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개편이전의 자유게시판으로 열람만 가능합니다.

돌잔치 안해서 후회하신 분들 계세요?

조회수 : 790
작성일 : 2011-01-24 15:48:46
첫애 돌잔치를 할까말까 하다가 안했어요.
그리고 지금 둘째 임신중이네요.
근데 주변에 돌잔치는 너무너무 많네요.
안가기도 뭐하고 그렇다고 가면 밥값 5만원 달랑 들고가기도 뭐하고 그러네요.
그런거 보면 저도 돌잔치 할껄 그랬나도 싶어요.
돈도 돈이지만 일단 화려한 돌상에 사진도 이쁘게 찍어보고싶은 마음...

뭐 암튼 친구가 둘째 돌잔치를 한다기에 여쭤봅니다.
IP : 59.25.xxx.132
11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돌잔치를
    '11.1.24 4:59 PM (58.127.xxx.106)

    왜 안하나요..?
    애 한명이고 십년 넘었지만 안한다는 생각은 가져 본적이 없어서요..

  • 2. -_-;;
    '11.1.24 5:10 PM (58.149.xxx.30)

    저희 아이들 둘..
    돌잔치 안했습니다..

    돌잔치...
    나한테야 귀한 자식이지 남들한테까지 귀한 자식일까요?
    돌잔치 와 달라는 사람들 있음 봉투만 보내고 가지 않습니다.

    대신 저희 아이들 돌사진 찍어주었고,
    외가 친가 가족들끼리 근사한 식당에서 식사 한끼 먹으며 돌잡이도 하고 나름대로 할건 다 했습니다..

    돌잔치 초대 받으면 나조차도 '결혼식에도 갔는데 돌잔치도?'라는 생각이 드는데
    그런건 다들 비슷하겠지 싶어 저희 가족들끼리 조촐하게 치뤘습니다.
    후회하거나 하지 않구요.

  • 3. ..
    '11.1.24 5:51 PM (61.72.xxx.69)

    돌잔치 전 꼭 가요.. 나한테 귀한 일이라야만 가는건가요? 남의 좋은 일도 함께 축하해주면 안되나요? 윗분 참..-.-;;
    전 부모가 얼마나 힘들었을까.. 얼마나 기쁠까 생각하면서 기쁜 마음으로 갑니다.
    저도 물론 했고요..
    어차피 가서 뷔페 먹고 놀다오는 건데.. 사람들 요즘 왜이리 빡빡한지요..

    전 나중에 아이에게 미안할 것 같기도 하고 아이 이만큼 키웠다는 것이 너무나 기뻐서
    돌잔치 열심히 준비해서 했어요.. 지금도 하길 잘했다는 생각 하고요..
    나중에 추억처럼 아이와 얘기할 수 있잖아요..

  • 4. 돌잔치
    '11.1.24 6:27 PM (203.142.xxx.241)

    민폐는 맞습니다. 또래 가지고 있는 엄마들은 그렇게 생각을 하진않더라구요.
    그런데 그렇지 않은 분들한테는 민폐가 될때가 많아요. 솔직히 말씀드리면. 윗분.

    그리고 돌잔치 안해줬다고 왜 아이한테 미안하나요? 말그대로 뷔페같은데서 아는사람 다 불러서 하는 돌잔치는 안해도. 집에서 엄마표 돌잔치 해주면 그것도 돌잔치 맞는데요. 그렇게 가족과 진짜친한 친구만 부르세요

  • 5.
    '11.1.24 6:55 PM (125.186.xxx.161)

    큰애는 해 줬고 작은애는 사진관에 가서 사진 찍어 줬어요. 그것도 무척 괜찮더라구요. 가격은 사진만 찍는 건데도 만만치는 않았어요. 돌상은 집에서 제가 직접 만들어서 해 줬구요. 그런데 큰애 같은 경우는 초등학교 저학년때 학교에서 돌사진을 가져오라고 하더라구요 =_= 이유는 기억이 안 나지만요.

  • 6. @
    '11.1.24 7:49 PM (119.199.xxx.99)

    큰아이 올해 초등3학년 될거예요
    둘 다 돌잔치 안했어요 돈이 없어 안한거 아니구요
    제가 돌잔치 하겠다고 감행하면 남편은 따라오겠지만 안하겠다고하니 그러라고했어요
    나에겐 너무 귀한 자식이지만 남들에게까지 그러는거 싫었어요 민폐같아서...
    그리고 돌잔치 무렵 아이들이 잘 아프고
    돌잔치가서 보면 주인공은 힘들어하는 모습 보면서 마음 굳혔어요
    친정엄마가 서운하다고 친정식구끼리 식당가서 밥한끼했어요
    우린 돌잔치 안했지만 다른사람 돌잔치도 가네요 ㅎㅎ

  • 7. 돌잔치
    '11.1.24 7:50 PM (218.209.xxx.21)

    항상 민폐는 아니에요. 얼마전 제 친정 조카 돌잔치일때 오랫만에 제 친정 친가쪽 친척들 다 볼 수 있어서 좋았어요. 외가쪽 친척들은 명절날 친정 가면 다 볼 수 있는데 친가쪽은 힘들었거든요. 그리고 친구들 아기 돌잔치하게 되면 다른 친구들까지 다 볼 수 있어서 좋았구요. 제 아들은 항창 신종플루 극성일때가 돌이라서 친척까지만 부르고 친구들은 안 불렀는데, 친구들이 다들 아쉬워했어요. 친한 친구들 정도까지만 부르면 민폐소리 안 들을 거에요.

