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우리나라 내수가 망해가는 이유 

조회수 : 6,387
작성일 : 2025-07-24 01:00:33

국가 - 비금융자산, 금융자산

 

한국 - 75.1%, 24.9%
미국 - 34.4%, 65.6%
일본 - 39.1%. 60.9%
독일 - 49.7%, 50.3%


한국 가계는 자산의 75%를 부동산에 집중하고 있으며 금융자산 비중은 25%에 불과하다. 
미국 (68%)이나 일본(63%)의 금융자산 비중과 비교 하면 한국은 자산의 유동성과 분산 측면에서 매우 취약한 구조다. 
특히 부동산은 금융자산처럼 자산 가치 상승이 소비로 이어지는 '부의 효과'가 제한 적이다.

 

돈 생기면 그거 모아서 부동산 구매하고, 돈 없어도 대출받아서 부동산 구매하고, 계속 집값 올려서 청년들 결혼 포기하고,
돈이 부동산에 묶여 있어서 돈이 안 도니 내수시장이 계속 망해가는 중...

 

-- 빨리 분산시켜야죠. 
안그래도 인구급감에 노인들만 느는데 나라 전체가 불행해질거에요.

IP : 118.235.xxx.144
21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부동산편중은
    '25.7.24 1:04 AM (59.7.xxx.113)

    늘 있어왔어요. 그리고 집값이 오르면 부의 효과가 있어야 하잖아요. 자산가치가 상승했으니까요.

    근데 과거와 달리 지금 유독 내수가 바닥이고 자산가치 샹승해도 부의 효과를 누리기는 커녕 더 쪼들린다는건..

    과거와는 다른 이유가 있는거죠.

    예를 들어 식당의 경우.. 동네 식당은 이제 비닐봉지째 마트에서 파는 반조리식품과 경쟁하고 있죠. 음식을 제대로 배워서 맛을 내는게 아니라 자영업자들 전용 식자재마트에서 사다가 그냥 가열만하고 파는 거예요.

    그밖의 물건들은 온라인이 장악했고요. 또 돈 좀 있다 싶으면 해외여행하고 해외물건을 사려고 하죠. 돈 좀 벌면 외제차 사지 국산차 안사는 것처럼요.

  • 2. ....
    '25.7.24 1:17 AM (76.33.xxx.38)

    부동산에 잠긴 돈은 진짜 돈이 아니죠.
    인플레가 심한 것도 아닌데요.

  • 3. 2,872만...
    '25.7.24 1:19 AM (110.10.xxx.120)

    https://www.travie.com/news/articleView.html?idxno=53753

    2024년 해외여행 간 한국인, 도대체 몇 명?
    법무부가 집계한 내외국인 출입국 통계월보에 따르면, 2024년 내국인 출국자수는 2,872만773명이다.

    지난해 한국인이 가장 많이 방문한 해외 국가는 단연 ‘일본’이다. 법무부가 대한민국에서 출발하는 항공기의 최초 도착지를 기준으로 산출한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일본을 방문한 한국인수는 전년대비 25.3% 증가한 860만1,784명으로 집계됐다.

  • 4. 세계1등같아요
    '25.7.24 1:26 AM (223.38.xxx.61)

    인구수 대비 해외여행 가장 많이 가는 나라로
    한국이 세계 1등 같아요

  • 5. 놀라운사실
    '25.7.24 2:41 AM (223.38.xxx.166)

    일본 항공권 값이 제주도 항공값보다 더 비싸지 않아요. 같던지 더 싸거든요. 심지어 물가도 싸서 같은 여행 기간 동안 일본 여행이 더 싸게 먹힙니다.
    그래서 일본 여행을 많이 가는 거예요.

  • 6. 혹은
    '25.7.24 2:43 AM (223.38.xxx.166)

    여수 같은 여행지가 KTX로 5만원 조금 안되는데 오사카 항공권은 이보다 더 싼 경우가 많아요.
    이런데도 일본 안 가고 국내를 갈 이유가 없죠.

  • 7. 집값
    '25.7.24 3:03 AM (123.212.xxx.106)

    정말 미쳤죠
    순자산 상위 10%가 10억정도인데 집값이 말도 안되는거 같아요
    그게 전부 빚으로 올린 모래성같아요

  • 8. ㄱㄴㄷ
    '25.7.24 3:03 AM (209.131.xxx.163)

    가격이 싸거나 비슷하면 일본 가는게 맞다는 걸 당연한듯 말씀들 하시네요. 한두번은 가능..계속 간다는건 걍 뱅기타고 해외여행 맛들인게 큰거 아닌가요?
    저도 원글님 생각에 동의해요.
    미국 같은 경우 특별한 곳 아니면 집값이 비싸봤자예요. 그러니 집값보다 금융자산에 더 주목하고 포션이 많아지는 것 같아요.
    우린 좁은 토지 것도 서울 수도권에 몰리니 이런 상황이 계속되는 거구요.
    저도 앞으로는 금융쪽으로 더 눈을 돌려보려고 합니다. 부동산 늘릴수록 세금만 많아지고 관리하는 것도 피곤해지네요 나이가 드니.

