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Banner

무빈소 장례식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세요?

..... 조회수 : 3,804
작성일 : 2025-11-24 19:52:18

인간관계가 좁아서 누구 오라고 하고 싶지도 않구요

IP : 223.38.xxx.249
25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낙동
    '25.11.24 7:53 PM (210.179.xxx.207)

    상황이 그러면 그렇게 하는거죠 뭐…

  • 2. ㅇㅇ
    '25.11.24 7:54 PM (211.209.xxx.83)

    그냥 아무 생각 없어요
    그냥 그러나

  • 3. 저는
    '25.11.24 7:58 PM (112.157.xxx.212)

    자식에게 이미 그렇게 말해뒀어요
    사망선고 떨어지면 바로 화장해라
    빈소 차리지 말고
    그냥 흔적도 남김 없이 사라지게 둬라
    내가 가장 사랑했던 사람 몇명 연락처 적어둘테니
    엄마의 유언이었다
    엄마가 장례식을 하는걸 원치 않으셨다 하고
    떠났다는것만 알려다오 할거에요

  • 4. ..
    '25.11.24 7:59 PM (211.112.xxx.69)

    코로나 이후 점점 늘고
    지금 젊은층일수록 점점 선호한대요.
    앞으로 더 대중화 될거 같아요
    이상하게 생각할것도 없구요

  • 5.
    '25.11.24 8:04 PM (211.243.xxx.238)

    그래도 친인척은 있지않나요
    하지만 상주 맘이죠
    누가 뭐라는 사람은 없으니 편한대로 하심 되지요

  • 6. ㅇㅇ
    '25.11.24 8:07 PM (59.29.xxx.78)

    저도 원글님 같은 사정이라 그런 생각하는데
    무빈소장례도 좋을 것 같아요.

  • 7. 상황에 따라
    '25.11.24 8:07 PM (175.200.xxx.218) - 삭제된댓글

    무빈소 장례식 자체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 에 대한 답은 돌아가신 분 나이 상황 친척 수 상주 상황 등등 다 다를거라 별 생각이 없고요 또 남 생각이 중요하지도 않다 생각합니다.

    상주인 입장에서는 무빈소 해서 빚진 기분 없어 좋다? 솔직히 주변 조문 관련 자유로운 마음?입니다. 내가 꼭 가야할 것 가고 싶은 곳만 가도 돼서요.

  • 8. 상황에 따라
    '25.11.24 8:09 PM (175.200.xxx.218)

    무빈소 장례식 자체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 에 대한 답은 돌아가신 분 나이 상황 친척 수 상주 상황 등등 다 다를거라 별 생각이 없고요 또 남 생각이 중요하지도 않다 생각합니다.

    상주인 입장에서는 무빈소 해서 빚진 기분 없어 편하다? 솔직히 주변 조문 관련 자유로운 마음?입니다. 내가 꼭 가야할 것 가고 싶은 곳만 가도 돼서요.

  • 9. 근데
    '25.11.24 8:13 PM (222.108.xxx.71)

    장례식장 3일이 없으면 하염없이 침대에 누워 울걸요
    그나마 삼일장 치르며 사람들 위로와 사랑받고 일어서는거죠

  • 10. ㅇㅇ
    '25.11.24 8:14 PM (49.164.xxx.30)

    실상 아직까지는 무빈소 거의 없어요.
    정말 가족이 아예 없는사람빼고는

  • 11. 딜리쉬
    '25.11.24 8:19 PM (116.255.xxx.31)

    저도 남생각 중요하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가족에게는 충분히 설명하구요.

  • 12. ..
    '25.11.24 8:21 PM (58.238.xxx.62)

    무빈소면 주변에 부고도 알리지 않을텐데
    나중에 알게되도라도 그럴만한 이유가 있었겠다 생각할 듯

    무빈소면서 부고 알리면 난감할 듯

  • 13. ..
    '25.11.24 8:22 PM (211.112.xxx.69) - 삭제된댓글

    친척도 거의 없고 부를 사람 없는 사람들도 많아요.
    사람없는 빈소 차리느니 직계만 모이고 무빈소도 좋다고 생각해요.

  • 14. ..
    '25.11.24 8:24 PM (211.112.xxx.69) - 삭제된댓글

    친척도 거의 없고 부를 사람 없는 사람들도 많아요.
    사람없는 빈소 차리느니 직계만 모이고 무빈소도 좋다고 생각해요.

    남이야 어떻게 생각하든 말든.
    남의 장례에 사람들 딱히 관심도 없구요.
    친척도 돌아가신분 직계 아닌 이상은 딱히 관심 있나요?

  • 15. ..
    '25.11.24 8:25 PM (211.112.xxx.69)

    친척도 거의 없고 부를 사람 없는 사람들도 많아요.
    사람없는 빈소 차리느니 직계만 모이고 무빈소도 좋다고 생각해요.
    무빈소면 당연히 부고 안알리겠다는 뜻이죠.

    남이야 어떻게 생각하든 말든.
    남의 장례에 사람들 딱히 관심도 없구요.
    친척도 돌아가신분 직계 아닌 이상은 딱히 관심 있나요?

