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Banner

이제는 오지 않는 올케를 추억하며

미안해요 조회수 : 5,484
작성일 : 2025-10-04 20:17:48

아래에 예전 명절 추억하시는 분 보고 쓰는 글이에요. 

2-30년이니 벌써라고 해야할지 고작이라고 해야할지. 그 시절만에 명절 풍경이 참 많이도 바뀌었죠. 

지지리도 가난한 형제 둘이 한도시에 살았죠. 

큰집에 애가 셋, 작은집엔 애가 넷. 저는 작은집 중간아이.  평생이 백수 한량이었던 큰아버지가 본인의 가장으로서의 권위를 세울수 있는 유일한 때가 명절과 제사였죠. 분수에 넘치게 상다리를 차려내게 하고 자정제사를 고수하고 그걸로 양반입네 하고 싶으셨던. 큰엄마가 평생 먹는 장사를 하셨던 분이라 워낙 손이크고 일도 잘하니 (또 저로서는 이해할 수 없지만 그 백수남편을 너무 사랑하셨어요. ㅎㅎ) 큰아버지의 그 말도 안되는 (지금보면 말도 안되는) 요구에 순종하며 따라주셨죠. 

 

할머니가 살아계셨고, 평생 큰아들집에 사셨기에 명절엔 당연히 큰집을 갔죠. 차례를 지내고, 산소에 성묘를 갔다가 산소가 있는 근처에 사는 큰고모댁을 들러 아버지의 조카들을 만나고 좀 있다 큰집 근처에 사는 둘째 고모댁까지 들러서 오는게 명절의 루틴이었어요. 그럼 저녁나절이 되어 엄마도 챙겨 역시 멀지 않은 곳의 외삼촌댁(외할머니가 같이 사셨거든요)을 가면 2시간 거리 대구에 살던 이모가 오고. 생각해 보면 너무 잔인했죠. 평생을 시모를 모시고 산 큰외숙모는 시누이들 맞이 하느라 친정도 못가고 있고. 어린애가 뭘 아나요. 외가에 가면 늘 순하게 웃음짓는 외숙모가 무슨 지박령처럼 있으면서 명절 상차림을 떡하니 차려주는 게 무슨 의미인지 몰랐던 거죠. 그저 부유했던 외가의 명절음식은 푸지고 맛있기만 했단 기억. 또래의 외사촌을 만날수 있어 너무 즐거운 명절이었죠 저는. 작은 외숙모는 드문드문 만났던 기억만(작은 외숙모는 종종 친정가셨거든요. 작은 아들을 편애했던 외할머니의 만행이었죠.  하 참.)

 

이게 불합리하다 느끼는 건 나이와 상관없이 자신이 그 입장이 되어봐야만 아는 거죠. 

 

그렇게. 20대 중반이 되었을 때. 

큰집 사촌오빠가 결혼을 했고 올케언니가 들어왔어요. 

올케언니 입장에선 명절이라 시댁을 가서 그 산더미같은 음식을 하느라 기진맥진, 잠자리도 화장실도 불편한 가난한 시댁에서 자고 명절 당일이 되니 화사하게 꽃단장하고 한복을 떨쳐입고(즉, 일은 전혀 돕지 못할 차림) 오는 세명의 사촌시누이에 숙부가 나타나는 거죠. 숙모도 없이. 저희집은 작은집이었는데 제사가 하나 있어 엄마는 매번의 명절에 우리집 제사 준비 하느라 큰집에 안갔거든요. 

 

이 머리에 꽃단 미친 사촌 시누들 셋이(큰언니는 시집간 뒤 ㅎㅎ) 안방에 자리 차지하고 앉아(지가 무슨 양반댁 영애라고 한복을 얼마나 화려하게 처려입고 두루마가에 복주머니에 꽃신까지 신고...;;; 울 엄만 딸들 그리 꾸며 내 보내고 너무나 뿌듯해 하셨죠...;;;) 차례지내고 밥상받고 밥먹다가 일어서려하면 큰엄마가 앉아 있으라고 손 내저으며 물주랴 국주랴 과일주랴...;;; 올케를 그리도 부려먹은. ㅠㅠ 그나마 큰 인심 써서 과일이랑 접시 칼 쟁반에 담아 대령해주면 과일깍는 걸로 온갖 생색은 다 내고 동네 칭찬 다 받고..... 지금 생각하니 우리 올케언니 그 미친 사촌 시누년들 머리채 안잡은 것만도 감사할지경. 

