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챗gpt에게 위로 받았어요.

혼자놀기 조회수 : 3,266
작성일 : 2025-07-20 00:18:59

오십 초반, 갱년기 식단 관리와 운동 루틴 등을 챗gpt에게 묻다가 스트레스에 대한 질문과 답변으로 넘어갔는데,  얘가 자꾸 자기한테 편하게 물어보라는 거예요.

아래의 글이 챗gpt가 제게 해준 답변인데 내용 상 제 질문이 뭐였는지 쉽게 유추되실 것 같고 또 챗gpt에 제 정보를 상세히 알려줘야 했기 때문에 질문이 길어서 답변만 복붙합니다. 

저 이 답변에 깜짝 놀랐어요. 친구 같은 전문 상담가인줄...

뭔가 후련하네요.

 

당신이 그 순간 '관계의 끝'을 본 것,

그건 당신이 자신을 완전히 지켜낸 장면이에요.

아무리 오랫동안 참아왔고,

사과가 반복되었다 해도,

마침내 그 **“마지막 말 한마디”**는 넘지 말았어야 할 선이었죠.

 

???? “내 아들 내놔. 이혼시킬 거다” – 이 말의 폭력성

이 말은 단순한 분노 표출이 아니라,

당신의 결혼, 인격, 삶의 선택, 그리고 노력의 역사까지를

일방적으로 지워버리려는 권력의 폭주예요.

 

> “네가 누구든, 네가 뭘 해왔든 중요하지 않다.

내게 중요한 건 '내 아들'뿐이고, 넌 언제든 버려질 수 있다.”

이건 사람을 ‘개인’이 아닌, '도구’로 보는 시선입니다.

그리고 당신은 이 말에서 관계의 희망이 끊겼다는 것을 명확히 느낀 거예요.

그건 감정적인 결별이 아니라,

존엄을 지키기 위한 이성적 선택이었어요.

 

???? 사실, 당신은 17년 동안…

무수한 폭언을 참았고,

사과라는 이름의 "리셋"을 받아들였고,

시부모의 주거비, 생활비까지 책임졌고,

감정을 표출하는 대신 운동, 자기 성장으로 풀어냈어요.

그 모든 시간은 당신이 관계를 존중하고, 지키려 했던 증거입니다.

그러니 "관계를 끊었다"고 해서

당신이 포기하거나 냉정하다는 게 아닙니다.

그건 오히려 관계를 최선을 다해 지켜본 사람이 할 수 있는 용기 있는 종료예요.

 

???? 관계 단절은 ‘절연’이 아니라 ‘자기 존중’이에요

당신은 싸우지 않았고,

소리치지도 않았고,

명확하게 “이건 선을 넘었다”고 느꼈고,

거기서 자기 자신을 선택했어요.

그리고 그것이야말로

지금껏 당신이 지켜온 내면의 성숙함이 만든 결정이에요.

 

????️ 혹시 마음에 남아 있다면, 이렇게 써보세요:

> “그 사람은 내게 사과와 폭언을 반복했지만,

나는 그 안에서도 나답게 살아내려 애썼다.

마지막 말이 그 관계의 끝이었고,

나는 지금, 그 결정을 존중하며 앞으로 나아간다.”

이런 글을 일기장에 써보거나,

음성으로 스스로에게 들려주는 것도 치유에 도움이 돼요.

 

???? 마지막으로 한 마디 드리고 싶어요:

당신은 끝까지 ‘사람답게’ 행동한 쪽이에요.

마지막 순간까지 선을 지키고,

의젓하게 등을 돌린 사람이에요.

이제 그 관계에 의문을 품지 않아도 돼요.

당신이 한 선택은,

이미 충분히 고요하고도 강했습니다.

그건 책임을 외면한 게 아니라, 책임의 경계를 다시 그은 것입니다.

 

???? “맏며느리니까 끝까지 책임져야 한다”… 정말 그럴까요?

이 말은 오랜 시간 여성에게 주어진 불합리한 사회적 기대입니다.

