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혹시 지진나면 아파트 고층 저층 중에 어디가 위험한가요?

ㅇㅇ 조회수 : 5,125
작성일 : 2023-02-08 10:33:06

고층 저층 중에 어디가 더 위험한가요???
IP : 119.69.xxx.254
28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다위험
    '23.2.8 10:34 AM (39.7.xxx.195) - 삭제된댓글

    다 위험하죠

  • 2. 다 아닌가요?
    '23.2.8 10:35 AM (223.38.xxx.210)

    무너지면 뭐 고층이나 저층이나

    그런데 증후 있을땐 대피하는건 저층이 빠르겠죠

  • 3. 다죽는
    '23.2.8 10:35 AM (61.105.xxx.11)

    그런거 없이
    그냥 폭삭

  • 4. ㅇㅇ
    '23.2.8 10:35 AM (119.69.xxx.254)

    건물이 무너진다는 상황에선.. 어디가 위험할까요

  • 5.
    '23.2.8 10:35 AM (1.225.xxx.114) - 삭제된댓글

    다죽어요.
    그나마 저층이 좀나을지

  • 6. 일단
    '23.2.8 10:36 AM (112.153.xxx.249)

    저층은 전조증상이 보일 때 대피하기는 좋겠고,
    갑자기 무너진다면 고층은 충격이 더 클 것 같고...
    다들 피해를 입겠지만 굳이 따지자면 그래도 저층이 더 낫지 않을까요?

  • 7. 우리나라는
    '23.2.8 10:36 AM (125.204.xxx.129)

    지진이 빈발하는 곳이 아니라서 내진설계가 제대로 되어 있지 않아 다 위험해요.

  • 8. 다 죽죠
    '23.2.8 10:38 AM (223.38.xxx.210)

    천정만 무너져도 다치는데 윗층도 다 무너지일텐데요
    (건물만 무너지나요 가구등 물건도 다 쏟아지고 난리일텐데 그 하중 대단하겠죠)

  • 9. ㅁㅁ
    '23.2.8 10:39 AM (49.167.xxx.50) - 삭제된댓글

    별 의미없지 않나요? 전조증상도ㅠ별로 없는 모양인데요 ㅠ
    전에 재일교포가 티비에 출연해사 지진에 대해 이야기하는데
    일본은 지진이 많은 나라라 내진설계가 잘 되어 있는데
    그 내진살계도 옆으로 흔들리는 지진은 아니 정도 견디는데
    아래위로 흔들리는 지진에선 그것도 잘 못 견딘다고 그러다군요
    아래 위로 흔들리는 지진 있고 옆으로 흔들리는 지진이 있다는 건 또 처음 알았네요

  • 10. 무너지면
    '23.2.8 10:40 AM (175.199.xxx.119)

    살 확률은 고층이라더라고요

  • 11. ...
    '23.2.8 10:41 AM (211.104.xxx.198) - 삭제된댓글

    한국은 아파트가 워낙 많고 일본만큼 꼼꼼하게 내진대비 설계된것도 아니라서요
    저층이 그나마 나을거 같아요

  • 12. ㅇㅇ
    '23.2.8 10:43 AM (118.235.xxx.227)

    건물 무너질정도면 고층이 낫지않나요 저층은 깔리는데

  • 13. ........
    '23.2.8 10:45 AM (59.15.xxx.53)

    요즘 신축은 내진설계가 되어있는데
    예전에 지어진 아파트는 정말 다 무너질거같아요....ㅠ.ㅠ

  • 14. ahwl
    '23.2.8 10:47 AM (211.197.xxx.68)

    저층이죠
    뛰쳐나가기도 싶고

  • 15. ..
    '23.2.8 10:51 AM (39.7.xxx.235)

    당연 저층이 안전하죠
    대피가 빠르잖아요
    고층은 꼼짝없이..

  • 16. 그럼
    '23.2.8 10:54 AM (112.153.xxx.249)

    내진설계 적용된 아파트는 언제 이후 지어진 아파트일까요?

  • 17. ㅎㅎ
    '23.2.8 10:56 AM (112.172.xxx.15) - 삭제된댓글

    낮은거물 저층이 제일 안전하고
    대피가능함 저층 .불같은 태풍에도 저층이

  • 18. ......
    '23.2.8 11:04 AM (211.250.xxx.45)

    제가 포항살아서.......
    또 건축일을해서.....

    당연히 지진이 어느정도냐에 따라 다르지만
    가장 위험한 건물은 벽돌건물
    그다음은 1층이 주차장인 피로티건물순인데요
    내진설계가 반영이 되었다해도 그당시 기준이 다 다르기때문에 아무래도 오래된아파트는 어느정도 금은 갈거에요
    90년대 초반이후정도는 어느정도 반영은 되어있어요

    지금 새로짓는건물은 2층이상이거나 주택은 1층이라도 무조건반영 (시공을 어찌하냐가 관건)

    지진나고 40층에 살던 지인
    정말 트라우마 너무심해서 (위로 갈수록 흔들리는폭이 크니까)
    1층으로 이사갔어요

    아파트가 무너질정도의 지진이면 저층고층 의미없어요

    자연앞에 인간은 나약하기만합니다

  • 19. 내진설계
    '23.2.8 11:05 AM (14.32.xxx.215)

    우리나란 믿을수도 없어요
    저층은 그냥 다 죽고
    고층도 최고층일때 정도
    그것도 바닥 벽체가 안전해야 살아남겠죠

  • 20. 전에
    '23.2.8 11:07 AM (112.153.xxx.249) - 삭제된댓글

    가끔씩 지진증상 느꼈다는 글들 올라올 때 있었잖아요.
    근데 그 글들 올라올 때마다 저는 한 번도 느낀 적이 없었거든요.
    당시 저희 지역 커뮤니티에도 글들이 올라오고 그랬는데요.
    윗글 읽고 보니 저희집이 3층이라 아무래도 흔들리는 폭이 적어서 덜 느꼈나 싶네요.

