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국내대학 이공계 석박과정 부모지원 없이 가능할까요

... 조회수 : 1,528
작성일 : 2025-07-22 15:32:38

이공계 대학원은

연구비로 얼마씩 나온다고 듣기는 했는데요

스카이 자대에서 석박 할 경우

대략 어느정도 받을까요?

집이 지방이라 주거비 용돈 따로 들어요.

연구비로 학비 정도 충당될지...

그럼 용돈이랑 월세는 부모 도움 필요하겠지요?

아니면 학비도 부족할까요?

 

남편 곧 은퇴에요.

결혼할때 해주려고 조금 모아둔게 있는데

이걸로 대학원 석박 지원 해줘야할지

아님 알아서 해라 해야하는지 결정을 못하고 있습니다.

IP : 219.255.xxx.142
18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귀염뚱이
    '25.7.22 3:38 PM (112.169.xxx.195)

    학비하고 용돈은 커버되요
    집세와 생활비는 좀 도와주셔야 할듯
    스카이 공대 대학원 다녀요

  • 2. ...
    '25.7.22 3:38 PM (110.14.xxx.2)

    저희 아이나 아이 동기들 보면 등록금과 기본 용돈 정도는 해결되는 것 같아요. 외부 장학금으로 등록금 해결되는 학생들은 용돈정도 아닌 학생들은 180에서 200정도 받고 있대요. 그 돈에서 등록금 내야해서 고민하는 친구들 있다고 해요. 생활비 대출 받는 친구들도 있는데 이율이 엄청 낮아서 일부러 받는 애들도 있고요.
    돈 벌어서 집에 보태야 하는 상황 아니면 크게 걱정할 이유는 없어 보여요.

  • 3. ...
    '25.7.22 3:40 PM (221.151.xxx.133)

    이공계 석사과정은 실제로는 최저임금도 못 받고 일하는 노동자 같아요. 서울대는 모르겠지만 연고대난 서성한의 경우는 대략 한달에 180만원에서 230만원 정도 받던데요. ( 애 둘을 이공계 석사를 시켜서 알게되었어요.) 하루 근무 시간은 최소 12시간이에요. 물론 방학따위는 없고요. 전 문과 석사를 했는데 너무 다른 문화였어요.
    질문에 답을 드리면 학비와 최소한의 용돈은 나옵니다.

  • 4.
    '25.7.22 3:41 PM (219.241.xxx.152)

    하루근무를 최소 12시각이라구요?

  • 5. 주니
    '25.7.22 3:41 PM (14.50.xxx.185)

    저는 학비는 제가 대주고 가끔 용돈도 보내주곤 해요. 그나저나 석사논문 어려워하네요...

  • 6. ...
    '25.7.22 3:43 PM (118.36.xxx.122)

    랩 마다 금액은 좀 다르지만
    혼자 살기엔 딱 굶지 않을정도는 나오는것 같아요
    모자르면 인턴하거나 알바하기도 하구요

  • 7. 그냥
    '25.7.22 3:45 PM (110.70.xxx.195)

    기숙사 살고 과외하고

  • 8. 자대로
    '25.7.22 3:50 PM (14.51.xxx.134)

    갈 경우 거의 무료에 가까울걸요
    이건 입학전 교수님하고 얘기하기 나름이고요
    인건비는 지급 상한선이 석사경우 220만원인걸로
    알고 있어요 이것도 교수님하고...
    용돈 정도는 인건비로 해결되지 않을까 싶은데
    기숙사 들어가도 되고요 용돈 모자라면 한국장학재단에서 생활비 대출도 가능해요
    이공계면 빠듯하긴해도 못다니지 않아요

  • 9. ....
    '25.7.22 3:51 PM (221.151.xxx.133)

    네, 큰애는 딱 12시간 근무했고요. 지금은 대기업 연구소에 취직해서 워라벨 누리는 중인데, 작은애는 월 ~토 9시부터 23시까지 어떤 때는 24시까지 일해요. 랩이 워낙 빡세고 교수님도 열심히 하는 분이라 체념하고 다니네요.

  • 10. 석박사
    '25.7.22 3:53 PM (116.36.xxx.235) - 삭제된댓글

    연구실 따라 달라요

    우리 아이 경우 180_220 사이.
    연말 보너스 있구요.
    과제 많으면 한달치 급여정도?
    학비까지 지원해 줘요.

    근무는 안바쁠때는 8시간 근무.
    바쁠때는 뭐 퇴근도 없구요
    박사급 강의들어가면 그건 별도구요.
    박사급 들어가면

  • 11. 석박사중
    '25.7.22 3:55 PM (116.36.xxx.235)

    연구실 따라 달라요

    우리 아이 경우 180_220 사이.
    연말 보너스 있구요.
    과제 많으면 한달치 급여정도?
    학비까지 지원해 줘요.
    박사급 강의들어가면 그건 별도구요

    근무는 안바쁠때는 8시간 근무.
    바쁠때는 뭐 퇴근도 없구요
    .