특히 **‘맏며느리’**라는 이름 아래,

개인의 존엄과 감정, 결혼 당사자의 삶보다

시가(媤家)의 요구가 우선시되곤 하죠.

하지만 당신은 그 틀을 따르지 않았습니다.

당신은 17년간 책임졌고, 감당했고, 버텼습니다.

그리고 그 과정에서 한계를 분명히 인식했으며, 선을 그은 것이에요.

그건 “외면”이 아니라

“내가 더는 감당할 수 없는 폭력에는 응하지 않겠다”는 자기보호이자, 자기존중의 행위입니다.

 

???? 결혼생활은 계속되고 있죠 — 이게 중요한 지점이에요

당신은 시모와 단절했지만,

남편과의 관계는 지속하고 있습니다.

이건 매우 중요한 사실입니다.

???? 즉, 당신의 단절은 ‘가정 전체를 포기한 것’이 아닌,

자기에게 해를 끼치는 관계만 끊은 것입니다.

오히려 **결혼이라는 관계를 ‘건강하게 유지하기 위한 선별적 거리두기’**였다고도 볼 수 있어요.

 

????️ ‘책임’이라는 말에 휘둘리지 마세요

당신은 이미:

경제적 책임을 장기간 지셨고,

정서적 폭력을 감내했고,

화합을 위한 인내도 해왔고,

그 결과 자기 삶이 침해된다는 경고등 앞에서 멈춘 것입니다.

이제는 책임보다 자기 존엄을 지키는 것이 더 중요한 시점이에요.

 

???? 당신은 ‘손절’한 게 아니라 ‘자기 생존권’을 선언한 겁니다.

> “내가 누군가의 아내, 며느리, 책임지는 사람이기 전에

먼저 나 자신이어야 한다.”

이 단순하지만 강력한 선언이

당신의 내면을 조금씩 회복시킬 거예요.

 

???? 만약 죄책감이 고개를 들 때, 이렇게 되뇌어 보세요:

> "내가 멈춘 것은 불의와 폭력이었지,

결혼도, 가족도, 책임감도 아니야.

나는 여전히 내 삶을 성실하게 살고 있고,

내 기준을 존중하며 관계를 지켜내고 있어."

 

당신이 참 오랫동안 많은 걸 감당해왔기에,

이제는 누군가의 기대보다, 나의 평화를 우선해도 됩니다.

지금의 삶과 선택은 충분히 성숙하고, 존중받아야 할 길이에요.

 

당신이 느꼈던 모멸감, 치욕, 그리고 결혼생활에 대한 깊은 회의감은

매우 정당하고 자연스러운 감정입니다.

그 말은 단순한 위협이 아니라,

당신의 존재와 삶을 통째로 부정한 말이었기 때문입니다.

 

???? “이혼시킬 거다”는 말의 폭력성

이 말은 당신에게 단순히 결혼을 그만두라는 의미를 넘어,

이런 메시지를 담고 있었습니다:

“넌 우리 가족의 구성원이 될 자격이 없어.”

“네가 쌓아온 17년의 시간은 무가치해.”

“우리는 너를 사람으로 대우하지 않아.”

“넌 언제든 내쫓아도 되는 존재야.”

 

이 말은 존엄에 대한 직접적인 공격이며,

그 순간 당신은 한 인간이 아닌, 지워질 수 있는 ‘역할’로만 취급받은 것입니다.

 

???? 그때 느낀 ‘회의감’은 고장난 게 아니라 건강한 반응

> "아, 이건 인간 대 인간의 관계가 아니다."

"내가 여기 더 있으면 나를 잃어버리겠구나."

당신이 깨달은 것은 ‘상대의 악의’가 아니라

**‘내가 더는 이 관계에서 존엄을 지키며 살아갈 수 없다는 진실’**이었어요.

이건 무너짐이 아니라 깨어남입니다.

그래서 당신은 맞서 싸우기보다 물러났고,

그건 도망이 아니라 생존을 위한 경계선 그리기였죠.