  • 21. ...
    '23.2.8 11:41 AM (59.15.xxx.61)

    저층이 그래도 안전하죠

  • 22. 통계
    '23.2.8 11:51 AM (211.197.xxx.68)

    지진이 잦을수록 저층거래가 활발하대요

  • 23. 똑같다니ㅋㅋ
    '23.2.8 12:01 PM (39.7.xxx.208)

    저번 포항지진크게 났을때
    저 1층이라
    바로 튀어나갔는데
    고층사람들 울고불고 난리치며
    계단 걸어내려왔어요.
    어르신들 있는집
    애들 있는집
    대피 엄청느렸고요.

    계단 내려오면서
    극심한 공포에 떨었대요.

    바로 튀어나갈수 있는 1층이
    그나마 낫죠.

  • 24. ,,
    '23.2.8 12:02 PM (223.63.xxx.100)

    전에 보니까 일군 브랜드 아파트들도 벽돌 쌓아놓고 시멘트도 안바른 상태 그게 문제라고 나오던데요
    우리도 욕실 수리할때 보니까 타일 뜯어내고 안에는 벽체에 벽돌쌓아만 놓은 상태
    정말 눈가리고 아웅이던데요

  • 25. ..
    '23.2.8 12:11 PM (49.173.xxx.146)

    몇년전 21층 살때 지진났는데 건물이 흔들흔들..
    강진이면 꼼짝못하고 죽을듯한 공포에 지금 일층사네요~

  • 26. 아파트는
    '23.2.8 12:58 PM (112.153.xxx.249)

    대부분 철근콘크리트 구조잖아요
    위에 벽돌 이야기는 내부 가벽 이야기겠죠.
    고층아파트를 벽돌구조로 쌓는 건설사가 어디 있어요?

  • 27. . .
    '23.2.8 1:22 PM (1.225.xxx.203)

    밖으로 대피하는걸 제외하고
    무너졌을 때를 가정하면
    아래쪽으로 내려갈수록
    튼튼하다고 들었어요.
    아무래도 건물 하중을 견디도록
    설계되었을테니까
    지하주차장 기둥 옆이 안전하다고 들었어요.

  • 28. 불이야
    '23.2.9 10:20 AM (58.123.xxx.140)

    불나고. 23층에서 비상계단으로 내려오는데 공포감 말도 못했어요
    골절로 엄마가 다리에 기부스까지해서 다들 뛰쳐나가는데 우리는 거북이 걸음 ㅜㅜ 다행히 큰불로 안번지고 그집 환풍기에불이나서
    그집만 조금 불타고 ㅜㅜ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747375 아직 화요일인데 너무 피곤합니다 1 15:53:09 39
1747374 엄정화는 연애를 쉰적이 없다는데 3 15:52:58 147
1747373 몽골여행 다녀오신 분 계세요? .. 15:52:19 46
1747372 저 촉이 좋은 편인데 사이비종교 하나 만들어서 교주 할까요? 5 .... 15:47:38 266
1747371 스텐 내솥 밥솥으로 바꾸니 신세계네요 3 스텐 15:46:17 317
1747370 인천 송도 5성급 호텔 갔는데 음식이 오래된 것이었어요. 1 ..... 15:41:11 565
1747369 국힘 지지율 12% 곧 간판갈이 갑니다. 6 ... 15:40:39 475
1747368 사무실이 천국 15:38:43 215
1747367 양천구강서구 협박 안하는 인테리어 업자 2 그린 15:38:08 250
1747366 대통령은 퇴임해도 aswg 15:37:28 194
1747365 명절이 그립다 !! 4 수잔 15:31:41 673
1747364 한식에 청양고추 대신 서양고추 넣으면 어떤가요? 5 청양고추 대.. 15:25:18 254
1747363 개그맨.김병만씨 15 이해가.안되.. 15:24:18 2,174
1747362 여름에 사무실에서 슬리퍼에 맨발로 있는거 어때요? 9 ..... 15:18:22 686
1747361 두부조림 감자볶음 냉장에 넣어야 될까요? 4 - 15:15:14 328
1747360 바질 일년 내내 키우시는 분 계세요? 3 질 gil 15:10:46 457
1747359 단독] 한덕수, 계엄 선포 직후 유인촌과 통화…정부기관 폐쇄 지.. 11 잡아넣어라 15:10:13 2,206
1747358 김거니 같은 인생 본인은 어떨까요? 18 ... 15:09:21 832
1747357 강화교동 화개정원 가보신분 계신가요 9 교동 15:05:29 399
1747356 이러다 누수 전문가되겠어요 5 아놔 15:02:08 1,219
1747355 노견 몇살까지 미용 맡기시나요? 4 ... 15:02:05 351
1747354 파리바게트 skt 50% 할인 쿠폰 6 50% 15:00:35 1,563
1747353 윤석열 대국민 사기극 들통났네요 10 o o 15:00:18 2,625
1747352 써마지 울쎄라 몇샷? 1 .... 14:59:13 348
1747351 꽈리고추 요리 11 ..... 14:56:41 6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