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정과 설날의 차이점
태양력 1월1일은 신정(新正 New year's day)으로서 서양 유럽식 문화이고
태음력 1월1일은 한때 일본식 표현으로 구정(舊正)이라고 사용해오다가
우리 전래의 오래된 문화관습 전통을 되살리고자 <설날>이라는 용어로 통일하였습니다.
양력 1월1일은 신정 그리고 음력 1월1일은
반드시 <설날>이라는 명칭을 정확하게 사용하시는 것이
우리 문화를 올바르게 이해하는 것이라 할 수 있겠습니다.
일본왜정 식민시절 관습상 아직도 음력 1월1일을 고유문화 말살정책의 잔재인 구정이라고
무의식적 습관으로 말씀하는 분이 더러 있지만 그 것은 정말 잘못된 표현입니다.
<구정>이라는 용어는 박물관 속으로 들어갔습니다.
따라서 세뱃돈, 때때옷, 설빔, 떡국, 차례 등은 양력 신정보다는
음력 설날에 더 잘 어울리는 전통 문화입니다.
신정은 양력으로 1월1일을 가리키는 것으로,
1949년 <관공서 공휴일에 관한 규정> 이 만들어지면서 3일 연휴로 지정됐습니다.
당시 음력설은 이중과세(二重過歲)라는 이유로 공휴일로 채택되지 않았다가
1985년부터 '민속의 날'이라는 명칭으로 하루를 쉬었습니다.
하지만, 1989년에는 <관공서 공휴일에 관한 규정>이 개정되면서,
명칭이 민속의 날에서 설날로 바뀌면서 3일간 쉬게 되었고, 신정연휴는 2일로 줄어들게 되었습니다.
즉, 이제까지 기를 펴지 못하던 구정의 비중이 1989년에 와서야 신정보다 중요해지게 된 것이죠.
그리고 1999년, 공휴일이 많다는 이유로 신정연휴는 다시 1일로 줄게 되었습니다.
설의 의미:
설은 음력 정월 초하룻날로 원단, 세수, 정초라 고도 부른다. 원래 설이라는 말은 '사린다', '사간다'에서 온 말로
조심한다는 뜻을 가지고 있고, 또 '섧다'에서 온 걸로 보아 '슬프다'는 뜻을 가지고 있다고 보기도 한다. 따라서 설
이란 그저 기쁜 날이라기보다 한해가 시작된다는 뜻에서 모든 일에 조심스럽게 첫발을 내딛는 매우 뜻 깊은 명절로 여겨왔다. 그래서 설날을 신일(삼가는 날)이라고 해서 이날에는 바깥에 나가는 것을 삼가고 집안에서 지내면서 일년동안 아무 탈 없이 지낼 수 있게 해주기를 신에게 빌어왔다.
설날 아침에는 일찍 일어나서 새해 아침에 입는 새 옷인 "설빔"을 입고 돌아가신 조상들에게 절을 드리는 "차례"를 지낸다. 그런 다음 나이가 많은 어른들께부터 새해 인사인 "세배"를 한다. 세배를 할 때에는 새해 첫날을 맞아서 서로의 행복을 빌고 축복해 주는 "덕담"을 주고 받는다. 이렇듯 새해 첫날인 설날은 하루 종일 복을 빌고 좋은 말들 많이해 왔다.
설의 유래:
설은 한해가 시작되는 첫날 음력 1월1일이 설날이다. 설이라는 말은 '사린다',사간다에서 온 말로 조심한다는 뜻이라고 한다. 또 섧다는 말로 슬프다는뜻이라고도 한다. 설이란 그저 기쁜 날이라기 보다 한 해가 시작된다는 뜻에서 모든 일에 조심스럽게 첫발을 내딛는 매우 뜻 깊은 명절로 여겨왔다. 그래서 설날을 신일(삼가는 날)이라고 해서 이날에는 바깥에 나가는 것을 삼가고 집안에서 지내면서 일년동안 아무 탈 없이 지낼 수 있게 해주기를 신에게 빌어왔다. 설날 아침에는 일찍 일어나서 새해 아침에 입는 새 옷인 "설빔"을 입고 돌아가신 조상들에게 절을 드리는 "차례"를 지낸다. 그런다음 나이가 많은어른들에게 부터 새해 인사인 "세배"를 한다. 세배를 할 때에는 새해 첫날을 맞아서 서로의 행복을 빌고 축복해 주는 "덕담"을 주고 받는다. 이렇듯 새해 첫날인 설날은 하루 종일 복을 빌고 좋은 말을 많이해왔다.
설의 놀이:
1.널뛰기:
큰 명절 때 부녀자들이 즐기는 놀이.
도판희(跳板戱)라고도 한다.
마당에 멍석을 둘둘 말아 굄목으로 하고 그 위에 긴 널판을 가로 놓은 다음
두 사람이 판자 양쪽 끝에 마주 올라서서
번갈아 튀어올랐다가 발을 구르면 상대방은 그 반동으로 튀어오른다.
처음에는 잘 구르지 않아 널 한복판에 한 사람이 올라 앉아 구르는 편으로
이쪽 저족 몸무게 힘을 더해 주어 구르는 사람들이 힘차게 뛰어오를 수 있게 도와 주었다.뛰는 사람들은 높이 뛰어 올랐다가 떨어지는 힘으로 널판을 힘껏
굴려 상대편이 잘 뛰어오르게 하였다
2.연날리기:
연날리기는 지금도 행하여지는 민속놀이로,
오락성과 민속신앙적인 양면성을 지닌다.
