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25.11.18 7:03 PM
(175.119.xxx.68)
학교대표, 선거 이런거 나가는 것도 누구나 하는게 아니에요.
아이에 대한 기대치가 엄청 높으신가봐요
2. ...
'25.11.18 7:08 PM
(101.127.xxx.206)
저도 공부 잘했던 사람으로서 정말 이해를 못하겠더라구요. 대체 공부만큼 쉬운 게 어디있다고...... 그냥 이해하고, 외우면 되는 이 쉬운 걸....
3. 아이의인생
'25.11.18 7:08 PM
(58.29.xxx.96)
나의인생 분명구분하세요.
4. ...
'25.11.18 7:08 PM
(218.145.xxx.45)
우선 아이가 그런 기회만 오면 빠짐없이 지원해요 ㅜㅜ 그리고 제가 학창시절 다 하던것이다보니 전 쉽게(당연하게?) 생각하고 아이가 준비하는걸 도와주는데 아이는 뽑히지 않고 실망이 커요. 저도 속으로는 이게 왜 안되지? 하면서 이해를 못하고 실망합니다. 이게 계속 반복되다보니 저도 괴로워서 혹시 조언해주실 분이 계신지 문의드렸어요
5. ....
'25.11.18 7:14 PM
(89.246.xxx.222)
저도 속으로는 이게 왜 안되지? 하면서 이해를 못하고 실망합니다. 이게 계속 반복되다보니 저도 괴로워 2222
왜 책읽고 배우는게 재미없다는건지 진심으로 이해안되요
그 성취감 진짜 맛있는건데 그걸 모르니 -.-
6. ....
'25.11.18 7:17 PM
(89.246.xxx.222)
어쨌든 자기 복이고 그렇게 태어난거라 할 수 없는거죠 뭐.
자식 공부 리더쉽....이런 유튜브 책 강의 많은데 귀에 안 들어와요. 그거 부모가 지도잘해서 그런게 아니고 팔할은 그런 사람으로 태어난걸.
7. 반대
'25.11.18 7:23 PM
(210.103.xxx.167)
저는 그반대인 학부모입니다
저는 공부를 못했고 안해서 후진대학 나왔지만
저희아이는 성실하고 꾸준함으로 명문대 입학 취업도
졸업전 첫지원 회사 입사했지만
제가 늘 아이한테 미안함이 많아요
좀더 훌륭한 유전자를 못 물려준것에 대해서요
그리고 아이가 질문할때 알지못해서 답변 못할때
진로결정할때 큰도움 못되고
사회생활하면 어려움있고 할때 도움주는 말 못할때
아쉽고 미안합니다
그러나 1가지 자부할수 있는건 음식을 잘하고 취미가 요리라서 인스턴트 안먹이고 치킨 피자 햄버거등 1년에 손꼽을 정도 ㅇ안먹이고 키운것 입니다
이부분은 인정을 해주네요
아무리 비싼음식을 먹어도 엄마음식이 최고라고요
전 다시 학창시절 돌아간다면 공부 열심히 하고 싶어요
원글님같은분들 부럽습니다
8. .....
'25.11.18 7:23 PM
(118.235.xxx.96)
-
삭제된댓글
1이거나 2
1은 엄마 능력이 80인데 그 때 그 학교 친구 분위기가 통했다. 아이도 80인데 지금 환경이 다르거나 혹은 (이부분 중요) 엄마가 쉽게 생각하고 도와준다고 덤비니까 아이는 나서면, 공부시작하면 목표는 저절로 달성될 거라 여긴다
2는 엄마는 90인데 아이는 80일지도 모른다
전 제 아이들에게 1의 후반으로 생각해서 내 방법은 안 통할 수 있다고 극도로 경계하고 도와주지 않았어요. 조언은 좀 하고요.
아이가 실패하면 그 매카니즘과 감정은 좀 아니까 세심하게 무심한 듯 위로해주고, 성공하면 그건 아이 스스로 끝까지 한 거니까 대단하다고 칭찬해줬죠. 아이들은 20대 중반, 후반인데 현재까지는 우리 부부가 그 나이에 성취한 것보다 낫습니다. 하지만 중장년까지 우리 부부를 넘어설 지는 모르겠어요. 자기인생이다 싶습니다.
9. ㅌㅂㅇ
'25.11.18 7:26 PM
(182.215.xxx.32)
내가 많이 가졌던 것만으로도 복 받았던 거죠 자식까지도 나만큼 가지길 원하면 욕심인 겁니다 다른 집 사람들도 그런 복 한 번씩은 받아야 되지 않겠어요
10. ...
