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Banner

메니에르병 걸렸는데 외근직 공무원입니다.

고민 조회수 : 3,121
작성일 : 2025-11-26 01:18:38

 

 

안녕하세요? 최근에 메니에르 어지러움증으로 고생하고 있는

현장직 공무원입니다. 적지 않은 시간 동안 외근직으로 잘 

근무하고 있었는데 새로운 업무 맡게 되고 절대 실수하거나

안전사고나면 안된다는 불안 속에서 근무를 마치고 집에

돌아왔고 최근에 어학점수 관련해서 시험도 준비했고

말 안 듣고 위계질서 모르는 후배 직원과 갈등이 깊었습니다.

그런 가운데 감기까기 걸려서 감기 낮게 한다고 매콤하고 짠

라면을 먹었더니 어지럽다가 응급실 갔습니다. 걸리고 나서 

보니 메니에르에 걸릴 모든 조건을 갖추고 잇었더라구요. 

 

10월 15일에 발병했고 발병 후에 입원했고요 4일 동안

발작성 어지러움증 왔고 그때마다 구토했습니다. 그 이후에 

응급처방약 받은 걸로 전조증상 있을 때마다 먹어서 어택

(발작성 어지러움과 구토)는 아직 없네요. 6주의 병가를 냈고

곧 복귀하는데요. 갑자기 찾아온 느닷 없고 날벼락 같은

질병이라서 저 자신에 대한 자신감과 나의 건강에대한 믿음이

많이 위축된 상황입니다. 그렇지만 이제는 체력적으로도 많이 

회복이 돼서 충분히다시 외근직으로 근무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물론 병가 중이라서 직업적 스트레스에 대해서 지금은 매우 자유로운 

상황이고 영양적으로도 카페인 제로, 저염식으로만 하고 있고요.

그래서 복귀에 대한 자신감을 갖고있는데요. chatGPT에게 같은 

내용으로 물어보았는데 현장직으로 외근직으로 근무하는 것에 

대해서는 저뿐만 아니라 동료에게도 위험이 될 수 있다면서

매우 부정적으로 보는 거 같습니다.  이곳 회원님들의 의견이

궁금합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ps. 최근 어떤 책을 읽어보니 '왜 나에게만 이런 일(또는 각종

불행)이 있는 것인가?'라는 질문은 어리석은 질문이라고 하네요.

그렇지만 왜 저에게 이런 일이 있고 이런 불운을 현명하게 영민하게 

회피하지 못했는지에 대해선 여전히 답답하고 저 자신을 자책하게

됩니다. 나라고 불행하지 않아야 한다는 어떤 법칙이  있는 건 아닌데 

말이죠. 이 부분도 혹시 도움 주실 수 있는 내용이 있으시면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IP : 38.96.xxx.77
13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ㅁㄴㅇ
    '25.11.26 1:27 AM (182.216.xxx.97)

    일단 음식을 조심히 드세요, 몸에 안좋은 라면!! 밀가루종류 드시지말고 저염식 건강식으로...라면먹고 복통일으켜 갑자기 큰 수술한 1인으로서 죽기전까지 갖다가 살아온 케이스라 건강 한번 잃으면 삶에 자신이 없어지더라구요. 병원가보니 생각보다 라면때문에 갑자기 문제가 붉어진 경우가 더러더러 있었어요.

  • 2. T ...
    '25.11.26 1:28 AM (118.235.xxx.148)

    현장직으로 외근직으로 근무하는 것에 대해서는 저뿐만 아니라 동료에게도 위험이 될 수 있다면서 매우 부정적으로 보는 거 같습니다.

    ㄴ 같은 질환을 경험했던 사람으로
    왜 이런 생각을 하시는지 이상할 뿐입니다.

    공무원 그만 두실꺼예요?
    아니면 이 질환으로 보직 변경이 되나요?

    일반 회사라면 이걸 핑계로
    부서 이동을 신청하려는 짱구로 생각하겠지만
    공무원도 가능한지 모르겠다는 생각뿐입니다.

  • 3. 저도
    '25.11.26 1:30 AM (38.96.xxx.67)

    저도 술담배는 원래 안 했고 건강하다고 생각했는데
    짬뽕이나 얼큰한 면 음식을 못 먹는 게 가장 답답하네요.
    밀가루는 끊도록 해야겠네요. 감사합니다.

  • 4. 토닥
    '25.11.26 1:30 AM (117.111.xxx.107)

    외근직 에서 내근직으로 바꿀수 없나요? 업무 특성이?

  • 5. 부서이동
    '25.11.26 1:31 AM (38.96.xxx.67)

    부서이동은 얼마든지 가능합니다. 저도 염두에두고 있습니다.
    그런데 이제 현장직으로 영원히 복귀할 수 없을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들어서 좀 아쉽습니다.