 

할머니 장례를 포함해 참 많은 일들이 있었지만. 

 

그렇게 몇년이 흘렀고 제가 결혼을 했죠. 작은집 셋째인 제가. (둘째는 비혼) 제 결혼식이 올케언니 시집오고 6년차였나 7년차였나 그때였는데... 그래도 울 올케언니 똑똑한 사람이라 이 집구석엔 답이 없구나를 캐치 했나봐요. 제 결혼식 참석이 올케언니의 마지막 시댁 행사 참석이었어요. 그 뒤로 명절이고 나발이고 시댁에 완전 발을 뚝 끊음. 

 

그리고 20년이 지났죠. 

희한하게도 이 집구석 딸년들은 저 포함 모두가 시누이 없는 집안 둘째 이하의 아들들에게만 시집을 가거나 장남에게 갔으나 시부모가 없는 집안 으로만 시집을 가서 올케언니의 울분을 풀어줄 길이 없고...;;;

 

제가 결혼한지 20년이니 언니를 못본 것도 20년이지만

늦게나마 말씀드려요. 

언니 그땐 제가 철이 없어 너무 죄송했어요. 고생 많으셨어요. 진심으로 사과드려요. 죄송합니다. 

 

Ps. 평생을 시집살이 하며 남편을 섬기고 시댁을 섬기고 산 큰엄마와 우리 엄마는...;;; 아시죠, 뭔지? 올케언니가 발을 끊은 뒤로도 참 많은 얘기가 있습니다만 위에 쓴 건 저의 만행이라, 제 이야기라 쓴 거고 언니 발 끊은 이후의 얘기는 언니 얘기라 안씁니다. 그저 큰엄마와 울 엄마는 본인들의 잘못을 전혀 인지 못하고 특히 큰엄마는 본인은 평생 시어머니 수발을 다 했는데(큰며느리란 이유로 단 하루도 우리집에 맡기지 않음) 정작 본인은 큰며느리에게 버림받은 게 너무 서럽고 분해서...;;; 울 엄마도 마찬가지. 시집 안 간 딸이 명절에 꽃단장하고 큰집간게 뭐가 잘못이냐...;;; 인지가 없으니 반성이 없고 반성이 없으니 화해는 요원한 일. (비혼 울 언니도 비슷 ㅎㅎ)

 

그저.  며느리가 되어본 저와 제 동생은 좀 그랬다, 우리가...;;; 하죠. (올케언니와 명절에 만날일이 없어 만행을 저지를 일이 없었던 큰언니도 음;;; 비혼인 둘째언니와 비슷한 마인드이긴 해요)

 

그냥, 올케 언니가 그 이후로는 행복하시길 바랄 뿐. 

 

IP : 140.248.xxx.3
9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25.10.4 8:28 PM (98.244.xxx.55)

    그나마 사촌 큰올케가 오지 않아서 큰아들이 이혼 안 당하고 사는 거 아닐까 싶어요.

  • 2.
    '25.10.4 8:34 PM (115.138.xxx.1)

    원글님은 경험을 토대로 역지사지가 되시는분~!
    그 올케분은 그래도 빨리 결단을 내렸네요 그때만해도 쉽지 않았을거에요

  • 3. 원글님이
    '25.10.4 8:55 PM (221.151.xxx.151)

    철이 없었네요.ㅎ
    저는 집안에 하나뿐인 손녀고 좀 모지리?에요.
    우리집은 남자만 득실대서 건조한 집.윗대는 시집샬이도 심했구요.밥은 한 자리에서 먹는데 어른들만 얘기하고 우린 조용;
    사촌 새언니 처음 생겼을때 대놓고 보호했어요.
    원글님도 그 새언니도 지금 평온하길 바래요.

