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개편이전의 자유게시판으로 열람만 가능합니다.

우리나라 상위 10%가구 평균소득은 935만원

제이미 조회수 : 1,287
작성일 : 2009-03-06 18:32:06
ㆍ상위 10% 연 4000만원 흑자…하위 10% 연 330만원 적자

도시근로자 가구 중 소득 상위 10% 가구는 지난해 연간 4000만원이 넘는 흑자를 낸 반면 소득 하위 10% 가구는 330여만원의 적자를 본 것으로 나타났다. 또 소득 상위 계층의 흑자 규모는 전년보다 7% 가까이 늘어났지만 소득 하위 계층의 적자 규모는 20% 이상 확대됐다. 소비지출 규모는 상위 계층이 하위 계층보다 3.6배 많았고, 교육비 지출 격차는 5배를 넘어선 것으로 집계됐다.

경향신문이 5일 통계청의 ‘2008년 가계동향’을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

◇ 상·하위 10% 가구 소득격차 8.7배=지난해 도시근로자가구 중 상위 10% 가구의 월평균소득은 935만9552원으로 하위 10% 가구(107만2521원)보다 8.7배 많았다. 상위 10% 가구의 연간 소득은 2007년에 처음으로 1억원을 넘어섰으며 지난해에는 1억1231만4624원에 이르렀다. 도시근로자 가구는 가구주가 임금근로자로 도시에 사는 2인 이상 가구를 뜻한다. 도시근로자 가구의 소득에는 근로·사업·재산·이전·비경상소득 등이 포함된다.

소득을 분야별로 살펴보면 근로소득 격차는 상위 10% 가구가 하위 10% 가구의 8.7배였고, 가구주 소득은 7배, 배우자 소득은 35.4배의 격차를 보였다. 상·하위 10% 가구의 비경상소득 격차는 22배에 이르렀고, 공적연금·사회보장 등 이전소득의 격차는 1.8배로 상대적으로 작았다.

상위 10% 가구의 가구주 평균 연령은 44.77세로 하위 10% 가구(49.81세)보다 5살가량 젊었다.

◇ 상위층은 흑자 늘고, 하위층은 적자폭 커져=지난해 상위 10% 가구는 식료품·주거비·교육비 등 소비지출로 한 달 평균 442만5396원을 쓴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하위 10% 가구보다 3.6배 많은 것이다.

상위 10% 가구는 월평균 교육비로 58만3778원을 지출해 하위 10% 가구(11만3414원)보다 5.1배 많았다. 교양오락비 지출 격차는 5.2배에 달했고, 의류·신발비(5배), 교통·통신비(4.2배)도 상·하위 10% 가구간 격차가 컸다. 식료품비(2.6배), 보건의료비(2.4배), 주거비(1.4배) 등은 상대적으로 격차가 작았다.

조세·사회보험료 등 비소비지출은 상위 10% 가구가 월평균 157만412원으로 하위 10% 가구(10만5876원)보다 14.8배 많았다.

이에 따라 지난해 상위 10% 가구는 월평균 소득에서 소비·비소비지출을 빼면 매달 336만3744원의 흑자를 낸 것으로 집계됐다. 연간으로 따지면 4036만4928원의 흑자를 낸 것으로 전년(3785만4612원)보다 6.6% 늘었다. 반면 하위 10% 가구는 연간 332만9688원의 적자를 기록해 전년(276만2460원)보다 적자폭이 20.5% 커졌다.

<오관철기자 okc@kyunghyang.com>

IP : 121.131.xxx.130
4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제이미
    '09.3.6 6:32 PM (121.131.xxx.130)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0903051903525&code=...

