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그건
'25.11.15 1:16 PM
(175.119.xxx.162)
애들 나름이죠... 상대적인건데...
애 상태에 따라 판단하세요.
충분히 따라온다 하면 앞으로 가는거고...앞으로 가는것도 극심화 까지 할꺼냐 말꺼냐 등등
독서도 한글책만 읽을꺼냐 원서도 읽을꺼냐..등등
2. ..
'25.11.15 1:16 PM
(210.178.xxx.60)
-
삭제된댓글
애바애입니다.
독서만 시키라고 누가 그래요?
본인 아이 그릇을 보고 시키는거지 초5때 수학선행 시작하려면 학군지에서는 들어갈학원 구하기도 힘들거고 선행없이 서울대가는 아이도 있고 천차만별이에요
3. 추가
'25.11.15 1:16 PM
(175.119.xxx.162)
이과 문과 따지는거 전 별로지만..
이과라고 수과학 다 잘하는것도 아닌걸요..
4. 아니요
'25.11.15 1:17 PM
(183.107.xxx.211)
아니요 아니요.. 이번 입시 처음 겪어보니.. 독서만 시키면 망
5. 아니요
'25.11.15 1:17 PM
(223.38.xxx.195)
누가 그런 소리를
6. 아니요
'25.11.15 1:18 PM
(211.38.xxx.131)
보통은 독서 많이 한 아이보다
공부 빡시게 시킨 아이가 최종 성적이 좋은 경우가 많았습니다.
그런데 사실은 공부도 타고 난 게 제일 커서요.
7. 원글
'25.11.15 1:20 PM
(218.150.xxx.232)
아..이런의견 넘 감사해요
8. 음
'25.11.15 1:20 PM
(222.108.xxx.71)
독서든 수학이든 뭐하나만 하는건 안좋은거 같아요
저희 애는 독서 싫고 수학만 좋아했는데 그럴수록 독서를 더 시켰어야 되나 싶지만 그게 강요가 되나요
9. 독서도하고
'25.11.15 1:20 PM
(221.138.xxx.92)
적당히 적당히 ...
10. 원글
'25.11.15 1:21 PM
(218.150.xxx.232)
맞네요. 애가 하도 책을 안읽어서 고민입니다.
11. 즐겁게
'25.11.15 1:25 PM
(221.138.xxx.92)
같이 읽고 내용으로 대화나누세요.
혼자 읽게 하면 안읽는애들이 태반이랍니다.
12. ..
'25.11.15 1:26 PM
(118.235.xxx.186)
이과 성향인 애들 중에 독서 안 좋아하는 경우도 많아요. 특히 은유적인 표현이 많은 문학책은 질색하는.
독서는 사고의 틀을 확장시켜 이해력과 문해력에 도움을 주지만, 그게 학교 성적과 대입에 결정적인 건 아닙니다. 아이가 독서를 좋아하는 경우 아니라면 굳이 빡세게 강요할 건 아니라고 봄요.
13. 기본
'25.11.15 1:27 PM
(211.206.xxx.191)
국영수과학 충실하게 제 학년 것을 잘 학습해야죠.
책은 덤이고.
14. 맞아요.
'25.11.15 1:27 PM
(118.235.xxx.121)
기본머리가 좋은애들은 지적 호기심이 있어서 책을 보는 거에요. 내가 아는 것을 새로운 정보와 연결하는 게 재밌는거죠. 보통의 아이들은 게임하는 거 보단 나으니까 학습만화라도 읽히시면 좋아요. 엄마가 이꿀어주기 보다 아이를 관촬하고 필요로 하는 것만 넣어주세요. 엄마가 앞서가는 아이들 성취의 여부의 문제가 아니라 지속이 문제가 됩니다.
15. 솔직히
'25.11.15 1:35 PM
(58.29.xxx.20)
독서도 잘 모르겠어요.
독서 많이 한 애와 독서 하나도 안한 애 둘 키웠는데, 수능때 국어는 독서 많이 한 애가 좀 더 수월했다.. 정도지, 그렇다고 책 안 읽은 애가 국어 못하지도 않았어요.
뭐든 지나친게 문제에요.
공부 안시킨다고 너무 놀리거나, 시킨다고 무슨 초3,4에 빡센 선행을...
그런건 솔직히 별로 의미 없고,
제 경우는 초등때 규칙을 잘 지키고, 적은 분량이라도 매일 하기로 한 학습을 꾸준히 해내는 습관 들이는것, 초등 교육과정이지만 전 과목에서 빈틈 안생기도록 꽉꽉 채워서 다음 학기 나가고, 이런게 결국 공부 할 나이 되었을때 밑받침이 되었던것 같아요.
솔직히 책 안 읽고 컸지만 교과서 열심히 읽고 그걸 이해 하고 그런 과정에서도 문해력은 충분히 길러졌답니다.