  • 9. 해외여행
    '25.7.24 3:10 AM (223.38.xxx.155)

    잘가고 해외쇼핑도 많이 한다잖아요
    전체 해외여행객수가 놀랍네요

  • 10. 그러니까
    '25.7.24 3:16 AM (223.38.xxx.120)

    옛날 같으면 휴가철에 제주나 여수 갔을 사람들이 이제 제주나 여수 갈 바에는 더 싸거나 가격도 비슷한 일본으로 간다는 걸 이해하시라는 거예요.
    여수가는 KTX 비용보다 일본 오사카 가는 항공권이 더 싼데 두뇌가 있으면 누가 여수가 나요. 비행기 타고 오사카 가지.

  • 11. ..
    '25.7.24 3:42 AM (125.185.xxx.26)

    1가구 2주택 부터는 보유세 때려야할듯
    단 시골이나 지방집은 예외

  • 12. 지방은 왜 빼요
    '25.7.24 5:47 AM (123.212.xxx.106)

    지방도 지가 서울도 아니면서 10억 넘는데 많습니다

  • 13. ㅡㅡ
    '25.7.24 6:15 AM (125.185.xxx.27)

    대주주양도세 대상이 10억인데..주식시장이 조아지겠어요..
    이잼 참 ..
    친족까지 합쳐 그종목이 수익나서 10억이상 되면 세금때리는데..큰돈 들어오겠냐고요.

    미국처럼 손익통산 양도세 때리든가.
    손해본건 생각도 안해주고

  • 14. 여행
    '25.7.24 6:34 AM (61.83.xxx.51)

    도심에서 달복달복 부대끼며 살아서 그런듯요. 국가 균형발전해서 인구밀도고 전국 고루 분포되면 좋겠네요. 사람들이 땅떵어리가 좁으니 뭔가 해방구를 찾아 뛰쳐나가는건 아닌지
    그리고 사람들 의식구조도 해외여행을 다녀와야 좀 잘살고 뭐라도 의미있는것 같고. 여행한번 못가면 찌질한 인생같고 하는 생각이 자리 잡은것 같아요. 빚내서까지 여행가잖아요.
    진심 잘 사는 인생이 뭔지에 대한 사유를 할 새도 없이 치이며 살아서 그런지. 각자 가치관대로가 아닌 획일적으로 해외여행 좀 다니고 외제차 타고 강남에 집있고 뭐 이란 삶을 행복한 삶으로 규정해버린듯요. 그래서 모두가 맞출 수 없으니 불행하고 다 치이고.

  • 15. ....
    '25.7.24 6:46 AM (112.152.xxx.61)

    해외여행 가는걸 욕하면 안될거 같아요.
    전 해외여행 한번도 안가보고 국내만 다니는데요.
    숙박비 터무니없이 비싸고 볼것 없고 특색 없어요.

    기왕 가는거 중국이든, 일본이든, 태국이든 같은 돈, 같은 시간이면 외국가서 이색적인 경험도 하고 견문도 넓히고 좋죠.

  • 16. 주가조작
    '25.7.24 6:59 AM (140.248.xxx.4)

    경제사범 미국은 최고 사형이죠
    우리나라는 조작해도 솜방망이라....... 사기꾼이 성행...
    심지어 전대통령 관계자도 주가조작..... 망조죠.

  • 17. ...
    '25.7.24 7:02 AM (1.237.xxx.240)

    깔고 앉은 돈 쓸수도 없고
    지금 사야 하는 사람들은 더 많은 대출을 받아야 하니 허리띠 더 졸라매야 하고...
    내수가 망할수 밖에요
    부동산 폭락시키지 않으면 이나라 답 없어요

  • 18. ...
    '25.7.24 8:45 AM (39.125.xxx.94)

    분수에 안 맞는 명품이나 외제차 소비는 비난해도
    해외여행 많이 간다고 비난하긴 어려울 것 같아요

    우리나라 면적 작은 섬이나 마찬가지잖아요
    국내 돌고 나면 갈 데도 없고

    미국처럼 땅덩이 넓으면 해외갈 필요성 별로 못 느끼겠죠

    유럽도 이웃나라 많이 갈텐데
    걔네들은 해외여행이라 생각도 안 할듯.