'25.11.18 7:27 PM
(1.235.xxx.154)
남자아이면 좀 늦될 수도 있어요
11. 잘했다
'25.11.18 7:39 PM
(180.68.xxx.52)
-
삭제된댓글
저... 전교권이었고 내내 학급회장 전교회장...물론 열심히 해서 얻었지만 이게 뭐 못할만큼 어려웠나...싶은데.
한 아이는 아이큐는 극상위인데 욕심없고 불성실하니 성적이 뭐...평범해요. 한 아이는 저랑 비슷해요.
평범한 아이...이해 못하겠고 왜 결과가 이러한가 힘들었는데
제 아이를 보니 누구나 잘하고 싶은건 아니구나 그리고 잘하고 싶다고 누구나 좋은 결과를 내는 것은 아니구나.
이상적인 개인의 능력치를 육각형으로 본다면 제 아이는 사각형이나 찌그러진 도형인거고 육각형이어도 작은 육각형인거에요.
이성적으로 잠이오나 싶지만...그러나 이 아이도 행복하구나.
그저 아이가 할만큼 했고 행복하면 된다.
딱 그 마음만 가지세요. 내 기준이 아니고 아이 기준에서 열심히 했고 만족하면 거기까지 충분하다.
12. ㅇㅇ
'25.11.18 7:46 PM
(112.146.xxx.207)
원글님의 이해 안 가는 심정이 뭔지는 충분히 짐작 가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게 왜 안 되지? 라는 마음은 부모가 가져서는 안 되는 마음이라는 걸 말씀드리고 싶어요.
원글님이 그 모든 게 쉬웠던 건, 뭔가 노력해서 얻은 성취나 원글님이 잘 해서 얻은 포상이 아닙니다.
그냥 타고난 것, 다시 말하면 공짜로 얻은 거예요. 부모님이 주신 유전자겠죠.
아이에게 그 모든 게 잘 안 되고 어려운 건, 아이가 노력을 안 해서 그런 게 아니라는 건 봐서 아실 테고
결국은 해도 잘 안 되는 (엄마보다 나쁜) 머리, 떨어지는 매력, 그런 걸 유전자로 물려주신 때문이겠죠.
그렇다고 물려준 엄마 탓이라는 게 아니라… (일부러 그런 걸 골라 물려주신 것도 아니니까)
아이 탓은 절대 아니라는 걸 말씀드리는 겁니다.
엄마로서 아이에게 품을 수 있는 마음은
의문도(이게 왜 안 되지?) 실망도(넌 이 쉬운 걸 왜 못 하니?) 화도(진짜 못났구나 너) 아닙니다. 그런 건 절대 안 돼요.
사람이 사람에게 그러면 안 되니까 안 되는 거지만, 부모에게는 더더욱 허용되지 않습니다. 왜냐하면 아이를 그렇게 낳은 건 본인이잖아요.
굳이 굳이 탓을 할 사람을 찾아야 한다면 엄마랑 아빠 탓이지, 아이에게는 아무런 잘못이 없다는 얘기입니다.
아이는 그렇게 태어나고 싶었겠어요?
지지해 주고 도와 주고 응원해 주되, 잘 안 되면 본인이 실망할 게 아니라 아이의 실망을 감싸 주고 다독여 주는 선에서 엄마의 역할을 해야만 합니다. 그래서 어려운 게 엄마 역할이죠…
아이는 나와 다른 개체예요. 알고는 계시겠지만 매순간 시험당하는 기분이시겠죠… 그러나 다시 한번 되새겨야 합니다. 아이는 나와 다른 사람이다.
김연아가 아이를 낳았는데 그 아이가 운동신경이 젬병이라 스케이트는커녕 달리기도 제대로 못하고 늘 꼴찌만 한다고 생각해 보세요. 보는 엄마로선 속이 터지겠죠. 아마 절대 이해도 안 갈 겁니다. 난 너무 쉬웠는데 넌 왜 그렇지?
하지만 옆에서 보는 우리는 아무렇지도 않잖아요. 엄마는 엄마고 애는 앤데 다를 수도 있지.
그런 ’제3자의 마음‘을 장착하시면 좀 덜 괴롭지 않을지…
위로와 조언이 되었으면 해서 말씀드려 봅니다.
13. 저기요
'25.11.18 7:57 PM
(49.164.xxx.30)
평범한게 젤 어려운겁니다.너무 오만하게 인생을 사신듯..자식일이 부모맘대로 되나요?
