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퇴 앞두고 노후준비 계획 짰습니다 담담하네요
1. ......
'25.11.21 11:55 PM (118.235.xxx.10)엄청 여유로우시네요. 계획도 잘 되어 있으시고.
2. 국민연금
'25.11.22 12:00 AM (118.235.xxx.18)당기면 얼마 까여요?
3. 음
'25.11.22 12:03 AM (210.205.xxx.40)월 0.5% 일년에 6% 입니다 2년이면 12%정도 입니다
4. 은퇴
'25.11.22 12:04 AM (175.208.xxx.164)이런글을 10년전에 봤어야하는데..그때는 왜 이런글이 안올라왔을까..
5. ...
'25.11.22 12:13 AM (122.40.xxx.160)은퇴준비하면서 제일큰변수가 자녀와 건강인듯 합니다.
내맘대로 되지 않으니.6. ㄱ
'25.11.22 12:15 AM (58.228.xxx.36)연금저축 20년분할 100받으려면 몇년 얼마넣음되나요?
7. 스마일
'25.11.22 12:17 AM (182.219.xxx.206)현실적인 노후준비라 생각합니다.
저희도 비슷하지 싶은데 퇴직이 좀 더 남았습니다.
아이들이 아직 결혼전, 이게 가장 큰 변수이라 현금을 들고 있습니다.
자녀 리스크빼고 현금은 얼마나 들고 계신지요?
저는 결혼자금 빼고 얼마나 확보해야할지 그게 관건이네요.8. ㅡㅡㅡ
'25.11.22 12:20 AM (125.187.xxx.40)오 촘촘하네요
나는 애들 독립 후 1인가구로 대애충 계산해보면
65세까지 일함. 프리랜서라 퇴직연금 없음
국민연금90 개인연금 50 배당 월 50
나는 가성비 좋은 인간이라 190으로 충분히 생존.
+심신이 여유로우면 주 1일정도 일 유지(7~80)
+돈이 더 들어갈일이 생기면 최후의 보루 주택연금.
저도 애들 결혼,독립이 변수네요.
지금으로선 많이 해줘봐야 한 5천씩 보태주는것까지만 계획중.9. ...
'25.11.22 12:39 AM (39.124.xxx.23)개인연금 수령액이 연 1500만원을 넘을 경우 종합과세(6.6~49.5%) 또는 분리과세(16.5%) 중 선택해 과세되며, 1500만원 이하일 때는 저율 연금소득세(3.3~5.5%)가 적용됩니다.
국민연금도 연 770만원 넘어가면 종합과세 대상입니다.
연금개시 전에 세금은 얼마나 내는지, 건보료에는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도 잘 고려해보셔요. 지역가입자는 세금보다 건보료가 무서워요.10. 음
'25.11.22 1:16 AM (211.234.xxx.252) - 삭제된댓글지금계획이라면 연금저축+개인연금을 연 1680을 수령하는걸로
나오는데 1500으로 맞춰야겠군요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15만원 줄여서 받으면 되겠군요 이건 아예 줄여서 저축으로
돌리면 되겠다 싶네요 감사합니다 너무좋은 정보에요11. 어제
'25.11.22 4:03 AM (118.235.xxx.18)국민연금 상담했는데
부부 월 국민연금 포함 301만원 현금 소득있음
건보료랑 뭐랑 해서 더 뗀다고 했는데
저희 부부는 월 200안되서 몇년후
상위 70% 받는 기초 연금 깍여 지급된다네요.12. ㅇㅇ
'25.11.22 5:57 AM (210.219.xxx.195)은퇴 앞두고 노후준비 잘 해 두셨네요
13. 자유부인
'25.11.22 6:42 AM (182.216.xxx.135)세금이랑 건보료 등도 고려하셔야 해요.
그리고 80세 이상 간병문제도 대비하시고요.
건강하고 직장다닐때로 가정하심 안되어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