  • 6. to 토닥님
    '25.11.26 1:32 AM (38.96.xxx.67)

    내근직으로 얼마든지 갈 수 있습니다.
    근데 걱정인 건 내근직이 이상하리만큼
    일이 많습니다. 그래서 누가 내근 하려고
    하지 않습니다. 저도 외근직이 더 좋고요.
    외근직은 가끔 재미도 있습니다. 근데 이제는
    저도 내근직으로 가는 거 생각 많이 해봐야겠네요.
    늦은 시간인데도 좋은 말씀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7. ㅇㅇ
    '25.11.26 3:58 AM (108.180.xxx.241) - 삭제된댓글

    매니에르는 아니지만 돌발성 난청 후유증으로 청력상실과 심한 이명을 겪고 있는데요 네 달 병가 후에 전문의가 계속 혼자 조용한 집에 있지 말고 가급적 직장으로 복귀하고 운전, 집안일, 취미생활 등 원래 하던 일상 생활을 지속하는게 뇌가 새로 바뀐 몸 환경에 적응을 하게 해서 회복에 도움이 된다고 하더라구요,

    Chat gpt 보다는 담당 의사에게 안전사고 위험이나 업무 지속 여부 등에 대해 의논해 보세요. 내근직으로 전환하더라도 바뀐 업무 적응에서 오는 스트레스가 매니에르에 영향을 미칠거구요 실내 근무 보다는 외부에서 걷고 활동하는게 회복에 좋습니다. 그리고 제일 중요한건 전정기능 재활 운동이나 자율신경 회복 운동 유투브에 많으니 꼭! 꼭! 열심히 따라 해보세요. 물리치료 가면 처방해 주는 운동들인데 영상으로도 충분합니다. 매니에르로 오는 심한 어지럼증,피로,구토증, 이명증상 등이 점점 완화될거에요. 건강 꼭 회복하시길 바랄게요.

  • 8. 공감
    '25.11.26 4:00 AM (108.180.xxx.241) - 삭제된댓글

    매니에르는 아니지만 돌발성 난청 후유증으로 청력상실과 심한 이명을 겪고 있는데요 네 달 병가 후에 전문의가 계속 혼자 조용한 집에 있지 말고 가급적 직장으로 복귀하고 운전, 집안일, 취미생활 등 원래 하던 일상 생활을 지속하는게 뇌가 새로 바뀐 몸 환경에 적응을 하게 해서 회복에 도움이 된다고 하더라구요,

    Chat gpt 보다는 담당 의사에게 안전사고 위험이나 업무 지속 여부 등에 대해 의논해 보세요. 내근직으로 전환하더라도 바뀐 업무 적응에서 오는 스트레스가 매니에르에 영향을 미칠거구요 실내 근무 보다는 외부에서 걷고 활동하는게 회복에 좋습니다. 제일 중요한건 스트레스 관리, 충분한 수면, 충분한 식사 그리고 전정기능 재활 운동이나 자율신경 회복 운동 유투브에 많으니 꼭! 꼭! 열심히 따라 해보세요. 물리치료 가면 처방해 주는 운동들인데 영상으로도 충분한데 매니에르로 오는 심한 어지럼증,피로,구토증, 이명증상 등이 점점 완화될거에요. 원글님건강 꼭 회복하시길 바랄게요.

  • 9. 공감
    '25.11.26 4:16 AM (108.180.xxx.241) - 삭제된댓글

    매니에르는 아니지만 돌발성 난청 후유증으로 청력상실과 심한 이명을 겪고 있는데요 네 달 병가 후에 전문의가 계속 혼자 조용한 집에 있지 말고 가급적 직장으로 복귀하고 운전, 집안일, 취미생활 등 원래 하던 일상 생활을 지속하는게 뇌가 새로 바뀐 몸 환경에 적응을 하게 해서 회복에 도움이 된다고 하더라구요. 저도 처음에는 ’왜 나에게 이런 일이…’ 라는 생각에 크게 좌절하고 우울감이 왔었는데요 ‘누구에게도 있을 수 있는 일‘ 로 생각을 바꾸고 나서 나서 심적으로 극복이 되었어요,

    Chat gpt 보다는 담당 의사에게 안전사고 위험이나 업무 지속 여부 등에 대해 의논해 보세요. 내근직으로 전환하더라도 바뀐 업무 적응에서 오는 스트레스가 매니에르에 영향을 미칠거구요 실내 근무 보다는 외부에서 걷고 활동하는게 회복에 좋습니다. 제일 중요한건 스트레스 관리, 충분한 수면, 충분한 식사 그리고 전정기능 재활 운동이나 자율신경 회복 운동 유투브에 많으니 꼭! 꼭! 열심히 따라 해보세요. 물리치료 가면 처방해 주는 운동들인데 영상으로도 충분한데 매니에르로 오는 심한 어지럼증,피로,구토증, 이명증상 등이 점점 완화될거에요. 원글님건강 꼭 회복하시길 바랄게요.