14. 저기요
'25.11.18 7:59 PM
(222.100.xxx.51)
어머님이 공부만 잘했을 뿐
인간 다양성과 개개인의 존엄에 대한 이해가 적어 그렇습니다.
사회과학 분야의 폭넓은 독서를 권합니다.
특히 인간 다양성과 반능력주의와 관련된. . .
15. ...
'25.11.18 8:12 PM
(59.15.xxx.235)
남의 지식은 객관화가 쉬운데 내 자식이라 그게 어려운거같아요. 뇌가 나와 같은 존재로 인식한다잖아요. 저희애는 병뚜껑을 못(안)따는데 손끝 야무졌던 저로서는 이해가 도무지...
16. 그래도
'25.11.18 8:28 PM
(112.153.xxx.225)
아이가 노력을 하네요
저희집 아이는 될대로 되겠지하며 아무런 노력조차 안합니다
그러면서 불평불만만 늘어놓죠
17. 혹시나
'25.11.18 8:34 PM
(211.234.xxx.164)
자녀분을 위해서 자세히는 못읽고 리플다는데..
법륜스님 법문보면 이런얘기 많이나와요
우리 임신때 기형아검사 1 2차 했잖아요
그때 무사통과하고
아기랑 산모 둘다 건강히 출산성공하고
돌까지 육아 성공하고
기저귀 뗄떼까지 큰일없이 아기가 잘 자라준것만해도
기적아닌가여 ㅠㅠ
18. 혹시나
'25.11.18 8:36 PM
(211.234.xxx.164)
부모들은 자식이 공부잘하면 행복하다 하던데
그 행복감 맛볼려고 그러시는건가요
요새같은 ai시대 학벌순으로 성공하는 것은 더더욱아니고
우리시대도 그렇잖아요
성공도 학벌순이 아니고
공부잘하면 사실 본인보다 부모가 제일 행복한것같아요
자식본인은 입시스트레스 죽어나죠
명문대는 노력순이아니라 줄서기라서
나보다 잘난애잇으면 못가는건데
유전자라도 잘 물려주던가요
19. 나는나
'25.11.18 8:39 PM
(39.118.xxx.220)
저는 부모에게 어렸을 때 공부로 효도 다 했다고 생각해요. ㅎㅎ
20. 읭
'25.11.18 9:05 PM
(123.212.xxx.149)
이게 왜 안되냐뇨.. 자식은 님과는 전혀 다른 존재입니다.
님이 쉽다고 아이도 쉬운건 말이 안되잖아요.
관점을 바꿔보세요. 실패하는데도 계속 도전하다니 정말 대단한 아이잖아요!
21. 비슷한
'25.11.18 9:43 PM
(182.216.xxx.135)
상황에서 그 마음 이해 됩니다.
도대체 왜?? 그냥 하면 되는데 왜 안하지???
내려놓았고요.
아이는 아이, 나는 나라고 아무리 되뇌어 보아도
속상한 마음은 감출길이 없네요.
그래도 자식에게 희망을 안가질 수는 없어서 기대하면서
그리 지지해줍니다.
22. 저는
'25.11.18 10:14 PM
(39.117.xxx.233)
오죽하면 ... 병원데려가서 풀배터리 받게했어요 ㅠ
지능도 좋고 그렇다는데,
ㅠ 가끔씩 아이의.. 그결과를 외면하고싶을때가 있었거든요.
정말 나만큼 도와줄수있는 엄마 없는데..싶고 ㅠ
그런데 어느날 아이친구가 자살하는일이 있었어요.
그때부터 많은부분을 내려놓고, 아이를 있는그대로 받아들이려고
노력하고있습니다.
아이가 내옆에 있는데 뭣이 또 중요할까싶더라고요.
그게 아니어도 장점이 많은 아이었다는걸 깨닫게되었어요.
23. 좀 딴얘기지만
'25.11.18 10:37 PM
(125.189.xxx.41)
-
삭제된댓글
그런데
사실..제법 오래 살아보니
평범한게 진리이고 그냥 무난하게 사는것..
그게 참 어렵더라고요...
24. .....
'25.11.18 10:37 PM
(211.235.xxx.98)
의도하지는 않았으되 원글님이 (남편과 함께)그런 유전자를 물려주신거에요
25. 좀 딴 얘기지만
'25.11.18 10:39 PM
(125.189.xxx.41)
그런데
사실..제법 오래 살아보니
평범한게 진리이고 그냥 무난하게 사는것..
그게 참 어렵더라고요...
전 좋아보입니다.
26. ....
'25.11.18 11:02 PM
(119.69.xxx.167)
아이를 그렇게 만들고 낳은건 원글님이에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