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Banner

겸임교수나 시간강사도 논문개수가 중요한가요?

ㅇㅇ 조회수 : 832
작성일 : 2025-10-20 10:04:13

 

혹시 대학에서 근무하시는 분들 계실까 싶어 여쭤 봅니다.

제목 그대로 겸임교수나 시간강사로 채용될 때

논문을 몇 개 썼는지도 중요한 기준이 될까요?

아니면 단독논문이라거나 논문의 양이 아닌 질을 기준으로 하기도 하나요?

 

IP : 125.132.xxx.175
6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25.10.20 10:06 AM (1.239.xxx.246)

    노노

    겸임교수는 학위없어도 현직에서 능력 있는 사람. 논문은 커녕 학위도 필요 없음

    시간강사 - 학교마다 채용조건이 다르나 좋은 논문이 많으면 당연히 플러스. 그러나 보통 인맥

  • 2. ㅅㅅ
    '25.10.20 10:12 AM (221.157.xxx.208)

    시간강사는 당연히 강의력이 중요할거고요, 겸임교수는 갈래가 좀 있는데 학교 목적에 따라 연구전담이거나 교육전담인 경우가 있어요. 연구전담이 아닌 이상 단독논문 여부, 연구의 질을 중요하게 고려할 것 같지 않아요.

  • 3. ㅇㅇ
    '25.10.20 10:16 AM (125.132.xxx.175)

    그럼 겸임교수는 (연구전담 제외하고) 논문의 양이든 질이든 상관없고
    시간강사는 상관이 있을 수 있다고 봐야겠네요

  • 4. 전직 겸임교수
    '25.10.20 10:25 AM (222.100.xxx.51)

    전 박사학위 받고 겸임자리 얻었어요.
    원래는 시간강사로 되었을수도 있는데 보험 이야기하다보니 제가 다른 기관에서 일하고 있는 것 알아서 겸임교수로 타이틀 준 케이스에요.
    제가 그 분야 현장 경험 있어서 강의배정 받은건 아니고요. 논문도 여러개 있긴 합니다.

  • 5. 강사
    '25.10.20 3:01 PM (122.34.xxx.61) - 삭제된댓글

    시간강사는 논문이 중요할수도 아닐수도 있어요. 학교마다 천차만별입니다.
    채용요건에 최근 논문 실적을 적기도 하고, 아니기도 합니다.
    양보다 질이냐를 물어보시는데 요즘은 등재지 아니면 실적으로 안칩니다.
    채용할때 강의력을 측정 할 수 없으니 보통 경력 사항이나 논문, 실적(특허나 연구비)로 따집니다.
    겸임은 보통 그 분야의 전문가를 채용하는데
    박사없는 경력15년차하고 박사있는 경력3차라면 당연 전자가 우월,
    경력사항이 둘 다 15년차라면 학위있는 쪽이 유리하죠.

  • 6. 윗님
    '25.10.20 6:27 PM (74.75.xxx.126)

    말도 안 되요. 박사없는 경력15년차하고 박사있는 경력3차라면 당연 전자가 우월,이라뇨?
    요새 해외 명문대 박사 따고도 자리 없어서 놀고 있는 고급 인력이 얼마나 많은데 박사없는 경력15년차가 우월하다뇨. 더군다나 학문이 얼마나 빨리 움직이고 있는데 학위도 없이 15년 우려먹은 낡은 지식이 박사딴지 3년 한창 에너지 만빵 싱싱한 브레인보다 나을리가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765337 반려가위 추천 해 주세요! 4 문구덕후 2025/10/20 1,008
1765336 에르메스 스카프 가격??? 5 ㅁㄱㅁㅁㄱ 2025/10/20 3,183
1765335 조국 "조희대 대법원장 탄핵 망설여선 안 돼".. 13 ... 2025/10/20 1,282
1765334 미국 지수추종 etf 3 ㅇㅇ 2025/10/20 2,296
1765333 등하원시터 vs 문화센터 3 2025/10/20 1,091
1765332 "패트병에 술 준비해" 김성태 지시 녹취. 확.. 2 그냥 2025/10/20 1,659
1765331 시골땅 어찌 파나요 29 ㄴㄹㅎ 2025/10/20 4,642
1765330 황당한 애 엄마 2 사서 2025/10/20 2,598
1765329 한국금거래소 금, 은, 백금(플래티넘) 시세 2 골든 2025/10/20 2,196
1765328 요일마다 기분 느낌 있으세요? 4 2025/10/20 930
1765327 커피를 계속 따뜻하게 먹으려면? 11 날씨가추우니.. 2025/10/20 2,843
1765326 서류상 부자 vs 현금 흐름 부자 13 ㅇㅇ 2025/10/20 1,988
1765325 서울 전월세 폭등할까요 35 전망 2025/10/20 4,425
1765324 올 겨울에 프랑스여행 괜찮을까요? 14 Oo 2025/10/20 1,822
1765323 무언가 소소한 쇼핑하고픈 분들 5 무명 2025/10/20 2,557
1765322 푸룬주스마시고 폭풍 설x 원래 이런가요? 11 .. 2025/10/20 1,406
1765321 최근에 제주 신화월드 가보신분 1 푸루루 2025/10/20 664
1765320 (급) 전자렌지 돌린 글라스락 뚜껑이 안열려요 7 급질 2025/10/20 1,263
1765319 조희대가 윤석열을 풀어주느냐 민주당이 이를 막을수 있냐의 기로 12 ㅇㅇ 2025/10/20 2,156
1765318 오세훈표 한강버스에 시민혈세 1207억…운영사만 땅 짚고 헤엄 5 .. 2025/10/20 1,007
1765317 세면대 배수구 확 뚫리는 거 좀 알려주세요~~제발ㅜㅜ 7 ... 2025/10/20 1,718
1765316 . 50 .... 2025/10/20 14,746
1765315 김어준, 내가 아직 살아 남아 있는 이유 전문 20 같은시대를살.. 2025/10/20 4,044
1765314 도이치모터스는 캄보디아에 진심이었군요~ 1 믿는구석윤거.. 2025/10/20 1,163
1765313 캄보디아 피의자 송환하지 말고 계속 한국인 괴롭히게 5 00 2025/10/20 1,5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