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끔 지하철을 이용할때 일반석에 자리가 없으면
제가 경로석 앉을 나이는 아니어서 그냥 서 있어요.
그럴때 경로석은 1-2 좌석 비어 있을 때가 있죠.
그때 누가봐도 노인인 분이 지하철을 탑니다.
비어있는 경로석은 보지도 않고 일반석으로 직진해서 앉아있는 청년앞에 서있어요. 그러면 청년이 자리를 양보해줍니다.
이런 경우를 꽤 많이 봐요.
저 같으면 경로석에 앗싸~! 하고 앉을 것 같은데
굳이 비어있는 경로석 마다하고 일반석 자리 양보를 받는 이유는 대체 뭘까... 궁금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