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후에 아파트월세 받아 생활하려는데
만일 연 6천만원이면 종소세 얼마낼까요?
혹시 양도세처럼 종소세 계산기가 있나요?
그냥 세무사 상담이 나을까요?
월세로 노후하시는 분 세금 얼마 내시는지
궁금합니다.( 지역가입자 건보료도요)
노후에 아파트월세 받아 생활하려는데
만일 연 6천만원이면 종소세 얼마낼까요?
혹시 양도세처럼 종소세 계산기가 있나요?
그냥 세무사 상담이 나을까요?
월세로 노후하시는 분 세금 얼마 내시는지
궁금합니다.( 지역가입자 건보료도요)
아파트로 월세 연6천이요?
아파트요..
주택임대사업자 등록하면 수선비 등을 경비처리 할 수 있을 것 같아
그리 할려구요.
아파트가 여러채 있으세요?
저도 세 주는 아파트가 있지만 월세 200 넘기가 쉽지 않은데
년 6천이면 종합소득세 꽤 나오지 않을까요?
강남 3구면 저정도 나와요
종소세 6천이면 요율 24%요.
강남 3구면 저정도 나와요
종소세 6천이면 요율 24%요.
비용처리 해서 5천 이하로 떨구면 요율 15%
소득보험료는 월소득에 보험요율 0.709곱하면 나옵니다.
35만원 조금 넘겠네요
여기에 지역가입자는 재산보험료가 추가되는데
재산건보가 어느 정도 나올지는
건보에 문의해보시는 게 빠를 겁니다.
300만원~500만원 건강보험료별도로 나와요. 월 4,50만원
경비처리 등 고려하면 기장료 주고 세무사에 맡기시는게 더 절세될거예요.
월세소득에 대한 세금은 주택 수와 수입금액에 따라 과세 여부가 결정됩니다. 2025년 기준으로 부부 합산 2주택 이상 보유자 또는 3주택 이상 보유자 는 월세 수입이 있을 경우 과세 대상이며, 1주택자는 기준시가 12억원 이하 주택의 월세 수입은 비과세입니다.
1
과세 기준
1주택자 : 기준시가 12억원 이하 주택의 월세 수입은 비과세. 건보료는 재산액에 따라 부과
1
2주택자 : 모든 월세 수입 과세 대상.
1
3주택 이상 : 모든 전세보증금의 간주임대료 및 월세 수입 과세 대상.
1
세금 계산
연 월세수입이 2천이하일경우 분리과세 : 필요경비 60% + 기본공제 400만원 적용 (세무서·지자체 등록 시).
1
종합과세 : 근로소득자의 세율과 같이 갑니다
1
주의사항
미등록 시 : 필요경비 50% + 기본공제 200만원 적용.(세무서만 등록식)
1
연간 수입금액 1,000만원 이하 : 분리과세 시 과세표준 0원 가능.
1
사업자등록 필수 : 2020년 이후 미등록 시 수입금액의 0.2% 가산세 부과.
2
세무서와 지자체에 모두 등록하면 세금 부담을 줄일 수 있으므로, 등록 절차를 서두르는 것이 유리합니다
3. 임대사업자가 받는 혜택보다 의무가 더 과해서 요새는 다들 기치해요
이 외에도 월세 500나오는 아파트와 본인 거주 아파트가 있다면 재산세외에 종부세 당연 부과일듯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