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Banner

똘똘한 한채랑 서민이 상관 있나요?

.. 조회수 : 1,158
작성일 : 2025-09-25 10:27:59

서민들은 자기사는 동네에서 감당가능한 가격에 살 집 한칸이 필요한거고.

똘똘한 한채는 최소 그 동네 대장이거나 일반적으로는 강남 서초 용산 마포 송파 이정도 지칭 아닌지요?

 

유튜브 부동산 채널의 어느 댓글에 자기 20억집 사는데 불안하다며 자긴 똘똘한 한채로 서민 죽이냐 해서요.

 

 

ㅡㅡㅡㅡㅡ

20억집 가지신분이 서민은 아닌것 같아서요.

 

그리고 부자들은 당연히 자기들 급맞는 부자들끼리 살고싶어하고 가격으로 경계가 쳐지길 원하잖아요.

어중간한 분들이 그걸 못받아들이는거 아닐까요?

 

저는 압구정 강남 서초같은 동네는 진입 가능성이 없어서부동산에 똘똘한 한채 외치며 화내는 댓글들이 잘 이해가 안돼요.

 

그리고 정부가 챙겨야할 서민의 범주에

주택 20억 가지신 분은 포함되지 않는것 같아요.

 

IP : 115.143.xxx.157
16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ㅇㅇ
    '25.9.25 10:32 AM (118.235.xxx.39)

    단체지령. 또 시작이네요

    똘똘한 1채는 천룡인만 가능하니 쳐다보지마라

    이재명 강남100억발언이후 태세전환들 웃겨요

  • 2. ㅇㅇ
    '25.9.25 10:33 AM (211.222.xxx.211)

    고기맛도 먹어 본 놈이 안다고
    님이 돈을 많이 만져보지 못해서 그래요.
    자본주의에서 자기 수준에서 만족하고 살아라가 되나요.
    인간의 욕망을 무시할 수 없는게
    집값 그렇게 올려놔서 문통이 정권 넘겨줬잖아요.

  • 3. ..
    '25.9.25 10:38 AM (115.143.xxx.157)

    돈을 이미 만져본 분들, 집에 20억 이상 있는분들이
    강남 서초 못들어가서 댓글에 욕 난리인거면
    나머지 대다수 국민들은 별로 공감이 안돼는게 당연하죠..

  • 4. ..
    '25.9.25 10:39 AM (115.143.xxx.157)

    그리고 강남,서초 거주하는 부자들은
    당연히 그 이하 재산규모 분들이
    잡스럽게 섞여 들어오는거 안좋아하죠.

  • 5. ...
    '25.9.25 10:40 AM (210.117.xxx.164)

    다들 강남 똘똘한 한채를 선호하면, 지방과 강남의 집값격차는 더 벌어지고, 지나친 양극화는 좋은 게 아니죠.
    우리나라 국민들은 내가 못가지면 남도 못가지게 끌어내리는 성향이 있어요. 사돈이 논을 사면 배가 아파서요.

    다들 직장이 강남도 아니면서 강남집을 원하죠.

  • 6. ..
    '25.9.25 10:41 AM (115.143.xxx.157)

    정부가 뭘안해도 최상급지 가격은 계속 올라서 경계쳐지게 돼있지 않나요?

    부자동네 선이 가격으로 정해지는거니까..
    20억들고 대출 풀로당겨 들어오는거 불가능할정도로 가격을 올리겠죠

  • 7. 지령은무슨
    '25.9.25 10:41 AM (58.29.xxx.96)

    1억도 없는데 똘똘한 한채는 투기꾼들이나 부동산여러채있는 사람에게만 해당

    니들끼리 잘싸워봐라
    우리는 구경이나 할께

  • 8. 그러니까
    '25.9.25 10:46 AM (59.7.xxx.113)

    원글님 생각에는 어차피 고가 아파트는 현재 서민이 살 수었는 그들만의 세상이므로 고가 아파트가 똘똘한 한채 정책으로 계속 가격이 올라가도 서민의 삶에는 관계가 없다는 거잖아요.

    이게 어떤 문제가 있냐면요 30억짜리 아파트와 30억짜리 자동차는 서민이 진입할 수 없다는 점에서는 똑같아요.

    그런데 집은 자산이고 자동차는 소비재라는 데서 큰 차이가 발생해요.

    아무리 비싼 소비재도 시간이 지나면 값이 내려가는데 자산은 가격이 계속 올라가지요.

    자산은 대출의 담보가 됩니다. 즉 고가 아파트는 많은 현금을 뽑아낼 수 있는 발판이 되지요.

    고가 아파트 보유자는 집안에서 밥먹고 잠자는 것만 했는데 매년 돈이 늘어나지요. 그 돈은 어디로 갈까요? 또다른 투자를 해서 소득을 더 올리거나 소비를 하는데 이들의 소비는 경기가 좋아지는데 기여하는 소비가 아니예요.

    해외여행을 가고 명품을 사고 외제차를 사거든요.

    대기업 회장님은 자녀가 생기면 작은 회사를 만들어서 자녀에게 물려주지요.

    고가 아파트 보유자는 자녀가 생기면 작은 아파트를 사서 자녀에게 물려주겠지요.

    그렇게 재벌이 만들어지듯 그렇게 부동산 부자 일가가 만들어집니다.

