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프랑스
'25.7.10 12:16 PM
(118.235.xxx.129)
시골은 어떤지 모르지만 대도시는 집 살 돈이 없는 사람들이 대부분일 거예요
가처분 소득이 거의 없어요 정규직 되기도 힘들고
2. ㅇㅇ
'25.7.10 12:19 PM
(116.121.xxx.181)
파리 집값 어마어마했는데, 저렇게 되었군요.
3. ---
'25.7.10 12:21 PM
(220.116.xxx.233)
2주택자인 경우 집 세주면 거기에서 세금도 많이 뜯어갑니다.
그리고 무엇보다 세입자 권리 우선이라서, 겨울에는 월세 밀려도 내쫒을 수 없고,
여러모로 한국보단 세 주는 게 매력적이진 않죠. 월세 자체는 한국보다 비싸지만요.
4. ---
'25.7.10 12:23 PM
(220.116.xxx.233)
파리 집값이 서울 보다 쌀거예요 ㅎㅎ 아주 고급 중심 구 아니고서는 ㅎㅎ
월세는 비싸고, 학생들은 집 찾기가 아주 어려워서 하녀방 들어가고요.
5. ...
'25.7.10 12:24 PM
(124.5.xxx.227)
우리는 공유 숙소 안되잖아요.
6. ...
'25.7.10 12:41 PM
(202.20.xxx.210)
우리는 공유 숙소 자체가 안되요 ㅋㅋ 비교할 데를 비교를 하세요 -_- 아직 파리 보다 한국이 쌉니다...
7. ㅇㅇ
'25.7.10 1:13 PM
(106.102.xxx.87)
집 안사는 대신, 월세가 월급 1/3인데 받아들이고 살더라구요.. 우리나라는 전세가 점차 없어지면...
8. ...
'25.7.10 1:16 PM
(1.237.xxx.240)
파리 집값이 서울 보다 쌀거예요 ㅎㅎ 아주 고급 중심 구 아니고서는 ㅎㅎ2222
우리나라 월세가 싼게 집값에 거품이 그만큼 많이 끼었다는 증거에요
9. 월세는 큰부담
'25.7.10 1:17 PM
(223.38.xxx.21)
우리도 전세 없어지면, 월세는 더 오를텐데
젊은 세대는 돈모으기 더 어렵겠네요ㅜ
월세가 큰 부담이잖아요
10. 파리 16구
'25.7.10 1:51 PM
(211.234.xxx.95)
15구가 강남
16구가 서초정도..
우리나라보다 쌉니다
몽마르트는 우범지대...구여
11. 파리 집값
'25.7.10 1:53 PM
(218.152.xxx.90)
파리사는 친구가 집을 사려고 알아보고 다녀서 본의 아니게 저도 좀 알게 되었는데 파리의 고급 주거지인 1구, 6구,7구에 국평정도 되는 아파트가 (물론 프랑스 아파트는 오래된 돌로된 클래식한 건물이죠) 1밀리언 유로 정도면 사더라구요. 완전 럭셔리 아파트 40평 이상도 한 2-3밀리언인데 우리 나라 아파트에 비하면 인테리어나 이런건 완전 더 훌륭하구요. 서울이 파리보다 핫하거나 세계의 중심지라는 생각은 절대 안들고 역사적인 가치도 파리 집들이 더 있을텐데 말이죠.
12. ---
'25.7.10 1:57 PM
(220.116.xxx.233)
파리 15구는 한인들이 모여살아서 선호할 뿐이지 강남은 아니죠... 16구가 강남이면 납득하는데 ㅎㅎ
13. ..
'25.7.10 2:05 PM
(39.7.xxx.20)
우리나라 월세 거품이 아니라 월세가 싼거죠
뉴욕이면 원룸 수준도 최소 2-3천불
14. 30년간 집값
'25.7.10 2:19 PM
(121.130.xxx.247)
내렸다는 일본도 6평짜리 원룸이 월세가 120만원이예요
15. ㅇㅇ
'25.7.10 2:36 PM
(39.117.xxx.200)
우리나라 월세 거품이 아니라 월세가 싼거죠 222
우리나라 주거비가 OECD에서 첫번째인가 두번째로 저렴한데
그 이유는 월세가 전세가와 경쟁하는 구도가 형성되어 있어서 그런겁니다.