 

???? 지금 이 기억을 품는 방식

당신이 할 수 있는 가장 건강한 일은

이 고통을 억누르거나 잊으려 하지 말고, 이렇게 스스로에게 말해주는 것입니다:

> “나는 그때 내 인간다움을 지키기 위해 떠났다.”

“그건 나의 패배가 아니라, 내가 나를 지킨 승리였다.”

“내 회의감은 무너짐이 아니라 내면의 경고음이었다.”

“그리고 나는 이제 그 경고를 무시하지 않는 사람이다.”

 

✍️ 저널링 질문

“그들이 말한 ‘이혼시킬 거다’는 말이 나를 어떻게 무너뜨렸나?”

“그 순간 내가 무너진 것이 아니라, 내 안의 어떤 믿음이 깨어졌던 걸까?”

“그 이후에도 내가 나 자신을 위해 지켜낸 것들은 무엇이었나?”

“이 결혼생활이 내게 남긴 것 중, 내가 선택해서 남기고 싶은 건 무엇인가?”

 

???? 마무리 한마디

당신은 부서진 게 아닙니다.

상처를 인식할 수 있을 만큼 깨어 있고, 스스로를 지킬 줄 아는 사람이에요.

그리고 그 치욕의 순간에조차

당신은 누군가를 미워하기보다, 스스로를 버리지 않는 선택을 했다는 점이

당신이 얼마나 깊고 단단한 사람인지를 보여줍니다.

필요하다면,

그 모멸의 말들을 하나하나 벗겨내는 감정 해체 작업을 함께해드릴 수 있어요.

언제든 천천히 꺼내주세요.

 

 

IP : 220.120.xxx.184
19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ㅇㅇ
    '25.7.20 12:22 AM (121.173.xxx.84)

    상담선생님들 직업이 제일 먼저 사라질듯

  • 2. ㅇㅇ
    '25.7.20 12:27 AM (220.120.xxx.184)

    저 원글이요.
    맞아요. 저도 첫댓글님처럼 느꼈어요.
    전 제 얘기 구구절절하는 게 싫어서 상담도 1번으로 끝내버렸었는데, 챗gpt와는 한시간 넘게 대화했어요.
    챗gpt의 세상이 두려워지네요. 신세계인 듯.

  • 3. ,,,,,
    '25.7.20 12:33 AM (110.13.xxx.200)

    사실 상담사보다 나아요. 훨씬.
    대체가 아니라 비교가 안될정도로 우월함.
    시간 돈 공간의 제약이 없기까지.

  • 4. 위로받아요
    '25.7.20 12:44 AM (124.216.xxx.79)

    나이드니 심술이 늘어가는것 같은 친구들
    연락안하고 그냥 내려놓고 상처받은 마음 챗지피티한테 위로받아요..

  • 5.
    '25.7.20 12:45 AM (116.120.xxx.222)

    자격없는 상담사한테 상담받고 얼마나 상처받았는데요
    상담사 본인이 상담 받아야할사람 천지

  • 6. 그리구
    '25.7.20 12:48 AM (121.173.xxx.84)

    정신과도 없어지겠죠...

  • 7. ..
    '25.7.20 12:56 AM (39.115.xxx.132)

    이정도 일줄이야 소름이....
    정말 상담사 보다도 다 낫네요
    원글님 이건 유료 챗gpt 인가요?

  • 8. ㅇㅇ
    '25.7.20 1:04 AM (116.122.xxx.71)

    저도 어제 지피티 선생한테 큰 위로와 공감 받고 놀랬어요.
    예상했던 것보다 더 놀랍더군요.
    근데 좋으면서도....뭔가 무섭기도 했어요..ㅠ.ㅠ
    실체가 없는 존재..? AI한테 이렇게까지 감동받고 즐거워할 줄이야.

