형제 애들이 인서울 학교(고려대와 상명대) 가는데,
각자 학교 기숙사가 나을까요?
두학교 중간 2-30분 걸리는 투룸?(정릉 또는 돈암)을 구하는게 나을까요?
한학기 기숙사비해서 합하면 한달 총 70만원은 나가는 거 같네요.
투룸은 비용 더 들겠죠?
형제 애들이 인서울 학교(고려대와 상명대) 가는데,
각자 학교 기숙사가 나을까요?
두학교 중간 2-30분 걸리는 투룸?(정릉 또는 돈암)을 구하는게 나을까요?
한학기 기숙사비해서 합하면 한달 총 70만원은 나가는 거 같네요.
투룸은 비용 더 들겠죠?
형제가 집하나 구해서 같이 사는게 낫죠
기숙사도 2인실이나 3인실이면 남과 한방 같이 쓰는거니
내형제와 같이 사는게 나을거 같은데요
각각 학교기숙사 추천합니다.
월세가 비싸요ㅠ
거기에 월관리비랑 각각 교통비 추가로 들어야하잖아요.
같은학교라면 방얻어줘도괜찮을듯.
위치가 멀면 기숙사가 편할거같아요
합격하고 고민을...
그런가요? 둘이서 방은 개판일것 같고 서로 그런걸로
의 상할까 걱정도 되고요.
투룸 비용도 걱정이들어서 선뜻 결정을 못하네요
힙격했습니다. 해외있다와서 재외국민전형이라서요.
형제면 투룸이 낫죠.
기숙사가 혼자 생활하는게 아니잖아요. 차라리 형제끼리 지내는게 나을듯.
보내세요.
저희 자매인데 좀 더 바쁜아이 근처지만 사실은 교통이며 여건이 더 좋은곳으로 투룸 얻었어요. 부모가 올라가도 머물곳 있어서 좋고. 둘이 의지하먀 잘 살아요
나아요.
남자들 자취하면 술 마시는 장소 되기 쉬워요.
술 마시다 취해서 자고 가는 장소요.
상명대, 고대생이 정릉이면 친구들이 거기까지 안 갑니다.
학교 앞에서 자취해야 거기서 자고 가죠
금액 감당만 가능하면 정릉쯤에 2룸 얻어주세요
엄마가 한국에 안 계신거 같은데, 엄마 왔을 때 머물곳도 되고 좋죠
대부분의 기숙사는 방학때는 사용할수 없지 않나요?
한국에 집이 없으면 지취하는게 맞겠죠
이범 여름에 한국 들어와서 지방에 살아요.
서울 집 구하기가 만만치않아 내심 걱정인데 투름은
사기 같은거 조심해야 하나요?
경제적인 측면에서는 기숙사가 낫고
아이들이 마음 편히 살기는 집을 따로 얻어주는게 낫지요.
옛날에 아들이 서울대 서강대 다녔어요.
처음에는 각자 기숙사에 살았는데 기숙사도 2인1실이다 보니 자기가 잘 때 상대 학생이 불 켜 놓으면 불편하다고 해서 기숙사 각각 1,2년씩 하다가 투 룸 얻어줬어요.
둘이 있으니까 제 마음이 편하고 좋더군요.
1인1방 쓰니까 자는거 맘대로 하고 저도 가끔 아들 집에 가서 청소도 해주고 나름 그 시절이 그립네요.
5년 전쯤 봉천동에 3000보증금에 월세 75만원에 있었어요.
투룸도 공인중개사 끼고 하면 괜찮지않은지요?
저는 대출 없는집 구했어요.
재외국민 전형이면 1학년 때 대부분 기숙사 가능할 거예요.
학교 생활에도 빨리 적응하고 다양한 경험도 해 볼 수 있도록
1년 정도는 각각 기숙사 생활 해보게 하시고,
그 다음에 투룸 얻어서 자취하게 하세요.
ㄴ 요즘은 월세도 더 올랐겠지요?
지금은 두 아드님 따로 사나요?
저희 미래 같아서 궁금하네요
기숙사 힌학기 아니고 1년씩인가요?
방학 때도 기숙사 신청 가능해요
방학에는 지방집 내려올거 같아요.
한학기만 기숙사해1볼지, 그후
정릉이나 돈암도 투룸 괜칞을까요?
집에 내려갈거면 기숙사로 하셔야죠.
아파트 월세도 괜찮아요.
주차 안되고 지하철역 좀 걸어야되는 투룸은 안비싸요
전세보다는 반전세나 월세로 현임대인이 오래 소유한곳이면
사기일 확률은 낮아요
네, 모두 감사합니다.
잘 참고하겠습니다!
학교 다니는 내내 기숙사에 있지는 못할 거예요
처음 한두 학기 정도는 각자 기숙사에 있게 하고
그동안 서울생활 적응하면서 위치라든지 여러가지 주위에서 보고 듣는게 있을테니 그때 투룸 정도 얻는것도 괜찮아요
둘이 투룸에 있어요
각자 원룸 구하다가
중간에 거실투룸으로 급하게 구했는데
애들이 만족해요
의지 되고 집에와 얘기 할 사람도 있다고
ㄴ 네 댓글 감사합니다. 참고하여 잘 결절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