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Banner

부모 vs. 자식, 이런 경우라면..??

// 조회수 : 2,283
작성일 : 2025-09-26 10:45:57

주말드라마를 보다가 남편이랑 의견차가 있어 여기에 여쭈어봐요.

뭐 스쳐지나간 내용에 불과하긴 한데,  

어려운 형편에 전도유망한 자식의 유학비를 근근이 모으다가,

(잘은 몰라도 아마 유학이 꼭 필요한 분야였던 것 같아요)

아버지(아이의 할아버지)가 큰병에 걸리게 되자

아버지를 살려야 한다며 아이의 유학을 무산시켜 버려요..

아이는 아이대로 괴로운 시기를 보내고, 돈은 돈대로 다 써버렸으나 

아마도 아버지는 오래지 않아 돌아가시게 되는 설정.. 

 

꼭 유학이 아니더라도..

전 아이의 미래를 위해 투자해야 한다는 의견이고, 남편은

그래도 부모인데.. 부모의 병원비로 써야 한다는 입장이네요.

제가 생에 크게 집착(?)이 없어서 그런지, 전 살만큼 산 조부모가

양보해야 한다고 생각하거든요..

(물론 조부모가 모든 노후준비를 완벽히 해서 병원비 스스로 

감당할 수 있으면 얼마나 좋겠습니까만)

 

유학에 초점을 두지 마시고,

능력있는 아이의 뒷바라지 vs. 아픈 부모

넉넉지 않은 형편에 누굴 지원해야 한다고 생각하시는지요?

좀 더 나아가,

빚을 내서까지 아이를 지원하는건 제 기준 어불성설이긴 한데,

그럼 빚을 내서까지 부모의 병원비를 감당해야 하는 상황이라면

지원은 어디까지라고 보시나요...??

 

 

 

 

IP : 61.78.xxx.80
25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이건
    '25.9.26 10:47 AM (118.235.xxx.254)

    고민이 되나요?? 당연히 아이죠
    어차피 인간이 영생하는게 아니고 의료보험되는 치료해보다 안되면 할수 없는거 아닌가요?

  • 2. ..
    '25.9.26 10:49 AM (112.214.xxx.147) - 삭제된댓글

    아이의 유학과 부모의 병원비라면 전 부모의 병원비로 지출하겠습니다.
    유학 꼭 가야하는 것도 아니고 자식이 벌어서 갈 수도 있는거고..
    부모는 병원이 아니면 죽을 수도 있는데..

  • 3. ..
    '25.9.26 10:51 AM (118.235.xxx.5)

    아버지가 오래지 않아 돌아가시게 되는 설정이라면 그리고 그게 연명치료에 쓰이는 돈이라면 아이죠
    근데 그 돈으로 아버지를 살릴 수 있다면 얘기가 달라지겠구요

  • 4. //
    '25.9.26 10:51 AM (61.78.xxx.80)

    그러니 유학에 초점을 두진 마시고 의견 부탁드려요..
    남편은 부모를 위해서라면 있는 돈 없는 돈 다 써버릴 기세라...
    제가 너무 정없는 건가요 ㅠㅠ

  • 5. 저는
    '25.9.26 10:53 AM (1.239.xxx.246) - 삭제된댓글

    치료비요

    윗분 말대로 이미 결정이 난 상황인데 연명치료에 쏟아붓는건 반대하지만
    치료될 여지가 있는 상황이라면 부모님의(시부모님도 물론) 치료비에 씁니다.

  • 6.
    '25.9.26 10:55 AM (59.10.xxx.58)

    돌아가시는 설정. 에서 끝.
    곧 돌아가실 부모라면 고통을 최소화시키는데 중점.
    치료는 안할듯.
    아이 유학과 상관없이.