  • 4.
    '25.10.4 9:11 PM (182.227.xxx.181) - 삭제된댓글

    큰엄마가 어리석네요
    내며느리가 소중하지 작은집 식구들 조카가 뭐라고
    우리형님은 며느리 들어오면 아무것도 시키지말라고
    제사도 본인만 하다가 물려주지 않을꺼라고
    아직 생기지도 않은 미래의 며느리 보호하느라 난리인데요
    그래도 아들 이혼안당하고 사는거보면
    사촌오빠가 현명하네요

  • 5. 사촌시누들이
    '25.10.4 10:33 PM (83.249.xxx.83)

    처음 결혼하고서 그리고 아이 낳은 후에 사촌시누들 그러니가 시엄니네 동생분들네를 명절마다 바꿔가며 모였는데, 사촌 시누들이 다들 합심해서 내가 부엌에 들어가려고만하면 손잡고 나와 거실에 앉혀놓았어요. 애기도 시누들이 다들 안아가면서 돌봐주고요.
    시이모님들도 내 앞에 음식 해다바치거나, 고급요리집에서 식사대접해주시고요.
    이래서 시어머니 패악질도 한 눈 감아주고 살아왔습니다. ㅎㅎㅎㅎ

    새언니 집에 처음 왔을때도 명절에 새언니 앉혀두고 엄마와 내가 다 명절음식 만들고 차렸어요. 헉헉...그당시에 결혼안한 미혼이라서 다행. 언니가 뭘 알겠냐고 나중에 다 하라고 얌전히 새색시 앉혀놓았지요. 그래서인지 20년 넘어서도 군말없이 음식 혼자서 다 합니다. 내가 요렇게 만들려고 꼼수를....

  • 6. .....
    '25.10.4 11:08 PM (115.21.xxx.164)

    큰엄마가 어리석네요
    내며느리가 소중하지 작은집 식구들 조카가 뭐라고2222
    내아들 내며느리 잘사는게 중요한 거죠.

  • 7. 음…
    '25.10.4 11:37 PM (172.226.xxx.44)

    사실 사촌시누 그게 뭐라고요. 변명도 발뺌도 아니고요. 그저 저희 자매들의 행태로 대표되는 그 미개한 가부장적(이라고 할 수도 없죠. 가장이 가장노릇을 못했으니) 문화가 문제였어요. 오뻐 입장에서야 이혼 안한게 다행이지만 결혼 20년 살고보니 언니 입장에서 결혼을 유지하는 것이 과연 옳은 일이었나 회의가 들긴해요. 새언니가 결국 시댁에 발을 끊게 된 건 저희 자매 때문은 아니었거든요. (사촌시누란 존재는 그리 중요인물이 아니지요 사실.) 다시한번, 변명도 발뺌도 아닙니다!!

    정말이지 너무나도 미개한, 가장의 의무는 다하지 못하고, 그 의무를 다하지 못하는데서 오는 자격지심탓에 다른데서 과도하게 권위를 세워보려 헛발질을 했던 큰아버지와 주견없이 살아온대로만 살려했던 큰엄마에 그 문화에 젖어 신문물 개화를 전혀 받아들이지 못했던 사촌오빠의 문제까지.

    다만 제가 지금도 미안한 건, 그땐 저도 미개한 상태여서 언니의 힘듦(육체적이 아니라 정신적인. 2000년대에 원 1960 년대 농경 씨족마을에 떨어진 기분이었을 거예요. 외눈박이 마을에 떨어진 두눈박이의 그 호러블한 공포와 서로 다른 언어를 쓰는듯한 외로움 불통… 거기서 오는 고통 컸을 거라 생각합니다)을 알아주기는 커녕 좀 더 가중시키는 미개한 족속의 미미한 또 하나 였을 거라는 점이 너무 미안하죠.

    만나고 싶지도 않을거라 생각하지만 언젠가 우연히라도 만나게 된다면 진심으로 한번은 사과하고 싶어요.