  • 19. 과시욕도...
    '25.7.24 9:15 AM (223.38.xxx.201)

    젊은이들 인스타 영향도 있을 듯요
    요즘은 과시욕도 영향 있구요
    전체 여행객들중 일본만 가나요
    나머지 나라들 가는 숫자들 후덜덜...
    해외가서 쇼핑들도 많이 한다니까
    당연히 내수에 영향 주겠죠

  • 20. 비난하자는게
    '25.7.24 10:20 AM (59.7.xxx.113)

    아니라, 사람들의 소비행태가 달라졌다는 거지요. 그리고 주식시장의 경우고.. 전에 어떤 애널리스트가 그러더군요. 우리나라는 히트상품이 나오면 그게 오래 가야 1년 반이래요. 왜냐면 그때 지나면 반드시 카피가 나온대요.

    그러니 장기적인 투자가 어렵다고요. 또 수출중심 국가라사 세계경기의 영향에 따라 흔들리는데 이제는 제조업을 다른나라에게 빼앗기고 있고.. 아무래도 나라 국격이 올라가니 제조업하기가 점점 어려워질거고요.

    지방경제는 지방의 대형설비 공장의 근로자들로 이뤄질텐데 철강 석유화학 고생하고 있잖아요.

    군산 가봤는데 GM 군산공장 문닫았을때였는데 정말 을씨년스러웠어요.

    그리고 우리나라도 중후장대에서 소프트한 문화컨텐츠나 AI쪽으로 가려고 할텐데 이건 근로자의 수도권 집중을 더더욱 부추기겠죠.

  • 21. 비난하자는게
    '25.7.24 10:23 AM (59.7.xxx.113)

    이말은 지방을 살리자고 말은 하는데 나라 경영방향은 수도권 집중을 가속화시킬 수 있고.. 또 용인경전철 사업 일을 봐도 지방은 점점 인구가 줄어드니 인프라 투자대비 기대 효익이 낮을거라 앞으로 지방 인프라 투자가 주춤해진다면 지방경제는 더 어려울 수 있겠죠.

    그러니까 우리는 동시에 해결하기 어려운 두가지 숙제를 모두 갖고있는 셈인거죠.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741420 혼자 사는 부모님이 같이 살자 하시면.. 18 . . . .. 2025/08/01 6,032
1741419 시부모한테 하고 싶은 말 하니 속편하네요 3 :) 2025/08/01 2,851
1741418 믹서기 1인분 주스용으로 쓸거면 2~3인분용 크기는 너무 클까요.. 2 . 2025/08/01 689
1741417 어느 대학 축제 영상이라고 봤는데 2 .. 2025/08/01 3,055
1741416 주식)왓따. 뭔 돈이 그리 많은지 3 .. 2025/08/01 3,521
1741415 엄청나게 증가하고 있다는 직업 6 ........ 2025/08/01 7,364
1741414 10시 김어준의 다스뵈이다 ㅡ조국사면과 도덕강박증, 김건희 거짓.. 6 같이봅시다 .. 2025/08/01 1,567
1741413 거룩한밤을 보니 1 마동석 2025/08/01 899
1741412 남편이 저에게 섭섭하대요 4 인생 2025/08/01 4,089
1741411 묘성장군 광고하는 오미베리 주소 좀 알려주세요 3 새벽2 2025/08/01 1,338
1741410 복숭아 옥수수 다 맛없으니 속상해요 11 2025/08/01 3,152
1741409 윤석열 빤스사건 걍 웃기기만 하네요 13 ㄱㄴㄷ 2025/08/01 3,601
1741408 저작권 없는 책이 뭐가 있을까요. 3 .. 2025/08/01 1,105
1741407 한화 장남 김동관 부인이요 39 ㅇㅇ 2025/08/01 17,613
1741406 덜 단 시판 떡볶이는? 3 ㅇㅇ 2025/08/01 1,519
1741405 대통령실 "코스피 급락, 세제 개편 보도 후 이뤄졌다고.. 17 ... 2025/08/01 4,183
1741404 저질 빤스내란정당, 5 ........ 2025/08/01 835
1741403 미세먼지 많이 안좋은 줄 모르고 빨래 널었는데ㅠ 1 코롱이 2025/08/01 1,318
1741402 젖먹이 어미고양이 사료그릇이 다 치워져있네요ㅠ 14 suay 2025/08/01 1,975
1741401 양동근, 손현보 목사 행사 참석…온라인 반응 엇갈려 19 123 2025/08/01 4,838
1741400 60대가 고등학교 입학한 사건 7 00 2025/08/01 2,962
1741399 그릇하나만 찿아주세요 3 그릇 2025/08/01 1,080
1741398 시어머니는 싫다는 말씀을 못하셔요 36 우리 2025/08/01 5,107
1741397 고3이면 이대 안 높은거 알아요 24 2025/08/01 4,172
1741396 늘보리로 밥 지을 때 물 양 좀 알려주세요. 2 ㅇㅇ 2025/08/01 5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