요
    모자라는 간은 국간장으로....

    그런데 해외라 국간장이 있으실지 모르겠네요..^^

  • ..
    '11.11.2 7:14 PM (175.112.xxx.72)

    주부 20년이 다 되어가지만 너무 쉽게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저도 해보겠습니다.^^
    한 번 해보고 이맛도 저맛도 아니라는 타박 들은이....

  • 10. lana
    '11.11.2 7:08 PM (120.140.xxx.235)

    정말정말 감사합니다.
    경력자님 말씀 숙지해서 한번 잘 끓여볼랍니다. 자스민님 레서피도 찾아봐야겠네요.

    국간장은 시어머님이 보내주셔서 있는데 삼중냄비에서 막히네요... 하아
    혹시 압력솥이나 비전 유리냄비도 가능할까요?

  • 경력자
    '11.11.2 7:16 PM (218.153.xxx.77)

    뭉근하게 장시간 끓여야 고기의 단맛이 우려나요...압력솥은 안되고요 비전이 나을것 같아요
    비전보다 바닥이 더 두꺼운 스텐 냄비가 있으시다면(뚜껑있어야 하고요) 이게 더 낫고요
    고기 익힐때 뚜껑 덮고 푹 익히세요..처음엔 센불..일단 끓으면 중불로 줄이시고요
    도움이 되셨다니 저도 좋네요^^

  • 11. lana
    '11.11.2 7:10 PM (120.140.xxx.235)

    연속으로 무식한 질문 죄송하지만
    파는 꼭 대파여야 하나요? 여기 대파는 릭이라고 파맛이 아니어서.
    쪽파 비슷한 빨간뿌리 파는 있던데 요걸 써도 될까요?

    그리고 혹시 저희집에 있는 저 큰 암웨이 냄비 저것이 삼중냄비일까요?
    추측까지 하시게 해서 죄송합니다. 꾸벅

  • 경력자
    '11.11.2 7:24 PM (218.153.xxx.77)

    하하...네 한국에선 당연히 대파인데요...특히 이 잎..파란부분이 많이 들어가야 감칠맛도는 단맛이 맛있게 나요
    릭..이 뭔지 지금 찾아봤는데 보기엔 대파같은데 맛이 많이 다른가요? 제 생각엔..릭이랑 빨간뿌리파를 섞어서 하면 어떨까 싶어요

    암웨이 냄비바닥 두께를 손을 대략 짚어보셔서 비전이랑 비교해 더 두터우면 이걸로 하세요
    삼중냄비 말씀드린건 냄비가 두터우면 수분 증발이 잘 안일어나면서도 고기가 속까지 잘 익고
    결과적으로 국물맛도 더 깊어져서요
    얇은 냄비일수록 국물은 금방 증발되어 타버릴뿐 뭉근히 익히기 힘들어지고 그래요
    저도 새댁일땐 이것저것 실패 많이 하고 그랬는걸요..^^ 화이팅이요!

  • 12. lana
    '11.11.2 7:31 PM (120.140.xxx.235)

    경력자님

    제가 얼마나 감사해하는지 아마 모르실거에요.
    정말 고개숙여 감사드립니다.
    꼭 성공해서 정성껏 알려주신 보람 있으시게 해볼께요. 불끈!

    좋은 저녁 되셔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49336 결혼 8개월 밖에 안됐지만.. 아줌마가 되어가는게 느껴지네요.... 6 아줌마 2011/12/12 2,719
49335 용인근처 미용실 추천해주세요. 골룸 2011/12/12 1,815
49334 아이가 담배를... 11 땡비맘 2011/12/12 3,718
49333 새로나온 떠먹는 요구르트 yaani 2011/12/12 1,795
49332 8일된 아기 햄스터 엄마가 죽었어요..ㅠㅠ 4 햄스터.. 2011/12/12 4,197
49331 초4 집에서 공부 어떻게 봐 주시나요? 1 쌍둥맘 2011/12/12 1,985
49330 한국 산업 기술 대학교는 어떤지? 3 대학질문.... 2011/12/12 2,522
49329 좋은쪽만으로 생각한다는 우리 올케... 7 시누이 2011/12/12 3,397
49328 초등 1학년 낼 눈썰매 타러가는데 옷 어떻게 입혀야 할까요?? 3 고민 2011/12/12 2,312
49327 방금 뭔가가 후딱하고 지나갔는데..... 6 jk 2011/12/12 4,076
49326 초등아이 50점 받아와도 내버려두실분? 19 어디에한표 2011/12/12 3,959
49325 아이들 방학대비 뭐 준비하신거있으신가요? 5 방학 2011/12/12 2,472
49324 숭실대학이 어떤가요?? 4 ... 2011/12/12 4,086
49323 전세도 공동명의로 해야할까요? 6 공동명의 2011/12/12 5,440
49322 애가 비염. 감기. 폐렴...홍삼 효과가 있을까요? 걱정 2011/12/12 2,273
49321 주변에 종편 방송 보는 사람있어요? 10 sfd 2011/12/12 2,954
49320 4시 5시 ..애들 밥 주는데 맞추는 엄마.. 6 화합 2011/12/12 3,466
49319 지금..김미화의 여러분에 유시민 대표님 나오시네요~ 1 주목 2011/12/12 1,903
49318 30대후반 뭘 사용하면 좋을까요? 1 미샤...... 2011/12/12 2,043
49317 펌)삽질의 재앙: 토지 주택, 정책 주택금융,전력, 도로부채- .. sooge 2011/12/12 1,963
49316 프랑스는 110볼트 쓰나요? 아니면 220볼트 쓰나요? 2 .... 2011/12/12 3,671
49315 자궁내벽이 얇으면 5밀리 ㅠ.ㅠ 착상이 정말 안될까요? 3 임신소망 2011/12/12 4,091
49314 입춘일에 결혼하면 안되는가요? 스위스초코 2011/12/12 2,318
49313 초정 탄산수 많이 먹어도 될까요? 5 임신초기 2011/12/12 3,912
49312 제가 조그만한 분식점을 하게되었어요 8 첫걸음 2011/12/12 3,6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