  • 8. 아뇨
    '11.1.24 10:42 PM (122.35.xxx.125)

    애둘다 안했어요..
    돌잔치 어른잔치 돈잔치...제 머리속의 공식^^;;;;;;;;
    어디까지나 개인적 생각이며 돌잔치하는 분들을 비난하려는 의도는 없습니다...

    돌잔치에서 토하는 주인공을 본적있는데...(결혼 8년차에 본...아주 어렵게 얻은 아이져)
    그후론 아이들에게 가끔 들었던 미안한 마음도 전혀 안들었네요...
    아이들돌잔치 할 비용은 통장 만들어 줬습니다..

  • 9. 민폐라
    '11.1.24 11:27 PM (113.30.xxx.108)

    첫째는 다 불렀고
    둘째는 민폐일것 같아 가족끼리했어요.
    그리고 돌잔치는 무조건 민폐인가요?
    두번째 댓글 같은 분이 오실까 두려워 첫째때 다 초대할때도 고르고 또 골랐습니다.
    정말이지 우리 아이 귀한 돌잔치가 남에게 '민폐'로 인식되는게 너무 싫었거든요. 우선 미안했죠.
    이왕 초대받았다면 '민폐'가 아닌 기쁜마음으로 우리 가족 즐겁게 외식하고 기쁜마음으로 와하하 웃으며 신나게 박수쳐주고 오는날로 생각함 안될까요?

  • 10. .
    '11.1.25 2:34 AM (125.141.xxx.221)

    저는 안했는데 후회없이 만족해요.
    저는 집에서 전통돌상 대여해서 가족끼리 사진찍고 식사했어요.
    돌상 차릴돈과 생일축하 복돈은 유니세프에 기부했어요.

    자기에게 특별한 날을 기념하는 방법은 사람마다 다르다고 생각해요.
    손님들 많이 불러서 잔치를 열수도 있고 가족끼리만 할수도 있고 본인이 생각하는 가장 뜻깊을거 같은 이벤트로 보내는게 후회안하는 방법인거 같아요.

    그리고 민폐얘기가 나와서 말인데 정말 기쁜마음으로 와서 축하해줄 분만 초대해주심 좋겠어요.
    어느정도 아는사람이 초대하면 참 난감해요. 그렇다고 축의금 사절도 아니잖아요.
    초대받은 사람은 고민 되는건 어쩔수 없어요.

  • 11. 저는
    '11.1.25 6:21 AM (70.53.xxx.174)

    백일 돌잔치!!!
    이처럼 민폐가 없다고 생각이 들어서 아들 둘 다 사진 만 찍고 말았네요
    사진은 앨범으로 만들었구요

    전 한번도 후회 한 적 없답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613762 영어학원,윤선생도 연말정산 가능한가요? 5 무식맘 2011/01/24 1,357
613761 이런사람.. 1 뭐지? 2011/01/24 204
613760 신형 오리털 이불 쓰시는 분 계세요? 포근 2011/01/24 130
613759 다이어트 계획??도와주세요 넘 막연해요 19 뚱거워 2011/01/24 1,421
613758 귀는 어데서 뚫죠? 5 귀걸이 2011/01/24 583
613757 산적이 꼬지?? 10 벌써 설음식.. 2011/01/24 513
613756 설날 선물로 받고 싶은거 있으세요??? 5 설날 2011/01/24 510
613755 중학교 입학하는 남자아이 선물 사려는데요... 5 추천해주세요.. 2011/01/24 551
613754 일산주민 여러부운~ 4 배달 2011/01/24 535
613753 흰머리 염색 부분 염색 기간.. 18 염색 2011/01/24 3,408
613752 지방결혼식 관광버스 간식 여쭤봐요.. 9 ^^ 2011/01/24 1,679
613751 한복맞춤전문으로(예쁘게) 잘 하는 집 어디 없을까요? 3 잠자리 2011/01/24 281
613750 기부 믿고 할 수 있는 곳 없을까요? 22 .. 2011/01/24 1,032
613749 얼마전부터 손가락이 저리기 시작했는데 점점 심해지네요... 9 걱정... 2011/01/24 964
613748 냄비 바닥에 대해 여쭤요 스타우브 2011/01/24 192
613747 발열내보오오옥??뭐가 더 급한가 눈이 있으면 보라고!! 3 수정고드름 2011/01/24 424
613746 간병인비도 영수증 받을수있나요? 3 ... 2011/01/24 393
613745 좀전에 층간소음 글,, 2 나참, 2011/01/24 605
613744 남편과의 키스..... 42 ... 2011/01/24 15,567
613743 유성에서 1박 하기 좋은 곳, 맛집 소개 해주세요. ^^ 동창모임 2011/01/24 162
613742 뭘 먹어야 7 힘없어 2011/01/24 473
613741 진주는 진준데.. 3 /// 2011/01/24 547
613740 네오플램 쿡웨어고민 1 쿡웨어 2011/01/24 282
613739 40초반부부가 같이할 수 있는 운동이나 취미생활 10 무엇이 있을.. 2011/01/24 1,640
613738 동서네가 집을 사면 보통 뭘 해주나요? 10 새집 2011/01/24 1,489
613737 예비소집일에 예방접종증명서 가지고 가나요? 4 입학 2011/01/24 253
613736 류마티스관절염, 류마티스 내과가 궁금해요 4 류류 2011/01/24 698
613735 돌잔치 안해서 후회하신 분들 계세요? 11 2011/01/24 790
613734 금은 어떻게 사나요? 1 골드 2011/01/24 332
613733 치워도 끝이 없어요 ㅠㅠ 4 우울해요 2011/01/24 7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