  • 2. ㅜㅜ
    '09.3.6 6:51 PM (211.47.xxx.2)

    평균소득은 935만원이 세전인가요? 세후인가요?
    세후라면 정말 대단한 금액입니다.
    상위10%는 꿈의 계층이네요

  • 3. ..
    '09.3.6 7:27 PM (121.166.xxx.47)

    '도시근로자 가구의 소득에는 근로·사업·재산·이전·비경상소득 등이 포함된다.' 세후일 거 같네요..
    그 사람들은 좋은 직업을 갖거나 많은 소득을 올리기 위해 남들보다 열심히 노력했겠지요.
    고소득직업 아무나 되는거 아니니까요.. 좋은 머리나 집안환경도 플러스요인이 되었을 수도 있구요.
    그나저나 빈부격차 커지는거 다들 예상했지만 점점 현실화되어서 걱정이네요.. 휴..

  • 4. ..
    '09.3.7 3:12 AM (121.133.xxx.173)

    그 사람들은 좋은 직업을 갖거나 많은 소득을 올리기 위해 남들보다 열심히 노력했답니다.
    고소득직업 아무나 되는거 아니니까요2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443107 교통사고 이후 후유증..한의원 또는 병원 소개 꼭 부탁드려요 3 무서워..... 2009/03/06 375
443106 대만전 야구 1횐데 벌써 0:6 이네요.. 5 어머머 2009/03/06 694
443105 신종 사기 전화 같아요. 8 전화 2009/03/06 1,125
443104 양주 개봉하고 오래 보관해도 되나요? 3 비워버려 2009/03/06 814
443103 캐나다 달러 조금 더 싸게 사는 방법이요??????? 2 캐나다달러 2009/03/06 464
443102 혹시 한생연이라도 아세요?(한국생명과학연구소?) 8 음.. 2009/03/06 1,237
443101 외고가려면 영어를 (수능)정도 하면되나요? 10 선택 2009/03/06 1,664
443100 마스카라 하고 싶어요. 12 갑자기 2009/03/06 1,091
443099 담임샘이 전교조샘인지 어떻게 알아요? 7 학부모 2009/03/06 1,169
443098 옛날 cf 남성화장품 선전때 미스쾌남 했던 모델분 기억하세요? 23 올리버 2009/03/06 1,543
443097 중학2학년 여드름 화장품 좋은것 추천해주세요. 3 여중생 2009/03/06 688
443096 대법 "`촛불재판논란' 대법원장도 조사대상" 4 세우실 2009/03/06 395
443095 햇빛없이 잘 자라는 식물뭐가 있나요? 8 영차 2009/03/06 1,204
443094 명란젓 살만한데 있나요? 8 ... 2009/03/06 844
443093 당신은 일본 사람 입니까? 9 창피 2009/03/06 1,301
443092 우리나라 상위 10%가구 평균소득은 935만원 4 제이미 2009/03/06 1,287
443091 쿠이즈프로 볶음스푼 무슨 색이 가장 이뻐요? 11 ? 2009/03/06 634
443090 남보다 못한 아버지 형제들. 3 한심. 2009/03/06 1,323
443089 어린이보험 어떤걸로 드셨(?)나요? 11 궁금 2009/03/06 1,046
443088 교실에 화분 넣는 것.... 6 궁금 2009/03/06 1,104
443087 이명박이 칭찬하던 두바이의 오늘 9 구름이 2009/03/06 1,340
443086 주말에 뭐하실거에요? 26 고민 2009/03/06 1,770
443085 그냥 푸념이요..ㅜㅜ 1 흑흑흑흑 2009/03/06 484
443084 채소와 야채 다 맞는 말 아닌가요? 10 몰라서 2009/03/06 1,264
443083 'PD수첩-광우병', 한국PD대상 올해의 PD상(종합) 18 PD수첩 만.. 2009/03/06 749
443082 아미쿡 후라이팬 5 궁금이 2009/03/06 844
443081 먼지 청소 어떻게 하세요? 9 청소하자 2009/03/06 1,519
443080 육영재단 끝없는 '남매 쟁탈전' 7 세우실 2009/03/06 987
443079 초등1 아이키때문에 속상해요.. 9 ^^ 2009/03/06 958
443078 상속문제 알고 싶어요 17 상속 2009/03/06 1,4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