  • 8. 제식구가
    '25.10.5 12:35 AM (211.208.xxx.76)

    누군지도 모르는 바보들..
    내편에게 미리 적금 들듯 친절함과 배려를 쌓지..
    도리라는 가스라이팅
    결혼전 서른 조금 안된 삶을
    마치 도리도 예의도 못배운 미성숙한 인간 취급하며
    그걸 빌미로 갈취하던 노동력과
    시모의 결핍을 타인에게서 충족하고자하는 착취
    그런게 시집살이의 대부분인거..
    나의 노쇠한 시모는
    꿩이라도 주려는 내게 알까지 먹겠노라 해서
    오늘도 꿩도 알도 못찾아 먹는 신세..
    그냥 어리석은 겁니다

  • 9. ㅌㅂㅇ
    '25.10.5 1:38 AM (182.215.xxx.32)

    나의 노쇠한 시모는
    꿩이라도 주려는 내게 알까지 먹겠노라 해서
    오늘도 꿩도 알도 못찾아 먹는 신세..
    그냥 어리석은 겁니다2222

    마치 도리도 예의도 못배운 미성숙한 인간 취급하며
    그걸 빌미로 갈취하던 노동력과
    시모의 결핍을 타인에게서 충족하고자하는 착취2222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760727 국가정보관리원장의 무능력과 거짓말 20 어후 2025/10/05 3,978
1760726 요로감염증상이 있는데 연휴라 어떻게 해야 할지 2 병원 2025/10/05 1,744
1760725 와..진짜 엄마한테 너무 서운하네요 47 .. 2025/10/05 17,819
1760724 내일 예술의전당 미술전시할까요? 2 미술전시 2025/10/05 1,428
1760723 추석 상차림에 고기 한가지 한다면 어떤거할까요? 12 ㅡㅡ 2025/10/05 2,332
1760722 펌 - 냉부해 댓글 봤는데 조직적이라는 생각밖에 안듭니다 34 출처 - 다.. 2025/10/05 3,658
1760721 갱년기? 우울증? 2 50대 2025/10/05 1,730
1760720 누구든 이틀이상 같이 있으면 9 2025/10/05 3,800
1760719 오비 맥주 ... 중국에 넘어갔네요 9 멸공 2025/10/05 3,813
1760718 지금 더운데 다른 곳은 3 선... 2025/10/05 1,656
1760717 저 가지말라 힘 실어주세요. ㅎㅎ 15 갈말 2025/10/05 4,447
1760716 펑합니다 36 걱정 2025/10/05 12,360
1760715 햄버거 업체들은 다 호황이래요 10 ........ 2025/10/05 11,955
1760714 세상에 돈 뜯어낸걸 민생 소비쿠폰 뿌린다니.. 33 도라이엄프 2025/10/05 5,195
1760713 처음느낌그대로 김광진표도 너무 좋네요 3 ........ 2025/10/05 1,171
1760712 저도 친정이 없어요 5 ... 2025/10/05 3,953
1760711 친정이 없으니 서글프네요 7 ㅇㅇ 2025/10/05 4,635
1760710 은중과 상연 봤는데 마음이 먹먹하네요 4 넷플릭스 2025/10/04 4,295
1760709 폭군의 쉐프 오늘 다 봤네요 4 ㄹㄹ 2025/10/04 3,105
1760708 혹시 배우자로 인해 고통받으시는 크리스찬분들 계시나요 20 ㅇㅇ 2025/10/04 4,587
1760707 산업부 '대왕고래' 자료 숨기려 법률 의뢰…자문료만 1,500만.. 2 왕짜증 2025/10/04 1,521
1760706 식재료 안사고 있는거 먹었더니 3 .. 2025/10/04 4,670
1760705 지금 KBS1 에 정태춘/박은옥 콘서트 9 ㅇㅇ 2025/10/04 1,561
1760704 다들 명절 잘 보내세요~^^ 6 위니룸 2025/10/04 852
1760703 원래 결혼하면 배우자와 자식들을 먼저 챙긴게 맞지 않나요 3 ........ 2025/10/04 2,9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