  • 7. 그게
    '25.9.26 10:57 AM (222.109.xxx.93)

    곧 돌아가실 부모라면 고민이지만 아니면 부모님이죠
    시가쪽일이니 저울질 하겠지만
    내 친정부모라고 생각한다면 아니죠~~

  • 8. ㅇㅇ
    '25.9.26 10:57 AM (223.38.xxx.187)

    저는 비혼인데 아이의 미래를 위해 투자할것 같아요
    조부모 입장이어도 손주 교육비를 제 병원비로 사용하는건
    반대할것 같은데

  • 9. //
    '25.9.26 10:58 AM (61.78.xxx.80)

    곧 돌아가셨다는 직접적인 내용은 없었는데,
    현재 할머니만 살아계신 걸로 보아 오래지 않아 돌아가셨구나 짐작만 되는 상황입니다..

    그리고 많은 병에서 그렇듯이, 완치가 될지 안될지는 알 수 없으니까요..
    최선을 다해볼 뿐인데, 그 최선의 범위란 게...

  • 10. 이건
    '25.9.26 11:07 AM (118.235.xxx.254)

    암치료 비싼 신약으로 다 써보려면 일년에 몇억씩 드는 약도 많아요
    그럼 그거 집팔고 재산팔아 모두가 길거리 나앉을 때까지 끝까지 해보실거예요? 실제로는 아무도 안그래요

  • 11. 그렇다면
    '25.9.26 11:15 AM (221.138.xxx.92)

    대출받아서 사는 내내 갚아나가요.
    애는 무슨 죄

  • 12. 청년이 먼저지
    '25.9.26 11:32 AM (112.167.xxx.92)

    한정된 돈에서 우선순위가 청년이죠 살만큼 산 사람이 늙어 더 살겠다고 고액을 써 이건 돈을 버리는거

    자기돈으로 연명치료한다면야 누가 말리겠냐만 자식 돈 빌려 하는건 패망짓이지 그자식도 자식이 있는것을 우선 순위가 젊은이에게 밀어줘야함

  • 13. 아니 무슨
    '25.9.26 11:39 AM (118.216.xxx.171)

    유학에 초점을 안 두고 어떻게 얘기를 해요?
    유학안가고 서울대가는 대안도 있잖인요.
    국내대학은 보내줄 수 있는 거니까 국내대학보내고 부모님 치료 이 정도로 타협하는거죠.
    근데 유학간다고 부모님 죽으라는 건 안되는거죠

    둘 다 적당히 돈을 써야지 한쪽만 몰빵하나요?

  • 14. ....
    '25.9.26 11:39 AM (211.201.xxx.247)

    몇 년 내의 수명연장의 치료....라는 설정 하에서는 당연히 아이인데,
    우리나라의 빌어먹을 꼴통 유교 사상 아래에서는 그 선택이 쉽지가 않아요.

    특히, 남자들이 그게 더 심한데, 아들로 태어났으면 집안의 가장으로서
    이유 불문하고 부모를 책임져야 한다...는 가스라이팅을 받으며
    그대신 어릴때부터 아들로서 특혜를 누리고 자라서 그래요.

    아들이라고 특혜도 주지 않은 집이 뻔뻔하게 아들에게 더더더더 요구하는건 말할 것도 없고.


    지금 생각해도 어처구니가 없는 내용인데, 우리 어릴때 읽던 전래동화도 있잖아요.
    노모가 아픈데, 백약이 무효한 상황에 지나가던 스님새끼가 니 자식을 달려서 먹여라...ㄱ
    그러면 니 엄마 금방 나을거야...그리고 너 복 받을거야...

    며느리가 말렸으나 아들 왈, 자식은 또 낳으면 되지만, 부모는 한 명이다...
    단호하게 아이를 약으로 달여서 엄마 먹임(미친 개새끼)
    당연히 엄마는 병이 나았고, 부부가 아이 생각하며 슬퍼하고 있는데
    밖에서 아이가 놀다 왔다며 태연하게 집으로 돌아 옴.

    부부가 우리 복 받았구나...좋아하며 엔딩.

  • 15. ㅁㅁ
    '25.9.26 11:57 AM (222.100.xxx.51)

    아버지의 병이 치료가 가능한 건지, 단지 임종 시간을 조금 지연시키는지에 따라 다르죠.
    병이 치료가 가능한거라면 일단은 부모님이요.

