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개편이전의 자유게시판으로 열람만 가능합니다.

음식물쓰레기통. 제가 한 방법중 최고

초파리 조회수 : 2,288
작성일 : 2009-08-07 15:34:20
될수 있는한 그때그때 갖다 버리는데요.
밤 늦게 설거지 끝나고 옷 갈아 입기 귀찮을땐 (집에서는 노브라라서)
음식물 쓰레기버리러 나가기 정말 귀찮거든요,

그런데 그때그때 안갖다 버리면 정말 초파리 금방 생기자나요?

제가 이 방법 저 방법 다 해봤는데 최강 방법은

밀폐김치통에 넣어두는 방법이네요.
(락앤락)

냉동실에 넣기엔 양이 많고요.
다들 아시는 얘길 또 했나요?

초파리 넘 싫으신분... 밤 늦게 들고 나갈수 없는 분

락앤락 권합니다.^^


IP : 59.29.xxx.95
16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그럼
    '09.8.7 3:37 PM (211.219.xxx.78)

    락앤락에 넣어서 냉장실에 넣어두는 건가요?
    저도 음식쓰레기 땜에 미치겠어요
    아 이놈의 한식은 무슨 음식쓰레기가 이리도 많이 나오는지요..

  • 2. ㅇㅇ
    '09.8.7 3:39 PM (218.39.xxx.13)

    락앤락 김치통 만한거 좋겠네요
    저희집 양동이는 뚜껑이 헐렁해서 그런지
    벌레--;

  • 3.
    '09.8.7 3:43 PM (121.151.xxx.149)

    저도 락앤락통으로하는데 김치통처럼 큰것 말고 작은용량으로 씁니다
    이정도만해도 이삼일정도이면 꽉차거든요 그래서 가져다버립니다
    저는 일반냉장고에 넣어서 보관하죠
    그러니 상해서 냄새나는것은 없습니다

  • 4. ..
    '09.8.7 3:43 PM (118.220.xxx.107)

    살돋에 어떤님이 올리셨어요...

  • 5.
    '09.8.7 3:49 PM (211.187.xxx.190)

    그래도 쓰레긴데 어떻게 냉장고에 넣어두나요?
    갑자기 속이 울렁 ㅜㅜ

  • 6. 나도
    '09.8.7 3:53 PM (220.126.xxx.186)

    속이 울렁..아무리 내가 먹다 남긴 음식물쓰레기라지만......

    식당에서도 남긴 음식물 씻어서 먹는다고 사회적 파장까지 온 마당에

    남은 음식물을 냉장고에 넣는다고요?

    갑자기 속이 뒤집어질라고 그러네요

  • 7. 처리기
    '09.8.7 4:08 PM (125.184.xxx.42)

    냉동되는 음식물 처리기 있어요..ㅡㅡ;;(동양매직제품)
    냉장고에 음식물쓰레기는,,너무 심하네요.(쿨럭~)

  • 8. 전 그냥
    '09.8.7 4:11 PM (121.161.xxx.39)

    위생봉투에 넣어서 입구를 묶어놔요~~그럼 몇일 지나도 초파리 안생겨요
    봉투 채워지면 갔다 버리구요

    음식물 쓰레기를 냉장고에 넣는다는건 저도 이해가 안가네요 ^^;;;

  • 9. 해보니좋아요
    '09.8.7 4:12 PM (210.113.xxx.205)

    저도 저희 시어머니께서 짚락(락앤락보다 뚜껑 열고닫기 편한)을 음식물 쓰레기통으로 쓰시는 거보고 초반엔 좀 이해를 못했는데 여름되고 초파리 생기면서 궁리해보니 초파리는 무조건 밀폐해야한다고 하더라구요.

    그래서 저도 다이소에서 천원주고 밀폐용기 사다가 쓰기 시작했는데 너무 괜찮아요. 냉장고에 넣지는 않는데, 일단 밀폐를 시켜주니 초파리는 안생겨요. 하루 넘어가면 냄새나서(뚜껑 닫혀있을땐 상관없지만, 추가로 쓰레기 넣을때) 가급적 하루만에 가져다 버리려고 하는데 비닐에다 넣어서 버릴때보다 더 깔끔하게 버려지고 괜찮더라구요.

    어머님께서 하실때 이해못했는데 지나고보니 다 살림의 지혜더라는..

  • 10. 전요
    '09.8.7 4:27 PM (121.135.xxx.237)

    빨래세제통이 너무 좋아요.
    이게 습기 흡수할까봐 엄청 밀폐되는 건가봐요.
    아무리 안에는 썩어도 밖으로는 절대 냄새 안나와요.
    락앤락보다는 좀 더 허드렛거라서 맘에 들어요.

  • 11. ?
    '09.8.7 4:34 PM (211.212.xxx.2)

    저는 음식물쓰레기 나오는대로 밀폐용기에 넣어 냉동실에 얼리는데요.
    그렇게 2,3일 모아서 용기가 차면 버려요.
    그게 그렇게 울렁거릴만큼 비위 상하는 일인가요?
    어차피 내가 먹던 식탁에서 바로 나온건데
    그리고 밀폐되어 있어서 다른 음식과 만날일도 없는건데
    남은 반찬 냉장고에 넣어놓는거하고 뭐 그리 차이가 나는지 모르겠네요.
    식당에서 음식물 재활용하는거하고 비교가 될 일인지도 이해가 안되구요.
    상온에 둬서 상한 냄새 풍기는거나 초파리 꼬이는거보다 바로바로 냉동시키는게 훨씬 깔끔한거 같은데요.

