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개편이전의 자유게시판으로 열람만 가능합니다.

전세계약하고..

잠못이루는밤.. 조회수 : 879
작성일 : 2005-01-16 02:32:59
구경이나 가자고 갔다가 집이 맘에 들어 계약까지 해버렸어요..
강남에서 45평 사긴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일같아 5000만원 대출받고
가려구 하지만...

걱정되는건, 우리집 전세가 안나가 중도금까지 치르고
우리집전세 나가면 그때 잔금 주고 들어가기로 했는데
계약을 두달 후로 잡았거든요.. 요즘같은때에 두달 후까지
전세가 안나가믄 어쩌나... 걱정이네요..

울집 전세 안나갈까 걱정 외에 전세를 첨 주고 살아봐서.. 대출을 첨 해봐서
울집 전세 두달까지 안나갈까봐 증말 걱정되고,
전세를 주더라도 세입자가 자꾸 모라할까봐..걱정되고..
전세간 집  대출도 받았는데 딱 2년만 살고 나가랄까봐 것두 걱정되고..
씀씀이가 규모없이 큰 편이였는데 5000만원 갚는것두 걱정되고..

지금 생각은 2년동안 내 월급은 대출금 갚는걸루, 남편월급은 생활비로
쓰면되지 싶은데.. 가능할지... 큰아이 초등학교 졸업할때까지만
긴축경제 유지하고 싶은데.. 말이죠..

계약도 처음 해보구.. 남푠이란 작자는 자느라 나혼자 다녀오래서
혼자 거의 2시간을 부동산에 앉아 있었네요...넘 무서웠어요....
집주인 아주머니가 얼마나 꼬장꼬장 하시던지.. 말이죠..

부동산 다녀와서 한시간 자서 그런지 잠이 안오네요...
말똥말똥 앉아서 걱정만 하고 있어요..

강남에서 30평대 아파트 살면 만족해야지 넘 욕심부리는건 아닌가
약간 후회도 되구... 여적 한번도 해본적 없는
허리띠 졸라매기가 과연 될지.. 싶어요..

에휴..................



IP : 220.75.xxx.113
3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마농
    '05.1.16 5:25 AM (61.84.xxx.24)

    생각하기 나름이에요.
    무리를 해서 이사를 결정하지 않으셨다면 생활이
    쪼들리지는 않으시겠지만...
    무리를 하면, 좀 쪼들리는 대신에,나중에 몇년 지나면..재산이 5천만원이
    증식되는 셈이쟎아요.
    부동산과 관련해서 재산 형성 방식은 크게 두가지같아요.
    하나는..저금하거나 투자를 하거나해서 목돈을 만들고
    그 목돈에 맞춰서 집을 넓히는 사람.
    두번째는..일단 조금 무리를 해서 집을 넓히거나 땅을 사고..
    그 돈을 갚기 위해서 열심히 저축하거나 일을 하는 사람.
    전자가 안전하고 모범적이지요.
    그런데..실제 경제생활에서는 보통은 전자의 경우보다
    후자의 사람들이 재산증식속도가 훨씬 더 빠릅니다.
    (사람들이 혀를 내두를 정도로 의지가 강한 사람들은
    전자의 방식으로도 충분히 빠르게 재산증식을 하지만요.)
    너무 마음 답답하게 걱정 하지마시구...
    후자의 방식으로 재산증식에 접근했노라구
    자신감있게 생각하세요.^^...
    씀씀이가 규모없이 큰 편이셨다면..더 잘 하셨어요.
    씀씀이라는게 늘리기는 쉬워도 늘어난 규모를 줄이는 것은
    너무너무 힘들거든요.
    그럴땐...일부러라도...2-3년 정도 아끼고 살면
    갚을 수 있을 정도의 빚을 내어서 (3년 넘게 갚아야하는
    빚은 오히려 역효과가 나기도 하는 것같아요.
    사람이 너무 지치거든요.너무 지치면 자포자기하기 쉽상이구..)
    부동산을 늘리는 방법이 좋다고 생각하거든요.
    물론,그 부동산이 투기적인 성격이 강한 것이라면....
    쉽게 생각할 문제는 아니겠지요.
    전세같으면..^^...원금보장은 되는거니 투기랑 관계없구.
    그동안 나가는 이자손실이야..좋은 집에서 쾌적하게
    사는 비용으로 생각하면 되는거구...
    여하간 몇년 고생하면 5천만원 재산이 늘어나쟎아요!
    작은 집에 그대로 살면서...
    살림규모도 최대한 줄이고 이자나갈 돈까지도
    저축하는게 더 낫겠지만... 그거 실천하는게
    쉽지가 않으니, 차선책으론 원글님 방법이
    좋다고 전 평소 생각했거든요. 차선책이지만
    저를 포함한 대부분의 사람들에겐 오히려 최선책인 방법이구요.
    그러니 걱정하지말구..기분좋게 생각하세요.^^

