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Banner

제가 네이트판 네이버카페 등을 뒤져본 결과 김장값의 유래는

아하 조회수 : 2,562
작성일 : 2025-11-21 22:50:11

저는 대체 부모님이 준 김치값을 왜 재료비를 따지면서 책정(?)해서 내나 약간 그 스웨덴인가 어딘가 친구는 밥시간돼도 재료비 아까워 밥안주는 그런 느낌이라 충격과 공포였는데

 

김치값 관련 여러 썰들을 보다보니 이게 그냥 실용적인 협업, Oem 또는 품앗이 같은 구조였어요

보니까 부모님 측에서도 새우젓 고춧가루를 니네가 사라 하기도 하고 돈은 됐고 와서 일을 해라 일꾼이 필요하다 하기도 하고ㅎ

 

그니까 김장이 원재료, 공수가 많이 들어가는 큰 일인데

이걸 우리 생각처럼 혹시 맛이나 볼래 하고 한포기 두포기 주고 받는 자식은 있어도 되고 없어도 되는 느낌이 아니라 

그 받는 자식들도 그 김장김치가 꼭 필요하고 김장한 결과물 중에 상당한 부분을 받아오는 거예요. 

 

그니까 내가 재료를 댈테니 내가 돈을 낼테니 나도 노동력을 보탤테니 엄마의 노하우로 잘 생산해보자 하는게 암묵적으로 깔려있는 합의인거죠! 이렇게 생각하면 재료비 인건비 따지는게 이해가 가요 우리딸 이거 한 포기 먹어볼래가 아니라 우리가 재료비 + 노동력 + 노하우를 합친 결과물을 나누고 정산하는 과정인거죠

 

IP : 222.108.xxx.71
4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이것도
    '25.11.21 10:52 PM (118.235.xxx.190)

    점점 없어질듯요. 50초 맞벌이라 저도 김치 사먹는데
    아들 결혼한다고 못담는 김치 해줄것 같진 않아요

  • 2. 아하
    '25.11.21 10:55 PM (222.108.xxx.71)

    저는 제 친가도 외가도 김치를 담아드셨을순 있는데 김장을 하진 않았어서 이 구조를 이해를 못했던거 같아요 엄마는 옛날부터 사드셨고요

  • 3. 글쎄요
    '25.11.21 11:07 PM (182.227.xxx.251)

    시가에서 할땐 농사지으시는 분들이라
    젓갈 같은거 빼곤 다 손수 키우신 재료들로 담그는 거고
    가족들 다 모여서 김장 하면 풍족하게 챙겨 주시고 전혀 바라시는거 없었어요.

    친정에서 할때는 도시니까 재료 다 사서 해야 하는데
    엄마가 동생네랑 우리꺼랑 세집 같이 한거 딱 3등분으로 금액 나눠서 청구 하세요.
    물론 같이 담그고요.
    그럼 우린 김치 재료비랑 같이 사먹은거까지 싹 정산 합니다.
    아주 깔끔 하죠.

    사실 엄마네 집에서 하니까 그 외에 더 들어가는 재료들도 있고 먹을거 있어도 그건 그냥 엄마가 내놓으시는 거고
    청소니 뭐니 같이 해도 앞일 뒷일 많으실텐데 그건 그냥 끝 이고
    더 바라시는건 없습니다.
    재료비만 딱 n 분의 1 입니다.

    뭐 사람이 안가서 같이 노동 안했으면 응당 뭔가 재료비 + 알파를 드려야 할거 같긴 하네요.

  • 4. hj
    '25.11.22 1:09 AM (182.212.xxx.75)

    저도 친정시골이고 재료 다 공수하시는데 전 멀고 일때문에 겸사가서 함께 하고 싶었는데 못했어요.
    왜 다들 재료비+노동력값이라고 치부하는건지…
    마음쓰는거죠. 애쓴거니까요. 김장할때 겸사 함께 한 지인들과 식사 한끼 맛있는거 사드리는거고요.
    그런 마음으로 늘 드렸던거라 부채로 부담으로 김장과 먹거리 받았던적 한번도 없었는데……
    물질이 가는곳에 마음이 간다고 드리고 싶어서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775280 온라인세상은 참재미없어요 3 2025/11/22 1,510
1775279 나는 왜 친구가 없을까 10 ㄱㄴ 2025/11/22 3,073
1775278 1989년드라마 ‘사랑의 굴레’ 아시나요? 13 가을주말 2025/11/22 1,550
1775277 드릴하나 못 박는 남편 어떻게 보세요?? 13 ㅅㄷㆍㅈㄷ 2025/11/22 1,460
1775276 역류성 식도염인 분들 비타민D 뭐 드세요? 4 건강 2025/11/22 1,321
1775275 필리핀시장이 중국인 간첩으로 밝혀짐 27 2025/11/22 3,625
1775274 이제는 마스크는 쓰지말아야 하나요? 4 2025/11/22 3,083
1775273 제미나이 로그인하고 써야하죠? 2 ㅇㅇ 2025/11/22 722
1775272 외국은 자녀가 성인 되면 무조건 출가하나요? 19 2025/11/22 2,046
1775271 김계리 홍장원에게 맞죠?맞죠?? 11 ㄱㄴ 2025/11/22 3,018
1775270 혹시 실손보험 카드결제하면 보험료가 올라가나요? 6 ㅇㅇ 2025/11/22 943
1775269 논술보러 왔어요 11 합격하자!!.. 2025/11/22 1,426
1775268 보온 국통이나 보온 죽통을 물통으로 쓰면 6 2025/11/22 645
1775267 우울할때는 무엇에 집중하면 될까요? 34 우울 2025/11/22 3,334
1775266 아이 면접보러 지방에서 서울가는데 패딩입을 날씨인가요? 5 Oo 2025/11/22 1,120
1775265 쳇 지피티에게 주식 2 흐미 2025/11/22 2,251
1775264 청룡 박정민과 화사의 후폭풍 64 청룡 2025/11/22 24,571
1775263 큰스텐대야 많이들 쓰시나요? 10 버릴까말까 2025/11/22 1,365
1775262 용종제거후 8 배고파 2025/11/22 1,528
1775261 로그인시스템오류 2 사랑해아가야.. 2025/11/22 251
1775260 믿음을 가지면 시간을이해 기독교 내용 5 성경 2025/11/22 625
1775259 강아지 뱃속에서 천둥이 치는데요 4 애견 2025/11/22 1,423
1775258 마운자로 평생맞으면 안될까 16 김가네수 2025/11/22 3,411
1775257 가성비 좋은 스프 추천합니다. 21 추천 2025/11/22 3,887
1775256 국어 잘하는 아들한테 수능국어를 풀어보게 20 이번 수능국.. 2025/11/22 3,8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