  • 10. 공감
    '25.11.26 4:52 AM (108.180.xxx.241)

    매니에르는 아니지만 돌발성 난청 후유증으로 청력상실과 심한 이명을 겪고 있는데요 네 달 병가 후에 전문의가 계속 혼자 조용한 집에 있지 말고 가급적 직장으로 복귀하고 운전, 집안일, 취미생활 등 원래 하던 일상 생활을 지속하는게 뇌가 새로 바뀐 몸 환경에 적응을 하게 해서 회복에 도움이 된다고 하더라구요. 저는 평소 음식이나 건강 관리에 좀 더 신경 쓰는 편이어서 처음에는 ’왜 나에게 이런 일이…’ 라는 생각에 크게 좌절하고 우울감이 왔었는데요 ‘그 누구에게라도 생길 수 있는 일‘ 로 생각을 바꾸고 나서 나서 심적으로 극복이 되었어요,

    Chat gpt 보다는 담당 의사에게 안전사고 위험이나 업무 지속 여부 등에 대해 의논해 보세요. 내근직으로 전환하더라도 바뀐 업무 적응에서 오는 스트레스가 매니에르에 영향을 미칠거구요 실내 근무 보다는 외부에서 걷고 활동하는게 회복에 좋습니다. 제일 중요한건 스트레스 관리, 충분한 수면, 충분한 식사 그리고 전정기능 재활 운동이나 자율신경 회복 운동 유투브에 많으니 꼭! 꼭! 열심히 따라 해보세요. 물리치료 가면 처방해 주는 운동들인데 영상으로도 충분한데 매니에르로 오는 심한 어지럼증,피로,구토증, 이명증상 등이 점점 완화될거에요. 원글님건강 꼭 회복하시길 바랍니다.

  • 11. 저도
    '25.11.26 6:23 AM (211.48.xxx.45)

    과로 스트레스 수면 카페인

    이게 변수니까 비교 해 보시고
    덜한 환경으로 결정하시길요.

  • 12. ...
    '25.11.26 7:31 AM (58.143.xxx.119) - 삭제된댓글

    메니에르는 스트레스뿐 아니라 체력이 약해지면 귓병으로 오는 증상이머 난치일 수 있습니다
    한의원에 가셔서 채력이 보강되는 신장기능 증진 보약을 꼭 드시기 바랍니다.

  • 13. ...
    '25.11.26 7:32 AM (58.143.xxx.119)

    메니에르는 스트레스뿐 아니라 체력이 약해지면 귓병으로 오는 증상이머 난치일 수 있습니다
    한의원에 가셔서 체력이 보강되는 신장기능 증진 보약을 꼭 드시기 바랍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776536 정치자금으로 강남 헤어숍 이용... 여의도 최고 '그루밍족'은 .. 8 요지경 2025/11/26 1,548
1776535 가수 장은숙씨 아세요? 15 ㅇㅇ 2025/11/26 3,061
1776534 "군청 과장이 돈 빌려 안갚는다"···고흥 어.. ㅇㅇ 2025/11/26 1,298
1776533 최근 패션의 가장 멋있는 포인트는 편안함이네요 5 패션 2025/11/26 2,498
1776532 하얀가루 1 세탁기 2025/11/26 562
1776531 세계의 주인 영화 보신분 있으실까요? 13 2025/11/26 1,525
1776530 최근 지은 신축아파트도 하자 천지인가요? 13 ㅇㅇ 2025/11/26 2,019
1776529 싱어게인 59호 외국인인데 노래가 미쳤네요 4 ........ 2025/11/26 1,707
1776528 오늘 등산로 산책 1 ㅇㅇ 2025/11/26 790
1776527 이사온후.. 아이가 공부를 열심히 해요;; 11 -- 2025/11/26 3,663
1776526 반도체 ㅠ 7 2025/11/26 1,978
1776525 알베르토 인스타 댓글들 난리에요 55 ㅇㆍ 2025/11/26 20,053
1776524 이마트 세일하면 온라인도 하나요 5 ㅡㅡ 2025/11/26 1,131
1776523 韓 3분기 경제성장률 26개국 중 3위…내년 2.3% 전망도 등.. 5 ㅇㅇ 2025/11/26 822
1776522 이사 계약금 환불관련 2 ........ 2025/11/26 476
1776521 비밀번호 열번해도 틀리는데 이중에 대문자 있나요 4 .. 2025/11/26 781
1776520 김장에 갓 안넣어도 될까요? 12 김치 2025/11/26 1,754
1776519 남자 대학생 아이 제모시켜주려고 하는데요 5 .. 2025/11/26 1,076
1776518 머플러 검정 베이지 그레이 중 뭐가 나아요? 10 2025/11/26 1,142
1776517 어제 삶아둔 달걀 먹어도 될까요? 6 .. 2025/11/26 1,802
1776516 유튜버를 좋아하는 마음이 생겨서 괴로워요 34 ㅇㅇ 2025/11/26 5,453
1776515 54세이고 생리를 한달정도하는데 폐경전증상일까요 8 폐경 2025/11/26 1,167
1776514 김건희가 박성재한테도 업무지시한 증거가 나왔는데 8 ... 2025/11/26 1,466
1776513 일본서 '하반신 시체' 가짜뉴스 퍼트리는 혐한 유튜버, 기자로 .. 3 가지가지 2025/11/26 1,021
1776512 구입해야하는데 이름을 몰라서요.. 4 이름 2025/11/26 1,1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