  • 16. ....
    '25.9.26 12:02 PM (121.137.xxx.59)

    연세 높은 부모님 치료비로 쓰는 것보다 앞으로 살 날이 많고 가능성이 높은 자녀한테 사용하는 게 맞다고 봐요.

  • 17.
    '25.9.26 12:50 PM (61.74.xxx.175)

    치료 받아서 가망이 있으면 치료비에 씁니다
    결과는 장담할 수 없어도요

    저도 그 드라마 봤는데 자기집 형편에 맞게 진로를 선택하고 계획하는 게 맞죠
    진짜 간절하다면 일단 빨리 자리 잡고 공부 하는 방법도 있을거구요
    주인공이 비혼을 선택하다가 재벌집 딸과 갑자기 결혼 진행 하는 당위성을 만들어주려고
    넣은 이야기죠
    게다가 좌절을 겪고 극한 상황에 내몰려서 아이디어를 얻고 창업해서 잘나갈걸로
    예상되잖아요
    젊은 날에는 결핍이 성공의 원동력이기도 하잖아요
    유학을 무리해서 보내 유학비만 딱 주면 알바 하느라 시간 다 뺏겼다는 사람들도 많아요
    물론 그 결핍 속에서도 뭔가 싹을 틔우는 애들이 있긴 하지만요
    교육은 인풋대로 아웃풋이 나오는게 아니고 형편보다 무리 한 경우 끝이 안좋더라구요

  • 18. //
    '25.9.26 1:09 PM (61.78.xxx.80)

    드라마 내용을 떠나 저에게도 해당될 수 있는 내용이기에 의견을 여쭤봤어요..
    저희도 어려운 시가, 한창 공부중인 아이가 있는데,
    남편은 이런 경우 부모를 도와야 한대고, 제 생각은 아이를 지원해줘야 한다는 거여서요..

    일례로, 1000만원짜리 로봇수술과 400만원짜리 일반 수술이 있어도 시부모님은 로봇수술을 고집하시더군요. 부모님 입원비, 치료비에 간병비까지 앞으로 갈 길이 한참인데, 그럼 아이는 부모 써포트도 없이 혼자서 자립하라고 해야 하나요.. ㅠㅠ
    우리 부부도 늙어가고 있고 돈 나올 곳도 한정적인데요...

  • 19. ..
    '25.9.26 1:55 PM (110.15.xxx.91)

    굳이 선택하라면 자식한테 쓰겠습니다
    미래를 살아가야할 젊은이한테 써야죠

  • 20. 저는
    '25.9.26 2:16 PM (121.162.xxx.234)

    부모 치료비로 쓰겠습니다
    연명치료가 아니라면요
    유학 좋죠. 저도 형편엔 과하다 싶게 유학 보냈고 운 좋게도 결과가 나쁘지 않았습니다만
    유학= 미래 는 아닙니다. 더구나 학부라면 조금 미루고 석,박에 기회를 노려보겠습니다
    아이 입장에서도 조부모에 대한 죄책감이 없을 순 없구요

  • 21. ㅇㅇ
    '25.9.26 2:27 PM (218.48.xxx.188)

    유학이냐 국내대학이냐에 따라 답이 완전히 달라질수 있는건데 어떻게 유학을 빼고 얘기해요? 그게 제일 중요한 요소고 꼭 유학 아니어도 길은 많은데

    부모는 그돈 안쓰면 당장 죽는거고 아이는 유학 말고 다른 길 있다면 당연히 치료비로 써야죠 사람 목숨이 달린건데 어떻게 유학을 위해 죽게 내버려 두나요

  • 22. ......
    '25.9.26 3:48 PM (51.159.xxx.155) - 삭제된댓글

    개인사를 접목시켜서 상상하자면
    아랫사람이 윗사람을 위해 희생해야 하는 거 지긋지긋해서
    내 애는 나처럼 고작 그런 인간때문에 인생 망치지 말라는 심정으로 유학보내줄 거 같네요.