  • 2. 쵸코파이
    '05.1.16 9:24 AM (211.33.xxx.35)

    두달이면 전세 충분히 나가실거에요.. 걱정마세요

  • 3. 원글
    '05.1.16 10:45 AM (220.75.xxx.113)

    두 분 말씀 넘 고마워요.. 조금 낙관적으로 보게 되네요.. 아자! 힘 내려구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29220 친구가 좀 이상해졌어요 17 힘든이 2005/01/14 1,990
29219 요리 고수님들~~ 한수 갈챠주세요~ 1 파스타 2005/01/14 878
29218 유산해 보신분 계신가요? 10 에휴~~ 2005/01/14 913
29217 용인 죽전 근처.. 음식배달 맛있는 집 알려주세요~ 1 배고파 2005/01/14 926
29216 한천으로 무스케이크 만들 수 있나요? 1 한천 2005/01/14 1,128
29215 과일 예쁘게 깎는 방법 나온 싸이트 알려주세요 2 과일 2005/01/14 880
29214 말끝마다 시비조로 대답하시는 시모,형님 어찌하면 좋을까요? 4 질문 2005/01/14 1,147
29213 사랑니와 신경치료.. 6 또..익명 2005/01/14 901
29212 아기 빈혈검사, 소아과에서 하나요? 5 엄마는 왕초.. 2005/01/14 914
29211 어디로 갔을까요? 6 둘째 2005/01/14 878
29210 출산 후 아기 육아, 어찌해야 할까요... 9 걱정엄마 2005/01/14 894
29209 여러분은 남의 결혼식 얼마나 생각이 나세요? 15 헌 신부 2005/01/14 1,538
29208 샤워커텐 질문 2 살림초보 2005/01/14 895
29207 삼성제일병원 산후관리센터 어떤가요? 7 Goosle.. 2005/01/14 951
29206 친구의 남자친구가 너무너무 불편합니다!(표현은 못하지만, 정말 가슴이 답답해요) 8 고민녀 2005/01/14 2,207
29205 저렴한 가격에 홈베이킹 배울만한데가 있을까요??? 8 Silver.. 2005/01/14 903
29204 시댁 생신, 어버이날 등등 외식비용은 어떻게 처리하나요? 8 둘째 2005/01/14 1,264
29203 아이를 키우는것이.. 1 사람.. 2005/01/14 880
29202 산후조리원에서 모자동실하면 많이 힘드나요? 11 stella.. 2005/01/14 1,367
29201 이사관련- 각종 세금 문의..^^;; 3 질문이..^.. 2005/01/14 912
29200 우리 시어머니 말씀(가볍게 읽어주세요.) 10 둘째 2005/01/14 1,564
29199 핸드폰 기본요금 어떤거 쓰세요? 3 핸드폰~ 2005/01/14 895
29198 월 수입 대비 보험료 얼마가.. 5 저축하자!!.. 2005/01/14 900
29197 (상담)시동생이... 글 지울께요... 21 나쁜 형수 2005/01/14 1,852
29196 아로나민 골드........ 6 똘이밥상 2005/01/14 1,083
29195 산후조리원에서...조언좀해주세요 3 물빛 2005/01/14 899
29194 돈 빌려달라는 문자를 받으면..ㅠ.ㅠ 9 상은주 2005/01/14 1,883
29193 혼자 여행가기. 11 .. 2005/01/14 1,350
29192 눈 호사 시켜드릴께요. 10 namsan.. 2005/01/14 1,640
29191 남편들 외박 자주 하나요? 11 아줌마 2005/01/14 1,3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