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달에 집 잔금을 치뤘구요.
회사 신용대출 8천(금리가 낮아서) 시중은행 주담대 8천 이렇게 총 1억6천이요.
근데 주식 수익도 생기고 연말 성과급도 좀 받고 해서 여유자금이 4천 가량 생겼어요.
중도상환수수료가 없어지는 시점이 3년이라고 하던데 이런 경우는 그냥 대출금 갚아나가다가 3년 동안 돈을 모아뒀다가 3년 뒤에 한꺼번에 갚는건가요?
대출은 처음 받아봐서 질문드립니다. 다들 어떻게 하시나요?
이번달에 집 잔금을 치뤘구요.
회사 신용대출 8천(금리가 낮아서) 시중은행 주담대 8천 이렇게 총 1억6천이요.
근데 주식 수익도 생기고 연말 성과급도 좀 받고 해서 여유자금이 4천 가량 생겼어요.
중도상환수수료가 없어지는 시점이 3년이라고 하던데 이런 경우는 그냥 대출금 갚아나가다가 3년 동안 돈을 모아뒀다가 3년 뒤에 한꺼번에 갚는건가요?
대출은 처음 받아봐서 질문드립니다. 다들 어떻게 하시나요?
산수를 해보세요
지금부터 4천이 3년동안 나가는 이자
중도수수료
둘 중 어는것이 금액이 큰가
지금 중도상환수수료 계산해보고, 남은 대출이자보다 그게 싸면 먼저 갚죠.
대출 만기 전에 대출금을 갚으면
중도 상환 수수료를 내야되는데
3년 뒤부터는 만기전에 갚아도
중도상환수수료가 없단 얘기예요
중도상환수수료가 올해 확 낮아져서 4천 상환이면
수수료 얼마 안나올겁니다
3년간 이자 내는것보다 갚는게 나아요
오 그렇군요
감사합니다
이자가 얼만데요? 4%이하면 굴리다가 갚는다에 한표
있을때 빚 갚으세요.
굴리긴 뭘 굴려요.
그게 굴러서 더 큰 빚으로 돌아올수도 있어요.
주식말고 cma같은거 말이죠 갚을돈이니까.
그냥 수수료 내면서 빨리 갚아갔습니다. 이자를 내고도 이득 입니다.
한 푼이라도 월 이자를 안내는게 남는거에요.
이자 낼 돈이 남으니 이것도 점점 원금 갚기가 수월해지고요.
3년뒤에 수수료 안내도 될 때 되니까 다 갚았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