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것도 피 잘 뽑는 사람에 따라 다른걸까요?
피검사 하면서 몇군데 병원 다녀보면
어떤 곳은 멍 안들고 말끔하고
어떤 곳은 멍이 엄청 들고...
그리고 요즘은 채혈하는 사람 손톱
어떤 제약이 없는 거죠?
채혈하는 사람이 젊은 경우
손톱 길게 붙이고 화려하게 장식 했더라고요
두번 정도 봤는데
지금은 자유로운가 보다 했어요
이것도 피 잘 뽑는 사람에 따라 다른걸까요?
피검사 하면서 몇군데 병원 다녀보면
어떤 곳은 멍 안들고 말끔하고
어떤 곳은 멍이 엄청 들고...
그리고 요즘은 채혈하는 사람 손톱
어떤 제약이 없는 거죠?
채혈하는 사람이 젊은 경우
손톱 길게 붙이고 화려하게 장식 했더라고요
두번 정도 봤는데
지금은 자유로운가 보다 했어요
채혈하고 5분 꽉 누르세요 하잖아요. 그 때 대충 누르면 멍이 더 잘 생기더라고요.
제대로 꽉 눌렀을 때 멍이 안 생겼어요.
손톱은 어차피 장갑 끼고 하는데 상관 없죠.
채혈이 혈관에 주사 바늘로 찌르는거라.
채혈 후 살짝 눌러요. 꽉 누르면 혈관 더 터져요.
그리고 채혈 잘 못 해서 바늘 넣어서 돌려서 혈관잡는 간조들 있어요. 바로 말하세요. 아프다고 빼라고. 저러면 혈관 다 터져서 멍 오래가요.
채혈 잘 하는 사람들도 있고요.
꽉 누르는 건 똑같았어요.
오히려 꽉 오래 눌렀는데 그게 더 멍이 엄청 커요.
누르는건 비슷한데 멍이 많이 들고 아니고 차이가 있어서 궁금해서요
채혈 하는 사람 장갑 낀 경우를 저는 못 봤어요. ㅜ.ㅜ
일반 병원에서 , 종합병원에서 한두달 사이로 채혈했는데
장갑 안끼고 그냥 채혈 .
고객센터에 채혈하는 간호사가 손톱길고 네일 해서 개선요망
고객카드 넣어요
멍은 피가 흘러나올 때 생기는거예요
찌를 때 피가 나오든 누를 깨 새어나오든 피가 나와서 생기는거니 최소한의 피만 나오게 조치하는게 최선
그냥 대충 누르면 되는데 왜 꽉 누르는지
적당히 누르고 반찬고 붙이면 끝.
그리고 임상병리사 손톱이 긴건 글쎄요.
그건 그 사람 자유...?
바늘 들어갈때 '따끔' 하다고 얘기해주는데
그정도 따끔은 어디서나 다 비슷해서
그외의 아픈거는 못느껴서 빼달라고 하지는 못하겠더라고요
앞전 일반 내과에서 채혈했을때는 바늘 흔적만 남고 멍은 하나도 안들었는데
이번에 다른 병원에서 채혈했는데 멍이 엄청 커요..
채혈 많이 해봤는데 개인적인 역량차이 성격차이가 커요
제가 혈관이 잘안보이는데 잘못해도 혈관 가는 사람용 특수바늘로 조심해서 뽑는 사람도 있고 실력도 없으면서 푹 찔러 넣어서 시퍼렇게 멍드는 경우도 있어요
남자들 같은경우는 힘조절이 안돼서 더 아프구요
멍생겨요.
혈소판이 낮아도 생겨요.
채혈후 문질러도 멍 심하게 들고
주사기로 뽑을때 피가 잘 안나온다고 쎄게 땡기면 심하게 들어요
능력과 관계있어요. 항암치료 중이라 자주 채혈하는데 유독 아프게 한 사람은...피멍이 아주 진하고 넓게 생겨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