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Banner

지능 낮을수록 맥락보다 단어에 더 의존

음.. 조회수 : 3,197
작성일 : 2025-11-12 11:32:30

지능 낮을수록 

맥락보다 단어에 더 의존한다.

 

인지과학 연구에서 지능의 핵심 기능과 밀접하게

관련된 작업기억 용량(WMC)이 부족한 사람들은

글을 읽을 때 전체 문맥보다 특정 단어에 집착하는 

경향이 강하다는 결과가 나왔다.

 

스페인 심리학 연구진은 대학생 수백 명에게 긴 문장을 

읽히고 이해도를 측정했다.

 

그 결과 WMC가 낮은 집단은 글의 흐름을 통합하지

못하고 단어에 매달렸으며, 문랙이 불분명할수록 차이가 두드러졌다.

 

반대로 WMC가 높은 집단은 긴 글에서도 전체 의미를

추적하며 맥락을 유지하는 모습을 보였다.

 

연구집은 WMC가 단순한 독해력뿐 아니라 문제해결. 추론 같은

지능의 핵심 기능과도 밀접하게 관련돼 있다고 설명했다.

 

전문가들은 "언어 이해는 단어 해석을 넘어 맥락을

통합하는 능력"이라며, WMC가 이를 좌우한다고 

강조했다.

 

WMC를 늘리기 위해서는 충분한

수면, 운동, 스트레스 관리가 필요하다.

또 메모와 시각화 도구를 활용하면 뇌의 부담을 

줄일 수 있으며, 일분 전문가들은 "뇌도 근육처럼 훈련과 관리로

개선할 수 있다"고 강조한다.

 

연구는 엄밀히 말하면 문랙 이해에 관한 것이지만,

문맥을 파악하는 능력은 결국 일상 대화와 관계에서의 

맥락 파악 능력과도 연결된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한다.

 

결국, '지능이 낮으면 단어에 더 의존한다'는 말은

과장이 아니다. 다만 생활 습관과 훈련을 통해 인지 자원의

한계를 보완할 수 있다는 점이 강조된다.

 

 

 

 

 

생각해 보면 문장의 내용과 달리

단어에 꽂혀서 

그 단어만 계속 물고 늘어지는 사람들이나

말의 꼬투리 집고 물고 늘어지는 사람들이나

아마도 

문장의 문맥을 이해하기 어려워서

단어에 의존하는 것이 아닌가 싶어요.

 

 

 

 

 

IP : 1.230.xxx.192
24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ㅌㅂㅇ
    '25.11.12 11:34 AM (182.215.xxx.32)

    완전 맞아요 그런데 이것은 그냥 지능 말고 다른 것들도 연관이 되어 있는 것 같더라고요 정서적인 문제랄까 자기가 공격받는다고 쉽게 생각하는 사람들에 대한 문제

  • 2. ....
    '25.11.12 11:36 AM (211.218.xxx.194)

    지능이 높으면 맥락도 놓치지 않고 단어도 마찬가지로 날카롭고 예민하게 골라서 쓰죠.
    그걸 빨리빨리 하니까 일반인들은 대충하는것 처럼 보일지는 모르지만.

  • 3. 지능과
    '25.11.12 11:37 AM (58.29.xxx.96)

    감정의 결합

  • 4. 111
    '25.11.12 11:38 AM (119.70.xxx.175)

    행간의 뜻을 모른다는 거죠.
    걍 눈에 보이는 것만 읽는..

  • 5. ......
    '25.11.12 11:41 AM (112.164.xxx.253)

    이런 글 너무 좋아요
    원글님은 독서를 많이 하시는분인가요?
    이런글 종종 부탁드려요

  • 6. ......
    '25.11.12 11:42 AM (112.164.xxx.253)

    단어 하나에 필이 꽃혀 난리부르스를 치는
    저에게 해당하는 말인거같아요
    어휴 멍청한 습관
    고쳐야야지 하면서도 안되는걸
    보면
    전 아마도 저지능일 듯 싶습니다

  • 7. ..
    '25.11.12 11:51 AM (165.246.xxx.100) - 삭제된댓글

    로스쿨지원자들 치르는 리트시험이 이것과 긴밀하게 관계있는 것 같더라구요. 시간내 읽어야하는 지문량이 많은가봐요. 이 시험이 단기간만 준비해서 잘 치르기는 어렵지만, 그렇다고 오래 준비한 만큼 잘 치르는 것도 아니더군요.

  • 8. ..
    '25.11.12 11:57 AM (211.36.xxx.182)

    완전 공감합니다
    지능 낮으니 맥락을 이해 못하고
    단어의 꼬투리만 걸고 넘어지고
    피해의식에 정말 피곤하거든요

  • 9. 당연하죠
    '25.11.12 12:03 PM (223.38.xxx.17)

    숲을 안보고 나무만 보고
    달을 보라니까 가리키는 손을 보죠

  • 10. 오호
    '25.11.12 12:05 PM (116.121.xxx.181)

    지능 낮을수록 단어에 의존한다
    맞는 말.

  • 11. ....
    '25.11.12 12:07 PM (223.38.xxx.238)

    맞는 말.
    지능이 낮으니 단어에 꽂혀서 물고 늘어지고,
    선동에도 잘 휘둘리고.

  • 12.
    '25.11.12 12:11 PM (210.125.xxx.2)

    여기도 그런분들 많지 않나요? 원글 맥락을 이해못하고 단어하나에 꽃혀서 난리치는?