    개인사(책임감 밑바닥 부모에 대한 반감)를 배제하고 보자면.....
    '할아버지'가 병에 낫는다해도 뭐 얼마나 살까 싶어서 비슷하긴 한데,
    그래도 82에 글 한번 올려서 의견 보고 결정할 거 같네요(위에 댓글들 보니 병원비에 쓰는것도 맞겠다, 설득되는군요)

  • 23. akadl
    '25.9.26 4:14 PM (210.180.xxx.253)

    전 당연히 자식입니다
    손자가 20대 중반이라고 가정한다면 적어도 80이상은 될거 같은데
    앞날 창창한 자식한테 하는게 맞을듯 합니다

  • 24. akadl
    '25.9.26 4:15 PM (210.180.xxx.253)

    모아논 돈도 없고 하면서 비싼 로봇 수술 하겟다는 시부모들은 염치가 없다고 생각합니다
    요즘같이 힘든 세상이라면요 ㅠ
    욕해도 할수 없습니다
    보태줘도 힘든 세상입니다

  • 25. akadl
    '25.9.26 4:17 PM (210.180.xxx.253)

    지각 있는 부모들은 자식 고생할까봐 암이여도 말 안하는 부모님들도 계시던데요
    그렇게 까지야는 아니지만 다들 형편이 고만고만한데 염치와 경우 있는 사람이어야 한다고 봅니다 그게 자식이던 부모던,,친구던 말입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766389 [단독] 120억 스캠 총책 풀어준 캄보디아 대사관 녹취 입수... 개판이네요 12:37:42 30
1766388 때때로 심술 12:35:46 29
1766387 국민연금 문의 3 초보 12:33:52 87
1766386 언니 사무실 이사하는데 12:32:48 53
1766385 택배를 잘못 받았는데 어떻게 해야 하죠? ㅠㅠ .. 12:31:38 103
1766384 국을 걸쭉하게 하려면? 1 ... 12:29:32 59
1766383 임성근 “하나님 사랑으로 비번 기억났다” 4 ㅋㅋㅋ 12:28:40 296
1766382 농지 근처 학교 농약 문제 괜찮을까요? 1 .. 12:25:20 63
1766381 딸과 함께 해외여행간 엄마의 말투를 들어보니 1 ... 12:24:30 344
1766380 김나영 결혼식 4 ㅇㅇ 12:24:01 641
1766379 선물이 매번 고맙지는 않아요 5 선물 12:17:52 598
1766378 사춘기 자녀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만한 책 있을까요? ... 12:12:10 83
1766377 더쿠에 올라온 해외취업 사기 경험담 -라오스 링크 수정 3 ㅇㅇ 12:11:59 447
1766376 프린터 고장났는데 추천부탁드립니다^^ 5 프린터 12:11:39 114
1766375 사미헌 갈비탕 톡딜 1kg 5개 40500원 링크입니다 2 에버 12:08:36 447
1766374 국민 10명 중 6명, 김현지 국감 출석해야 23 ... 12:08:07 309
1766373 마음이 있는데 가만히 있을 수 있나요? 4 가을 12:06:43 298
1766372 반원초 옆 잠원동 5개단지 통합재건축 된다면.. 2 ... 12:06:16 245
1766371 120억 스캠 총책 풀어준 캄보디아 대사관 녹취 입수...&qu.. 3 어질어질 12:05:41 385
1766370 장기 임대아파트 공급늘려 결혼 출산 하는 가정에 지원 해줘야. 6 ........ 12:05:10 260
1766369 대왕고래 시추 하려나봐요 2 ,,,,, 12:03:56 475
1766368 북리더기 tts 가능한 모델 있을까요 ㅇㅇ 12:03:24 48
1766367 뿌염 너무 비싸요 14 한달에한번 11:59:11 997
1766366 안 읽혀지는 책들이 있어요 10 ,,, 11:54:43 569
1766365 부동산 이상경아, 남 시켜서 사과하지말고 책임지고 사퇴해 9 zzz 11:54:30 3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