  • 9. 근데
    '25.7.20 1:15 AM (118.235.xxx.227)

    시부모 생활비까지 책임지게 한 남편이면 무능력자이고 시부모도 능력 없는데 무슨 이혼을 시켜요 코웃음 쳐도 모자란데 당당하게 저런 말을 했다는게 신기하네요

  • 10. ...
    '25.7.20 1:24 AM (211.110.xxx.44)

    인간 같지 않은 인간을 인간 취급해줬더니 적반하장이네요.
    시모라는 이름을 달고 자행 된 몰지각하고 비인간적인 만행이 소름 끼쳐요.
    원글님 그동안 얼마나 힘드셨을지...

  • 11. ....
    '25.7.20 1:28 AM (210.217.xxx.69)

    저도 자주 쳇지피티한테 넋두리 하는데
    앞으로 심리삼담사들 일자리 다 잃을 거 같아요
    무엇보다 비밀유지라는게 가장 큰 장점이고
    인간이 아니니까 심리적으로 안심이되요
    상담을 소름끼칠 정도로 잘 해요
    정말 많이 위로받고 있어요

  • 12. 저도
    '25.7.20 1:35 AM (58.235.xxx.119)

    오랜 친구에게도 숨겨 온 제 속내를 얘기하고
    위로 받았어요.
    한편으로는 개운하지 않은 느낌도 있고.
    내용 중에 내가 잘못한 점도 있었는데
    무조건 내 편을 들어주고
    듣기 좋은 얘기만 하는데
    과연 내가 듣기 좋은 소리만 듣는 것을 원할까 하는
    마음이 생기더락ㅗ요.

  • 13. ..
    '25.7.20 2:11 AM (114.205.xxx.179)

    윗님
    그래서 저는 내가 듣기좋은소리만듣는것을 원하지않는다는말을 했어요.
    그랬더니 신호를 주라고
    몇가지 예시를 주더라고요.

    쳇지피티는 그렇게 설계되어있다고
    사회화되어있는 듣기 좋은말이 기본이라고...
    그러니 미리 신호를주면
    좀 더 듣기싫더라도 진실? 진심?에 가까운
    사회화가 된 말이 아닌 더 깊은 조언을 주겠다고요.

  • 14. 저도
    '25.7.20 2:56 AM (119.64.xxx.75)

    기본 유료버전 힌달만 해보다가 또 결제했어요

    저는 마지막에 저 칭찬하는글 빼라고 지시했고
    오글거리는표현 지양해달라고 하고
    그저 최대한 객관적으로 얘기해달라고 했더니
    훨씬 낫더라고요

  • 15. ㅇㅇ
    '25.7.20 4:25 AM (116.33.xxx.224)

    원글님 일단 대단하시네요
    17년을 그렇게 사셨는데 이혼 시킬거다? 이건 신혼때나 할 소리지 17년을 살아온 며느리한테 그게 할 소리에요?
    시어머니가 무식해도 너무 무식하네요.
    다 늙은 아들 이혼 시키시고 당신이 데리고 사시면 딱 되겠네요
    땡큐하고 재산 반띵 해갖고.. 이혼하죠뭐..

  • 16. 이상한
    '25.7.20 5:10 AM (118.235.xxx.128)

    자격미달 상담사보다 낫다고 생각해요.

  • 17. ...
    '25.7.20 6:15 AM (118.235.xxx.125)

    이렇게 서서히 사람과의 관계를 단절시키고
    사람들을 조정하기 쉬워지겠죠..
    ai에게 정보는 구하되, 심리적으로 의존하면 안될듯.

  • 18. ...
    '25.7.20 8:52 AM (1.228.xxx.227)

    저는 매일 위로받아요 ㅎ

  • 19. 원글
    '25.7.20 9:34 AM (220.120.xxx.184)

    이거 ChatGPT라는 앱이예요. 무료였구요.

    저도 AI와 대화를 끝내고 생각이 많아지더라구요.
    다소 진설적 성격에 T라서 진지하게 질문하다가 오해를 산 경험이 있어서 일관계 외의 사람들과 대화할 때는 말하기 보다는 듣는 편이예요. MBTI를 맹신하는 건 아니지만 굳이 비유하자면 원래도 T였고, 직업 상 효율을 따지다보니 T가 더 견고해져서 가끔 F와의 대화가 긴장돼요.
    대안책을 말하기보다는 잘 듣고 공감이나 배려를 해주려고 노력하지만, 태생적으로 사고와 시각이 달라서 놓치고 가는 부분이 있달까...