  • 13. 그거
    '25.11.12 12:23 PM (163.152.xxx.150)

    지금 잘 이용하고 있네요. 몇몇

  • 14. 맞말이네요.
    '25.11.12 1:01 PM (1.225.xxx.101)

    저를 두고 하는 소리 같군요.ㅜㅜ
    원글님 이 글 원문 어디서 볼 수 있나요?
    혹시 링크걸어주실 수 있을까요?

  • 15. 0011
    '25.11.12 1:07 PM (1.239.xxx.17)

    내 가까운 누구랑 비슷하네요... 그래서 대화가 안 되던데..

  • 16.
    '25.11.12 1:13 PM (223.39.xxx.224)

    자주 봅니다.

  • 17. 효숗
    '25.11.12 1:22 PM (125.176.xxx.131) - 삭제된댓글

    남편이 저랑 대화할 때 항상 대화 맥락이 아닌 특정 단어의 꼽혀서 말 꼬리를 잡고 늘어지는 데 제가 항상 이해력이 왜 그거밖에 안 되냐고 따지는데 지능이 낮아서 군요. 남편이 학벌은 좋아서 지능이 높은 줄 알았는데 대화할 때 보면 진짜 속 터져요.

  • 18. 효숗
    '25.11.12 1:23 PM (125.176.xxx.131)

    남편이 저랑 대화할 때 항상 대화 맥락이 아닌 특정 단어의 꽂혀서 말 꼬리를 잡고 늘어지는 데 제가 항상 당신은 이해력이 왜 그거밖에 안 되냐고 따지는데 지능이 낮아서 군요. 남편이 학벌은 좋아서 지능이 높은 줄 알았는데 대화할 때 보면 진짜 속 터져요.

  • 19. ...
    '25.11.12 1:23 PM (220.78.xxx.153)

    여기도 그런 분 많죠..
    맥락보다는 단어나 맞춤법 지적하는 분들..

  • 20. 이런
    '25.11.12 1:25 PM (218.148.xxx.161)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 21. 이게
    '25.11.12 2:12 PM (180.70.xxx.42)

    단순 그냥 IQ가 아니라 사회적 지능 뭐 그런 것 같아요.
    제 지인 중에 사법고시 한 번에 다 패스하고 명문대 나온 사람 있는데, 정말 맥락을 읽지 않고 단어 하나에 꽂혀서 얼마나 오해도 잘하고 사람이 예민한지.. 머리 나쁜 사람은 절대 아니거든요.

  • 22. ...
    '25.11.12 2:21 PM (61.32.xxx.245)

    이게 뭔 연구가 필요해요
    다 그렇게 알고 있는거 아니예요? ㅎㅎㅎㅎㅎ
    82만 봐도...

  • 23. ㅇㅇㅇ
    '25.11.12 2:41 PM (121.190.xxx.58)

    어 이 이야기 저 이야기 같은데요.

  • 24. 맞다맞어
    '25.11.12 4:26 PM (219.255.xxx.39)

    진짜로 뭔말인지 해석은 못하고
    아는 단어 하나에 꽂혀 난리난리...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772509 與 "사실상 검사 특권" 파면 없는 검사징계법.. 9 가즈아 2025/11/12 858
1772508 뉴진스 전원복귀. 하이브주식 업! 32 ㅇㅇㅇ 2025/11/12 4,214
1772507 드디어 물안개 피는 주산지를 봤어요 3 여행지 2025/11/12 1,413
1772506 아파트 단지내 식당이 좋다네요 11 의외로 2025/11/12 3,083
1772505 82세 노모가 감기 후 숨이 많이 차다는데 8 2025/11/12 1,797
1772504 반말하는 직원 5 ㄴㄴ 2025/11/12 1,524
1772503 87이 내년에 마흔, 97이 서른 ㄷㄷ 6 . 2025/11/12 2,501
1772502 건진이 김건희폰을 가진이유가?? 9 ㄱㄴ 2025/11/12 2,958
1772501 40년간 "이 반찬" 이렇게 먹었다 12 식사위생 2025/11/12 5,983
1772500 강남에서 일잘하는 가사도우미 시급3만원 가능한가요? 8 가사도우미 2025/11/12 2,442
1772499 퇴직후 그림공부 13 ,,, 2025/11/12 1,970
1772498 법사위소위, 檢특수활동비 20억 삭감… 1 잘한다 2025/11/12 594
1772497 자식,,신중하게 낳으라는 캠페인 해야하지 않나요? 11 u 2025/11/12 2,206
1772496 프랑스에 부유층사는 오래된 고풍스런 아파트?요.. 8 .. 2025/11/12 2,632
1772495 유학!!! 안다녀온사람들만 옹호하고 찬성하고..다녀온 사람들은... 22 웃긴게 2025/11/12 3,202
1772494 세상에 어떻게 이런일이 있을수 있을까요 7 .... 2025/11/12 3,361
1772493 윤석열·김건희, 전승공예품 63점 빌려갔다 16 ... 2025/11/12 2,629
1772492 피부암은 보험금 받기 힘든가요? 7 ........ 2025/11/12 1,895
1772491 내일 수능 학부모인데 너무 떨려요 18 .... 2025/11/12 2,877
1772490 신세계 2 상품권 2025/11/12 1,477
1772489 제 증상은 뭘까요? 2 Xmas 2025/11/12 1,630
1772488 서울시 "종묘 영향평가 안 받겠다…보고서 내고 협의&q.. 10 오세이돈xx.. 2025/11/12 2,802
1772487 스캐너가 없는데... 9 ........ 2025/11/12 995
1772486 내일 수능보는 딸이 도시락 메뉴를 정해줬는데 16 잉? 2025/11/12 4,461
1772485 안다르 청바지 6 체스티 2025/11/12 2,3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