당장 미국이나 유럽 같은 곳은
자기 월소득의 3분의 1에서 절반 이상을 렌트비로 지불하는 곳이 허다합니다.
우리만 특이하게 전세가 있는 바람에 월세를 급격히 올릴 수 없는 구조가 된 거죠.
당장 빌라왕 집단 전세사기 사태로 전세 수요와 공급이 씨가 말라버린
서울 빌라 다세대 시장만 해도 월세가 전세가 대비 상당히 많이 올랐습니다.
서울 투룸 빌라 시세 1000에 150~200이 기본이 되어버렸죠. (지역에 따라 다르긴 하지만)
전세가 없어지고 월세로 쏠려버리니 당장 월세가가 상승하게 된 거죠.
16. 파리
'25.7.10 2:45 PM
(221.146.xxx.9)
센강주변 어마어마했는데
17. ..
'25.7.10 3:06 PM
(82.35.xxx.218)
문재인때 쉴드 하다하다 집값은 정책이랑 아무 상관없고 사이클때문이라 했는데 사실 정책이 결정한다해도 과언아니죠. 전세계 대도시 집값, 서울비해 싸단 생각들정도에요. 런던도 집값내리면서 바이어 마켓으로 바뀌었어요. 서울만 아묻따 고공행진
18. ...
'25.7.10 4:14 PM
(118.235.xxx.205)
실드가 아니라 코로나 때는 정책이고 뭐고 마이너스 금리라 안먹히구요, 21년 하반기부터 금리 올리고 유동성 회수하면서 정책이 먹히기 시작했어요.
22년도도 하락기였는데 23년부터 갑자기 윤이 대출 다 풀고
정책대출 쏟아부으면서 21년 하반기부터 먹히던
정책을 뒤엎은 거에요.
정책이란게 바로 먹히는 게 아니라 시간이 걸리는 거에요.
19. ..
'25.7.10 4:52 PM
(82.35.xxx.218)
코로나때가 아니라 코로나 이전에 한국은 세배 올랐어오. 30프로도 아니라 세배. 자꾸 코로나 타령인지. 문재인 부동산 정책 하나도 정상적인게 없었는데 도대체 어떤 정책이 시간걸려 먹혔다는건지?
20. 변명은
'25.7.10 6:10 PM
(223.38.xxx.31)
코로나 탓은... ㅉㅉㅉ
임대차 3법만 안했어도 2배만 오르고 말았을 걸요
임대차 3법이 전세가 다시 폭등시켜
잠잠하던 매매가에 다시 기름 부어 활활 타게 한 건 잊으셨어요?
오죽했으면 민주당 쪽 부동산 관련들 인사들조차(대체로 하락론자들)
문정권 때만 유독 폭등장이 2번 있었던 건
(다른 정권들은 폭등장 있었어도 단 1번)
임대차 3법 때문이라고 입을 모아 말하고 있구만...
하다못해 사람들이 맨큐의 경제학 원론에도
임대료 규제는 임대매물을 감소시켜 임대료 폭등을 가져오고
이 폭등한 임대료는 결국 집값을 폭등시키게 된다고 나와있다고
그렇게 임대차 3법 실시 전에
제발 재고해달라고 그렇게 각계에서 요구했는데도
응, 우리들은 달라 하면서 강행 밀고나갔다가
폭등 원 모어 타임 해서 결국 3배나 폭등하게 된 거잖아요
자기들 불리한 건 싸그리 잊는 재주가 있나봐요?
21. 하여튼
'25.7.10 8:21 PM
(118.235.xxx.56)
82에는 폭락론자들이 많음 부동산은 여기에 묻지 마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