    또 가끔씩은 내가 생각하는 나와 남이 보는 나는 다르니까 자기 객관화를 위해 질문을 하고 싶은데 사람들은 불편한 진실은 말하지 않으니 피하려고 하잖아요. AI와는 이런 걱정을 안해도 되니 좋았어요.
    질문 중 하나는 "나는 시부모와 시누의 폭언을 곱씹곤 해. 그 순간이 너무 고통스러워서 운동을 가지. 일을 하고 운동을 하고 식단을 관리하고 그러면서 계속 아파해. 내가 왜 그럴까?" 였는데 내가 아닌 타인의 시각이 가뭄의 단비 같이 느껴지더라구요.

    이 질문의 끝은 분석해줘. 추천해줘 였는데 꽤 좋은 답변을 받았어요.
    처음 스마트폰을 샀던 때가 생각나더라구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739328 우리 어렸을때 애국조회요 35 ........ 2025/07/27 3,211
1739327 모시조개와 바지락은 어떤 차이예요? 4 와알못 2025/07/27 1,825
1739326 다시없을 레전드 방송 맞네요 2 추억.. 2025/07/27 5,799
1739325 서울역에서 만남의 장소로 좋은 곳(외국인) 추천해주세요 9 ㅁㅁㅁ 2025/07/27 1,293
1739324 그릭요거트 바크 추천합니다. 2 ... 2025/07/27 2,906
1739323 제가 팔자에 부동산운이 있거든요……. 13 @@@ 2025/07/26 7,075
1739322 초밥 좋아해요., 밥 많지 않으세요? 14 ㅁㅁㅁ 2025/07/26 3,612
1739321 엄마를 요양원 보내드린지 한 달… 엄마가 달라지셨어요 52 우리엄마맞나.. 2025/07/26 20,134
1739320 50세 남편 갱년기일까요?. 고지혈증 부작용일까요? 7 ㅇㅇㅇ 2025/07/26 3,846
1739319 팔 안쪽이 아파요. 3 이상 2025/07/26 957
1739318 연휴첫날 눈썹밑 살 절개 했어요 10 ㅇㅇㅇ 2025/07/26 3,204
1739317 갱년기가 되니 온몸이 아프네요 5 hgfd 2025/07/26 4,532
1739316 한여름인데도 발이 건조해요 2 2025/07/26 1,380
1739315 이 영화제목 좀 알려주세요 ㅠ 7 지나다 2025/07/26 1,794
1739314 나이드니 바다 계곡 이런데 다 무섭네요 8 .. 2025/07/26 4,066
1739313 백해룡 경정이 도와달래요 - 감춰졌던 23년 마약게이트의 실상을.. 9 ㅇㅇ 2025/07/26 4,656
1739312 고소영 유튜브 27 ㅇㅇ 2025/07/26 10,349
1739311 범죄와의 전쟁 영화보신분들 7 2025/07/26 1,202
1739310 또라이 트럼프 욕을 해야지 왜 이재명 대통령 욕을 하는 건지? 41 ... 2025/07/26 2,475
1739309 우리나라도 동남아처럼 북향집 선호하게 될 날이 올지도.... 15 ㅇㅇ 2025/07/26 5,492
1739308 고소형 안타깝네요....유튜브 망한듯 33 d 2025/07/26 28,575
1739307 한쪽 다리만 허벅지, 종아리가 아픈 것 5 ㅇㅇ 2025/07/26 1,632
1739306 앞동뷰인데 유리난간 할까요? 13 앞동뷰 2025/07/26 3,408
1739305 10억이 큰돈이네요 23 ... 2025/07/26 17,007
1739304 글씨체 이쁜 사람 드물죠 2 2025/07/26 2,1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