16. .....
'25.11.15 1:41 PM
(117.111.xxx.193)
-
삭제된댓글
아니요 할수있는거 다 해봐야돼요 특히 예체능 여행가는거
중학교때는 할 시간이 없어요
17. 흠
'25.11.15 1:42 PM
(124.50.xxx.12)
영어 원서를 많이 읽히세요
한글독서 솔직히 안해도 그만 입니다
좋은대학이 목표시면
원서읽기 하루 2시간 이상
2학년 20분씩 3타임 주말 6타임
3학년 30분씩 3타임 주말 6타임
4학년 40분씩 3타임 주말 6타임
ㆍ
ㆍ
중1 70분씩...
중2 80분씩.. 과학선행 추가
원서읽기는 중등부터는 매일30분이상 밥이나 간식먹을때
좋은대학 목표시라면 이정도는 기본
중3 마칠때
고등수학선행 고2 11월 모의고사 1등급이상
고등과학 일반선택 물화 까지
영어 원서 ar 8점대
18. 헐
'25.11.15 1:55 PM
(223.38.xxx.195)
한글독서 안해도 그만입니다 ??
이런 헛소리를
19. ㅁ
'25.11.15 2:04 PM
(119.192.xxx.30)
초등 때 독서 많이 해야해요 문제풀이 같은 거 하지 말고요 나중에 독서할 시간이 없어요 여유 있을 때 책 읽으면서 문해력 기르지 않으면 나중에 국어, 영어 지문 못 읽어요 고등학교 성적은 긴 지문을 빨리 읽고 요점을 잘 파악하는게 가장 중요해요 그거 안되는 애들이 태반이고 그거 안되는 애들은 중학교 최상위라도 고등 가서 성적 떨어져요
20. ….
'25.11.15 2:13 PM
(221.148.xxx.201)
-
삭제된댓글
한글독서 안해도 그만이시라는 분은 애들 대학 보낸거에요?
애 둘 하나는 서울대 높공,하나는 의대 갔는데 초등때는 독서랑 구몬 하루에 다섯장만 했고 중등 선행은 한학년 선행만 집에서 혼자 개념책으로 했고 고등때는 고3 2학기때만 정시대비해서 수학만 대치동 학원 다녔구요,인강은 많이 들었어요
영어는 학원 다닌적 없고 중,고등 영어 시험때 시험 범위에 나오는 문법 공부 철저히 한게 쌓이고 독해는 한글책 많이 읽어놓은걸로 그냥 됐어요,애들 중학교때까지도 독서 많이 했는데 다섯살정도부터 중2정도까지 도서관에서 빌려온책이 삼천권이 넘었어요(어렸을때 보는 책은 워낙 짧아서 그때 많이 빌리긴 했구요)
학원 도움 없이 혼자 공부가 가능했던건 책을 많이 읽으니 어떤 책을 봐도 빠르게 이해가 가서 개념책 보고 스스로 공부가 어렵지 않았구요
지금도 이과생들이지만 영어 과외도 하는데 모의 5등급 학생 몇개월 안되서 3등급으로 올렸어요(그 등급이 올리긴 쉽긴해요)
아이 어렸을때 독서를 즐기게 하면 돌아오는게 정말 너무 많아요
21. 기막혀
'25.11.15 2:17 PM
(211.206.xxx.191)
무슨 영어 원서만 읽히라니.
언어영역 어떻게 풀라고.
22. ..
'25.11.15 2:20 PM
(211.234.xxx.174)
-
삭제된댓글
독서도 많이 해야 좋은거죠. 수학은 자기 학년 심화를 시켜보고 괜찮으면 고학년때 선행을 시작하는게 좋고요. 너무 빨라도 너무 늦어도 후회될 수 있으니 아이에 맞게 속도를 맞춰서 하세요. 영어도 늦게 시작하면 내신 위주로 흐르면서 좀 아쉬운 부분이 있으니 어려서 원어민 수업 원서 읽기해두면 좋아요. 영수에 몰빵하고 독서가 안되어 있음 아웃풋 나올 시기에 걸림돌이 되니 미리 읽어둬야 하는거죠. 그때는 읽히려면 시간도 없고 습관이 안되어 있어 국어수업 넣으면 선생님이 요약해주고 문제풀고 또 학습이 되버리니까 사교육 끝이 없어요. 지금은 읽고 나중에는 문제풀이 할수 있게 저학년일때 자유롭게 읽게해주세요.
23. ㅇㅇ
'25.11.15 3:18 PM
(211.36.xxx.114)
우리 아이는 문과 성향이고 책을 끼고 산 결과, 논슬로 대학 갔어요. 논슬학원은 논술시험 일주일 전부터 인강 들은 게 다예요. 정시로 갔으면 좀더 낮은 대학을 갔겠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