  • 12. 저는
    '09.8.7 4:47 PM (116.127.xxx.115)

    평소에도 항상 밀패용기에 담아둔답니다..
    그래서 음식물에서는 안생기는데
    가끔씩 한마리씩 보이는데 어디서 오는 건지..

  • 13. 음..
    '09.8.7 4:49 PM (112.167.xxx.181)

    아침저녁으로 음식물 쌓이면 그 위에 목초액 희석액 스프레이로 뿌려요..
    초파리는 물론, 썪는 냄새도 안나고....

  • 14. 우오..
    '09.8.7 10:47 PM (210.223.xxx.59)

    목초액 희석액은 어떻게 구하는건가요?

    시중에 파나요?

  • 15. 비위가
    '09.8.7 10:57 PM (123.248.xxx.32)

    그렇게 상하시는 분들 너무하네요. 삶의 지혜 내놓은 글에서, 그것도 식당음식쓰레기도 아니고 우리가족 밥상차리며 나온 거에요...

    그런 분들은, 똥을 몸속에 넣고 어찌 살아가시는지 모르겠네요. 비위상하게스리~

  • 16. 냉동실
    '09.8.8 8:55 AM (59.19.xxx.119)

    금방 깎아서 나온 과일 껍질(물론 딱딱한 껍질 말고 음식물 쓰레기에 해당하는 껍질만) 같은 거 빨리 처리 못할 때 저도 봉지에 넣고 밀폐용기에 넣어서 냉동실에 넣어뒀다 버리곤 하는데 비위 상할 일은 아니죠. 말이 음식물 '쓰레기'지 솔직히 과일 껍질 같은 건 농약 걱정만 아니면 그냥 먹어도 되는 것 중 하나잖아요.
    상하고 묵은 찌꺼기를 넣는다는 것도 아니고 금방 금방 나온 음식물들인데 괜찮다고 생각해요.
    오히려 밖에 뒀다 초파리 득시글 거리는 거 보단 낫죠.
    냉동실에 그렇게 얼려두면 얼린 상태로 싹 떼서 음식물 쓰레기통에 버리면 되니까 물기 튈 염려도 없고 냄새도 안나고 버릴 때도 편해요.
    물론 그 때 그 때 바로 바로 버리고 오면야 제일 좋지만 그렇지 않을 때도 있지 않나요?
    비위 상하다고 하신 분들은 다들 너무 깔끔하신가보네요. ㅎㅎ.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479487 월83만원 받는 사람의 실수령액 좀 봐주세요. 4 궁금 2009/08/07 852
479486 타니타 체지방 재는 체중계 써보신 분??? 3 체중계 2009/08/07 519
479485 코스피 종가 1570선 돌파..1년만에 최고 1 ㅇㅇㅇ 2009/08/07 410
479484 HAND WASH====> 예쁜 한글이름 뭐 없을까요? 12 기현맘 2009/08/07 1,089
479483 글 지우겠습니다. 49 .. 2009/08/07 1,928
479482 7개월 아기데리고 석달해외연수 10 고민맘 2009/08/07 582
479481 직장맘은 가사도우미 어떻게 쓰시나요? 5 도우미 2009/08/07 813
479480 핸펀 벨소리중에 조용한곡으로 추천할만한 것......... 같이좀 묻어갑시당 7 바램 2009/08/07 989
479479 추석때 제주행 비행기표 어떻게 구해야 하나요? 3 ??? 2009/08/07 463
479478 갑자기 컴터에 야동이 엄청 많이 다운되어있는데요.. 17 컴맹 2009/08/07 1,261
479477 친구들 집에 초대했는데 메뉴 좀 봐주세요. 3 약간 헌댁 2009/08/07 522
479476 아래 돌잔치 부조금 보고 16 그럼 2009/08/07 1,873
479475 토욜할 해야하나요? 2 집들이는 2009/08/07 143
479474 에슐리에 새로나온 쵸코케익 드셔보셨나요?? 7 .. 2009/08/07 1,339
479473 무너지는 생태계의 보고 제주 3 세우실 2009/08/07 383
479472 음식물쓰레기통. 제가 한 방법중 최고 16 초파리 2009/08/07 2,288
479471 옥수수 껍질과 몸통도 음식물 쓰레기 인가요? 3 옥수수 2009/08/07 1,071
479470 ..4세 여아 충치치료에 마취를 꼭 해야 하나요???? 5 치과무서워 2009/08/07 756
479469 결혼을 많이 한 남자, 자녀가 86명이나 된다고.. 1 허걱 2009/08/07 337
479468 맛있는 케이크 파는곳 가르쳐 주세요 10 시나브로 2009/08/07 1,219
479467 올만에 찾아온 지인이 보험설계사 교육을 받고 있대요 4 .. 2009/08/07 673
479466 한달 고정 지출 금액.... 다들 어떠신가요. 5 무조건 안쓰.. 2009/08/07 1,168
479465 에어컨 호스가 뿌러진 경우 대처법은? 3 냐앙 2009/08/07 448
479464 자동차보험 문의요..혹 카렌스 소유하신분 계세요 ? 2 카렌스 2009/08/07 263
479463 코에 블랙헤드 5 .. 2009/08/07 1,141
479462 식혜만들고 난 엿기름 재활용가능할까요? 1 아까워 2009/08/07 651
479461 입원을 오래하는데.. 병실내 무선인터넷을 사용할수 있을까요? 1 병실내무선인.. 2009/08/07 535
479460 파트너 보시는 분 계신가요? 10 어쩌니 2009/08/07 852
479459 프린터 멀쩡할까요. 모기 2009/08/07 107
479458 대구에서 강원도..삼양목장쪽으로 놀러가요~ 8 .. 2009/08/07 6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