    그러면 세대를 거듭할수록 부동산 부자 일가가 보유한 집의 갯수나 부동산 자산가치는 폭증하겠지요?

    그럼 나중에는 그 부동산을 보유하지 못한 사람들은 세입자가 됩니다. 취직해서 먹고 살기 위해 비싼 주거비를 지불해야 하죠.

    정리하면.. 특정 고가 아파트 가격만 계속 오르면 늘어난 돈이 가만히 있는게 아니라 여기저기 돌아다닌다는 겁니다.

    M2가 늘어나니 집값은 계속 오를거다.. 이 논리가 먹히게 되는 것이죠

  • 9. ..
    '25.9.25 10:54 AM (106.102.xxx.3)

    그래서 특정 고가 아파트 소유자들은 재산세를 엄청 물잖아요.

    부자들은 세금 내면서 서민들하고는 구분돼게 살고싶어 하고요.

    서민은 그동네 집입해도 어차피 세금 감당도 못해요.

  • 10.
    '25.9.25 11:07 AM (125.178.xxx.88)

    20억도 요샌 서민입니다 서울집값 평균에 수렴합니다 점점 그가격은 오르겠죠 가만히있다간 서민아니고 하층민되는데
    나랑 상관없는일입니까?

  • 11. ..
    '25.9.25 11:09 AM (106.102.xxx.3)

    윗님 20억이 서민이라니..
    거기서부터 별로 공감이 안돼네요

  • 12. ..
    '25.9.25 11:10 AM (106.102.xxx.3)

    서민 코스프레중이시겠죠..

  • 13. ㅇㅇ
    '25.9.25 11:37 AM (106.102.xxx.32)

    똘똘한 한채 여파에 영향이 있죠. 비싼 집 한채로 투자가 정리되니까 전월세 매물이 줄고, 금리 낮으니까 전세는 더 줄고.
    전월세 예산에 맞는게 없으면 싼집이라도 사야하잖아요. 근데 싼집도 남아나지를 않으니..

  • 14. ....
    '25.9.25 11:50 AM (223.38.xxx.155) - 삭제된댓글

    강에 물이 넘치면 개울도랑 물도 넘쳐요.
    가붕개씨.

  • 15. ㅋㅋㅋㅋ
    '25.9.25 12:38 PM (211.241.xxx.251)

    윗분 센스넘쳐요

    가붕개들이 알아들을지 모르겠지만

  • 16. ..
    '25.9.25 1:48 PM (115.143.xxx.157)

    가붕개버리며 서민코스프레 그만..
    먹고 살만한 분들이 아주 나라 말아 먹는중..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765977 만삭 낙태는 충격이네요;; 15 .... 00:50:14 562
1765976 1초 시력검사 1 ........ 00:46:10 217
1765975 소스라치게 놀라 꿈에서 깨보적 있으신가요? 3 트라이 00:40:35 178
1765974 명언 - 혼자 있으면 괴로움은 더욱 깊어진다 4 ♧♧♧ 00:25:12 544
1765973 길고양이 집 만드는 팁 부탁드려요 4 깅고양애 00:25:04 129
1765972 요즘 반복적으로 꾸는 같은 내용의 꿈이 있어요 4 꿈의 분석 00:22:23 271
1765971 생에 첫 약밥 총 3.4킬로 생산했어요 7 하루종일 00:19:46 390
1765970 정경심이 위조했다던 동양대 표창장, 진범이 따로 있었다 3 ... 00:15:42 1,124
1765969 이혼소리 자주 하는 시댁 정상인가요? 3 집안 00:05:30 685
1765968 통역 일 하러 캄보디아 간 여성"성인방송 강요하며 감금.. 9 ㅇㅇ 2025/10/20 1,742
1765967 남편의 예술사랑 23 어휴 2025/10/20 1,242
1765966 저는 낙태권 찬성하는데 만삭낙태요??? 6 넝쿨 2025/10/20 602
1765965 하도 답답해서 ㆍㆍㆍ 2025/10/20 274
1765964 윈터스쿨 하면 기존에 다니는 학원은? 1 학부모 2025/10/20 201
1765963 내솥이 올스텐인 밥솥 밥맛 어떤가요 20 ㅡㅡ 2025/10/20 1,196
1765962 다들 가슴에 비는 내리는거죠? 7 남들도 그럴.. 2025/10/20 1,707
1765961 일본에서 처방약 들고들어올때 궁금 2025/10/20 142
1765960 내일은 겨울코트 입어야 할까요? 3 ㅇㅇ 2025/10/20 1,313
1765959 동남아쪽으로 제일 안전한 나라 어디일까요 9 ㅇㅇ 2025/10/20 1,263
1765958 중1 아들 논술책 읽고 폭풍 눈물 흘렸어요 18 .. 2025/10/20 1,948
1765957 주가조작 수사 대통령실 수사 보고 자백(?)한 주진우 000 2025/10/20 457
1765956 떡만두국에 고추가루 뿌려먹는 사람???? 4 얼탱 2025/10/20 323
1765955 훔쳐간 왜놈에게 소유권이 있다고 한 판결-펌 6 루브르 박물.. 2025/10/20 586
1765954 남편이 냥이에게 폭로 중예요 14 아줌마 2025/10/20 2,684
1765953 [단독]대법관2명,'李상고심'35일중 13일간 해외출장.보충의견.. 15 ... 2025/10/20 1,2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