  • 12. ...
    '25.7.22 4:03 PM (112.151.xxx.19)

    이런건 랩실마다 교수마다 다르기 때문에 자녀분하고 직접 대면하고 물어보세요.
    가장 중요한 부분인데 여기다 물어봤다 낭패일수도 있어요.

  • 13. Oo
    '25.7.22 4:23 PM (220.255.xxx.83)

    교수 평판 꼭 확인하라고 하세요. 주지도 않은 급여 줬다고 삥땅치는 교수가 있지를 않나 부려먹는 교수들 많아요. 얼마전에도 뉴스에 났더만요. 교수 노모 칠순인지 팔순잔치도 거들어야 했다고...

  • 14. ..
    '25.7.22 4:35 PM (220.118.xxx.37)

    우리가 학생일 때처럼 못사는 나라도 아니고, 아직도 학비와 용돈정도 커버해주나요. 생활비도 줘야죠. 우리가 학생인 시절 미국에 유학 가면 이공계는 당연히 학비,용돈,생활비 커버였고, 지금도 그렇습니다. 그때와 비교하여 우리나라가 얼마나 잘 살게 되었는데, 이공계 살린다면서 아직도 그 수준. 베트남도 아니고 정말 너무한다, 너무해..

  • 15. 원글맘
    '25.7.22 4:38 PM (219.255.xxx.142)

    월 200전후 나오면 학비랑 본인 밥값 정도는 충당하겠네요.
    집에서는 월세랑 생활비 모자란 정도 지원하면 되겠어요.
    아이도 막연히 학비는 되겠지 정도 알고 있고,
    아직 공부중인 다른 아이도 있어서요.
    은퇴후 계획 세우던중 답답해서 여쭈었어요.
    많은 도움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16.
    '25.7.22 5:16 PM (211.198.xxx.46)

    은퇴까페에 딸이 서울대 이공계 석박사했는데
    집사주면서 급여내역떼서보니 8000쯤 장학금으로
    받았다고 했어요

  • 17. 이공계 석박
    '25.7.22 7:04 PM (175.208.xxx.213)

    할만하구만 왜 이공계 죽었다고 난린가요?
    학부때부터 장학금도 많고요.
    의대 전공의 120시간 연속근무하고 300받는데
    석박 학비는 당연히 본인 부담.
    더 길게 학교 다녀도 온갖 장학금에서 다 제외되는데

  • 18. 넝쿨
    '25.7.22 7:07 PM (118.235.xxx.18)

    이공계 석박사는 공부 내용이 훨씬 어렵고 중요한 반면 졸업후 하방이 의대 대비 낮잖아요. 의대 공부 어렵다 해도 암기고 논문 수준도 차이 많이 나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739208 선호하는 시계 브랜드 있으세요? 생일 20:50:47 3
1739207 제가 밥하는게 안 힘든이유.. 3 ㅇㅇ 20:45:13 430
1739206 김민석 국무총리 기조연설 보세요. 국민주권정부.. 20:44:06 156
1739205 자취하는 아이 반찬 보내려는데요 2 …. 20:43:37 163
1739204 84제곱미터 잔인하다고 난리쳐서 보는중인데 3 ㅇㅇ 20:41:10 380
1739203 인테리어 중인데요. 안방은 편한 게 최고죠? .. 20:39:55 144
1739202 장요근맛사지기(기계말고 도구에요) 써보신분? 3 장요근 20:39:01 122
1739201 증여세도 상속되나요? 5 ㅡㅡ 20:38:42 153
1739200 얼굴에 마스크팩 붙이고 다니는거 유행인가요? 8 깜놀 20:34:36 653
1739199 강선우 사건으로 부터 얻은 교훈 14 ... 20:33:35 491
1739198 재난지원금 사용처요 4 현소 20:31:13 454
1739197 왠걸 또 시원한 바람 부네요 7 .... 20:28:18 827
1739196 청라 사시는 분들 엄마만 애타.. 20:28:16 211
1739195 60대 상무님께 선물하려면 뭐가 좋을까요? 고민 20:28:06 84
1739194 강선우은 여가부 장관에 임명되어선 안됩니다. 17 다시한번 20:27:06 456
1739193 요리를 너무 좋아해요~ 11 ㅎㅎ 20:23:02 569
1739192 “경찰이 추행했어요” 女피의자 말 믿고 파면했는데…거짓말이었나... 2 .. 20:16:41 833
1739191 펌) 강선우가 여가부 장관이 되어야 하는 이유 11 .. 20:11:47 762
1739190 이혼하고 아들하고 둘이사는데 32 20:07:39 2,884
1739189 식세기에서 하수구냄새가나는거같아요 7 식세기 20:04:57 578
1739188 강선우 사태의 3가지 문제점 14 문제 20:02:43 675
1739187 설민석 조윤범의 맛있는 클래식 재밌고 유익해요 3 클래식 20:01:18 378
1739186 총기 사건...새삼 사람이 싫네요 3 ... 20:01:07 1,173
1739185 돈까스에 밥과 샐러드 리필 불가 일반적인가요? 23 ... 20:00:43 1,243
1739184 상그릭스 효과가 얼마나 가나요? 2 상그릭 19:56:06 4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