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제로 유럽에서 6여년 살았답니다. 물론 나라마다 환경 등이 다르니 그건 인정하는데요,
한가지 유러피언들이 친환경적인 것은 확실해요. 그리고 작은 물건도 소중히 여겨요..쇼핑도 아마 덜하겠지요? 놀이터에서 아이의 장갑 한 짝이 떨어져 있으면 누가 털어가지고 어디다 잘 꽂아 둡니다. 찾아가라고...
ㄱ리고 삶의 속도가 우리 나라의 0.7배속 쯤 ?? ㅋㅋ 되는 듯요...
마트에서 장을 거의 매일 보는 게 그들의 습관이에요. 냉장고가 작으니까,..거기선 삼성 양문형 냉장고가 매장에서 한화 400만원정도 하더라구요...당연히 온라인 배송 많이는 안 하니까 포장재 이런 거 발생이 적지요. 장바구니 필수여서 장바구니에 담아 옵니다.
유럽에 에어컨 설치는 호텔이나 관공서에 있고 개인집은 많이는 없어요..아직까지는
거기는 아마 지금 우리나라 처럼 더우면 다들 호숫가 가서 수영하고 있을 거에요... 마트 상품 포장재도 우리나라에 비해서 기술력이 떨어지는지 가끔 물건이 새기도 하고 그래요..
그리고 일단 차들이 작아요. 그러니까 휘발유가 적게 들겠지요? 차 가지고 과시하려고 하고 그런 부분은 덜한 거 같아요..보여지는 부분을 덜 중요시하고 대신 취미활동, 자전거, 하이킹, 낚시, 스키, 바이크 등, 몇 개의 언어를 하는지 중요시하고.,,런닝 등 운동을 죽을 둥 살둥 열심히 해요...
아직도 대중 교통에서 종이책 읽는 사람들 많고, .
그들의 자전거 사랑은 정말 못말려요..비오는 그 궂은 날씨에도 어떻게든 자전거로 출퇴근하는 사람들...차보다 더 빨라요..35도 폭염이 지속될 때도 자전거 타는 사람들 꽤 있어요..
실제로 second hand shop(재활용품)이 동네에 친근하게 있어서 자주 들러서 필요한 건 사고 기부도 많이 하고 하는 구조랍니다.세컨 핸드 샵에서 진짜루 별걸 다 팔아요...우리도 아름다운 가게 등 세컨핸드샵이 더 많이 활성화 되어야 할 것 같아요..인식부터가 달라질 필요도 있구요..
일단 퇴직후에 연급이 안정적이니 아둥바둥 살진 않는 것 같더라구요..그냥 내 살림 소중하고 요리 해 먹는 거 중요하고, 옷도 평상시에는 무채색으로 정말 헌옷 같은 옷들 많이 입고,,,덕분에 저두 거기 있을 때 덜 꾸미고 덜 씻고 ㅋㅋ 편하게 살았어요..파티나 정장 입어야 하는 날은 잘 차려 입어요...그래도 한국 사람들 수준으로 보면 한국 사람들 평상복,, 그니까 우리 나람 사람들이 얼마나 잘 차려 입고 사는지
그리고 온라인 쇼핑도 많이 하지만 우리 나라 같이 아이스팩에 주렁주렁 아이스박스로 포장되진 않고 주로 종이로 간소하게 한겹 포장하는 것 같아요..
더위에 염려가 되어 주저리 써 봅니다.
물건을 한번 사서 오래쓰는 습관 , 더 친환경적인 라이프 스타일이 굳어지면 좋겠어요
아,, 분리 수거는 우리 나라가 탑인 거 아시죠...비닐 봉지까지 재활용으로 구분하는 건 정말 인정인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