3.팽이치기:
겨울에 남자 아이들이 얼음판 위에서 많이 하는 놀이로 도래기 치기라고도 한다.
팽이란 말은 18~19세기에 생긴 말이며 그 이전엔는 '핑이'라고 하였다.
조선 시대의 책들에는 팽이를 '핑이','핑이 돌리기'라고 기록 되어져 있다.
'핑이'는 물체가 '빙빙 돈다','핑핑 돈다'라는 말에서 나온 것이다.
4.윷놀이:
편을 갈라 윷으로 승부를 겨루는 놀이.
삼국시대 이전부터 전해오는 한국 고유의 민속놀이로
대개 정월 초하루부터 보름날까지 즐긴다.
부여족(夫餘族) 시대에 5가지 가축을 5부락에 나누어주어
그 가축들을 경쟁적으로 번식시킬 목적에서 비롯된 놀이라고 하며,
그에 연유하여 '도'는 돼지, '개'는 개, '걸'은 양, '윷'은 소, '모'는 말에 비유한다

개편이전의 자유게시판으로 열람만 가능합니다.
설날
솔이아빠 조회수 : 346
작성일 : 2009-01-21 19:21:35
IP : 121.162.xxx.94
1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1. 솔이아빠
'09.1.21 7:24 PM (121.162.xxx.94)신정이라는 명칭보다는 '새해 첫 날'로 얘기하는 것이 나은 것 같아요
아이들 교과서에도 그렇게 나와 있더군요.
신정보다는 훨씬 느낌도 좋지 않나요?
새해 첫 날! *^_____^*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N
번호 | 제목 | 작성자 | 날짜 | 조회 |
---|---|---|---|---|
432728 | 코치가방이요 카멜이랑 카키가 같은 색인가요? 1 | 궁금 | 2009/01/21 | 2,599 |
432727 | 수유에 도움되는 차 (tea)있나요? 8 | 질문 | 2009/01/21 | 596 |
432726 | 사주, 궁합 믿으세요? 4 | 연애초 | 2009/01/21 | 1,240 |
432725 | 우리 동네는 부자 동네가 아닙니다 -- 3 | 버스 안에서.. | 2009/01/21 | 1,883 |
432724 | 피치 "한국, 아시아 최악의 -2.4% 성장할 것" 5 | 솔이아빠 | 2009/01/21 | 546 |
432723 | 굴소스 여러가지 있는데 어디것이 맛있을까요? 9 | 굴소스 | 2009/01/21 | 1,637 |
432722 | 결혼 10년차 되니 이제 말이 조금씩 나옵니다. 4 | 원래 | 2009/01/21 | 1,748 |
432721 | 과외비는 ... 3 | 어쩌지 | 2009/01/21 | 1,020 |
432720 | 구정 전 토요일 (24일) 남대문 대도상가 문열어요? 1 | :) | 2009/01/21 | 439 |
432719 | 용산 촛불집회 현장 생중계중입니다. 4 | 너도죽어봐 | 2009/01/21 | 722 |
432718 | 빵틀이 없는데 머핀 어떻게 구울까요? 10 | 맘~ | 2009/01/21 | 1,150 |
432717 | 오비이락 1 | .. | 2009/01/21 | 356 |
432716 | 95억 부동산 부자 김은혜... 5 | old | 2009/01/21 | 4,013 |
432715 | 댓글 달아주신 너무님...~~ | 베이킹수업글.. | 2009/01/21 | 411 |
432714 | 둘째는 나만의 짐이 되겠죠.. 14 | 냐앙 | 2009/01/21 | 1,453 |
432713 | 나는 출가외인일 뿐이고.. 5 | 시누이 | 2009/01/21 | 1,294 |
432712 | 올해는 저도 한번 편하게 지내 보려구요 12 | 기필코 | 2009/01/21 | 1,445 |
432711 | 명절에 다른 집에서 자야할 때 애완동물은 어떻게 해요? 13 | 궁금 | 2009/01/21 | 909 |
432710 | 내용증명도 했는데요. 4 | 학교용지부담.. | 2009/01/21 | 554 |
432709 | 제 주민번호가 사용중이라고 합니다. 1 | 치타 | 2009/01/21 | 448 |
432708 | 질문) 타이거월드 스키장 가보신 분? 1 | 초보자 | 2009/01/21 | 2,298 |
432707 | 용산참사! 분노하지 않으면 다음은 당신 차례입니다. 9 | 사사세펌 | 2009/01/21 | 682 |
432706 | 센트륨50+ 2 | ^&^ | 2009/01/21 | 630 |
432705 | 제왕절개로 출산후 산후회복 어떻게 하는게 좋나요? 2 | 제왕절개 | 2009/01/21 | 600 |
432704 | 저희 오빠는용산철거민입니다 7 | 기린 | 2009/01/21 | 1,270 |
432703 | 설날 1 | 솔이아빠 | 2009/01/21 | 346 |
432702 | 전 맛있게 부쳐주는 곳 어디 없을까요? 5 | 임산부 | 2009/01/21 | 921 |
432701 | 초등 2학년 여학생 조카 선물 추천해 주세요 1 | 고민 | 2009/01/21 | 447 |
432700 | 전매후 | 아파트 | 2009/01/21 | 323 |
432699 | 김혜경샘한상차림옹기 | 그릇 | 2009/01/21 | 69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