  • 16. ㅇㅇ
    '25.11.24 8:31 PM (223.38.xxx.209)

    개인주의, 비대면 시대가 더 활성화 되면
    무빈소가 더 많아질수도 있죠
    요즘 전화포비아도 많다는데 얼굴 한 번 본적없는 친구, 지인
    부모상에 조문 가는게 이상하다 생각할수도 있죠

  • 17. ..
    '25.11.24 8:39 PM (211.112.xxx.69)

    그리고 요즘은 고인의 전화든 핸드폰으로 부고문자 단체로 잘못 돌리면 신고 당하고 핸드폰 정지 당하더라구요.
    스팸으로.
    여튼 이젠 결혼도 장례도 다 개인 사정에 따라 맞춤으로.
    누가 뭐라 할것도 없고 관심들도 없고.
    장례식장에서 몇날 밤새고 하는것도 다 옛날 사람들 스타일

  • 18. 인내의연속
    '25.11.24 8:45 PM (211.36.xxx.179) - 삭제된댓글

    저도 그런 주의 였는데 요근래 엄마가 돌아가시고 장례식할때 주변분들이나 친척들이 많이와서 정신없이 지내다 보니 슬픔에 빠질 겨를이 없었어요 장례 끝나고 집에 와서 엄마없는 집이 너무 어색하고 슬퍼서 현실이 와닿더군요 오히려 장례 끝나고 더 펑펑울었어요

  • 19. 제생각
    '25.11.24 9:13 PM (221.138.xxx.92)

    상주 마음대로 하셔도 됩니다.
    전 그렇게 생각해요.
    남들 시선 신경쓸 필요 없다고 보고요.

  • 20. 아래
    '25.11.24 9:18 PM (220.78.xxx.213)

    자게 검색창에 무빈소 검색해보세요
    참고 될거예요

  • 21. ..
    '25.11.24 9:25 PM (175.195.xxx.3)

    저도 그렇게 할 생각으로, 내 자식들에게 얘기 했습니다. 무빈소, 다음날 바로 화장.

  • 22. 000
    '25.11.24 9:30 PM (49.173.xxx.147)

    무빈소
    다음날 바로 화장.
    화장터 바로 갈수있을까요?

  • 23. 화장은
    '25.11.24 9:40 PM (220.78.xxx.213)

    내맘대로 못해요
    예약 밀려있으면 삼사일 걸릴 수도 있어요

  • 24. 남들은
    '25.11.24 11:32 PM (122.254.xxx.130)

    아무도 신경안써요
    내가 하고싶으면 하시라고 하고싶네요

  • 25. 솔직이
    '25.11.25 12:43 AM (39.123.xxx.24)

    누구 오라가라 하는게 성격 상 못하겠어요
    민폐 극혐하는 성격이라 ㅠ
    무빈소 적극 찬성입니다
    조용히 가족끼리 애도의 시간을 갖는걸로 충분
    손님 불러서 똑같은 말 하고 싶지도 않을 듯하고요
    조의금 받고 주고 다 의미 없고 ㅜ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776157 상생페이요 5 ㅇㅇ 2025/11/24 1,248
1776156 이진관 판사님 존경합니다 11 2025/11/24 1,241
1776155 '이해민의 국정감사 - '제2의 스페이스X' 우주개발산업 특성에.. ../.. 2025/11/24 132
1776154 공대를 보내긴 해야할것같은데요.... 33 good 2025/11/24 3,310
1776153 세상에 중국 위안화와 통화스왑 해줬네요. 16 ..... 2025/11/24 2,457
1776152 안먹는 귀리로 갈아서 빵 만들면 잘될까요? 6 부자되다 2025/11/24 630
1776151 울화통 2 ㅇㅈㅇ 2025/11/24 553
1776150 261명 성착취 '자경단' 총책 김녹완, 1심 무기징역 9 ㅇㅇ 2025/11/24 983
1776149 면역력 떨어진? 아들.. 5 지못미 2025/11/24 1,634
1776148 연예인들 기부ㅡ확인안되지 않나요? 5 ~~ 2025/11/24 1,490
1776147 아이 미래 걱정이 너무 큽니다 4 ㅇㅇ 2025/11/24 2,358
1776146 세면대 배수관에서 물이 새는것 같아요 7 ... 2025/11/24 823
1776145 돈을버는데요 21 ㅡㅡㅡ 2025/11/24 4,727
1776144 이진관판사 :한덕수 모레 구형 '최후 진술 준비하라' 13 그냥 2025/11/24 1,911
1776143 무빈소 장례식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세요? 21 ..... 2025/11/24 3,804
1776142 아들이 소고기를 먹기 시작했어요.. 10 희봉이 2025/11/24 4,145
1776141 전인권의 '돌고,돌고,돌고' 비하인드 ㅋㅋㅋㅋ ㅋㅋㅋ 2 ... 2025/11/24 1,294
1776140 주방절수페달 바닥 vs 걸레받이 어디가 편한가요 4 // 2025/11/24 476
1776139 제 눈빛이 맑대요 8 .. 2025/11/24 2,127
1776138 김상욱의원이 핸드폰 검열을 당했다네요 19 oo 2025/11/24 3,766
1776137 정유라 "결혼 미루고, 10년 칼 갈았다.. 한동훈 등.. 7 새옹지마 2025/11/24 5,577
1776136 어릴적에 엄마가 몰래 바나나사줬어요 23 ㅡㅡ 2025/11/24 4,191
1776135 김부장 음악이 너무 좋지않나요 7 ㅇㅇ 2025/11/24 1,623
1776134 민주당은 당원 1 투표제도도 문제지만 끼리끼리 계파정치도 .. 8 2025/11/24 452
1776133 까나리액젓으로 김장해도 되는거죠? 8 김장초보 2025/11/24 1,4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