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아이큐 100미만인데 인서울 중하위권 대학

00 조회수 : 2,123
작성일 : 2025-07-04 10:27:20

고1 아이가 초등때부터 성실했어요 

아침  7시에 일어나서 리틀팍스로 영어동영상 보고  와이책, 마법천자문 반복해서 읽고요 

초등때 학교에서  반짝반짝 빛났는데  중등때까지도 그럭저럭(반 25명 중 1~3등) 

고등오니 확실히 힘겨워 하는게 보이네요 

양이 많고 어려워지니 노력대비  성적이 안나와요 

 

학교 쉬는시간에 학원숙제하고 (국영수과, 학원 숙제는 안한적이 없음)

시험기간 막판 일주일 전엔 12시에 자고  4시에 일어나 공부해요 

학교에서만 보면  아마  쟤 전교권인가?   그렇게 생각할 것 같아요 

학원 숙제 대충 하는 다른 아이는  모든 과목 두개까지만 틀린다고... 

 7과목 전과목 다 서술형 문제있고 학교 시험이 난이도가 있어서  주요과목은 백점이 거의 없어요 

 

본인이 머리가 안좋아서 어쩔 수 없다고 하네요  (초5 웩슬러 검사때 아이큐 98나옴) 

1학기 내신결과가 아직 안나왔지만 대충 계산해보면  기말도 중간이랑 비슷하니 

전교 35~40등 언저리일 것 같아요(240명 중)

중등성적  곱하기 2.5배하면 고등성적이라 하니 

나름 선방하는 걸수도 있겠네요 ㅎㅎㅎ 

 

현역정시는 힘들다하니 무조건 수시로 보내고 싶은데 

내년 고2때는 학기당 수학 둘, 과학 세과목이라  성적이 더 떨어질테고 

현실적으로  대학라인이 더 낮아지겠다 생각이 드네요 

아이큐 100미만인데 인서울 중하위권 대학(국숭세과광아) 공대 갈 수 있을까요? 

IP : 119.69.xxx.57
17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고등은
    '25.7.4 10:30 AM (211.177.xxx.9)

    아이큐 백 넘어도 공부해도 점수 안나오는 애들 많아요
    지금도 잘 하고 있네요

    예전에 어디방송에서도 아이큐가 원글님 아이 정도 되었는데 서울대간거 봤어요

  • 2. ..
    '25.7.4 10:31 AM (211.46.xxx.53)

    와 진짜 노력형이네요^^ 학교에서도 이런 학생들은 생기부도 잘써주더라구요. 꼭 인서울 하려면 무조건 1등급은 나와야 할꺼같아요. 그렇다면 가능하죠!

  • 3. 해보자
    '25.7.4 10:37 AM (59.1.xxx.85)

    핵심 과목 좋은 선생님 과외 붙여 주세요.

    머리 그 정도면 공부 다 할 수 있습니다.
    저렇게 성실한 아이인데 너무 안타까워서요.

    머리의 문제가 아니라, 어디를 어떻게 공부해야 하는지 몰라서일 수 있고,
    그게 아니라면 개념에 대한 이해가 제대로 안 돼 있어서 점수가 안 나오는 것일 수도 있어요

    현재 결과를 개인의 지능 탓으로만 돌리지 마세요.
    선생님만 잘 만난다면, 본인 노력까지 더해지니 엄청난 결과가 나올 수 있는 조건입니다..

    저도 아이큐 110 정도인데, SKY 나왔습니다.
    100정도 되는 아이를 머리 나쁘다고 하시면 안 돼요.
    아이 본인 입에서도 그런 말 나오지 않게 하세요.

  • 4. .....
    '25.7.4 10:38 AM (211.234.xxx.252)

    나열한 대학라인을 중하위권이라니 ㅡㅡ
    입시 겪어 본 학부모님들 심호흡 릴렉스

  • 5. ......
    '25.7.4 10:41 AM (218.147.xxx.4)

    네에?? 서울에 있는 국숭세 가 중하위권요??

  • 6. less
    '25.7.4 10:43 AM (49.165.xxx.38)

    근데 타고난 머리 무시못함..

    아들만 둘인데.. 첫째가 130넘게 나왔는데..~~~ 중딩까지 공부하는 걸 본적이 없음 그래두 전교권....

    고등가서는. 공부하는만큼 나오는데..고등가서도 설렁설렁...

    울아이가. 고2때. 1학기 중간고사.. 이때는 정말 열심히함.. 그래서 반1등함..

    근데. 그때말고는. 또 열심히 하는걸 못봄...~~그래두. 2중반은 유지..~

    고3되서 수능공부 엄청 열심히함. 진짜 울아이가 공부를 그렇게 열심히 하는걸 고3때 처음이자 마지막으로 봄.ㅋㅋㅋ

    그래서 수능으로 인서울 중위권 들어감..

    ---반면.. 둘째는. 첫째보다는. 아이큐낮음..
    고2인데.. 새벽 2시까지도 하고. 너무 열심히 함..
    남들이. 보면. 전교1등하는거 아닌가 할 정도로 공부함..

    근데. 첫째랑 성적이 비슷함..~~~

    아.. 고등은 정말.. 노력도 중요한데 타고난 머리 못 따라 가는구나. 생각함.

  • 7.
    '25.7.4 10:48 AM (106.101.xxx.97) - 삭제된댓글

    공부방법이 틀려서 그래요
    중등잘하다가 고등에서 미끄러지는
    성실한 아이들 보면 접근방법과 효율 자체가 잘못되어있어요
    냅다 색깔펜 구분해서 필기하고 외우고 줄긋고
    아무런 의미없습니다..노트만 화려할뿐.
    문제 훑어서 일단 머리속에서 풀이구조를 연결해서 만들고 문제돌입하는 연습하고, 이게 붙으면 시간단축연습이요
    암기한 것들을 나열할줄만 알지 연결하는 연습이나 경험치가 절대적으로 부족해서 그래요

  • 8. 원글
    '25.7.4 10:49 AM (119.69.xxx.57) - 삭제된댓글

    보통 중위권을 건동홍이라고 해서 중하위권은 그 아래 대학으로 생각했어요
    교육 유튜브에서 많이들 저렇게 얘기하던데요 ^^;;

  • 9. 원글
    '25.7.4 10:55 AM (119.69.xxx.57)

    보통 중위권을 건동홍이라고 해서 중하위권은 그 아래 대학으로 생각했어요
    제가 잘못알고있는건가요 ? ^^;;

  • 10. 윗윗님
    '25.7.4 11:10 AM (14.56.xxx.84)

    좀 더 자세하게 설명 부탁드려도 될까요????

  • 11. 챗gpt
    '25.7.4 11:18 AM (118.235.xxx.108) - 삭제된댓글

    "인서울 대학 서열"은 공식적인 것이 아니라, 입시 성적(수능, 내신), 취업률, 인지도, 학과 경쟁력 등을 종합해 학생들과 학부모, 입시업계 등에서 통상적으로 분류하는 것입니다. 아래는 일반적으로 많이 언급되는 기준에 따라 상위권 / 중위권 / 하위권 인서울 대학을 나눈 것입니다

    (2025학년도 입시 기준 추정)


    ✅ 상위권 인서울 대학

    (최상위권~상위권, SKY 포함)
    최상위 : 서울대
    상위권 : 연세대, 고려대
    준상위권 : 성균관대, 서강대, 한양대, 중앙대, 이화여대
    상위 중하위선 : 경희대, 한국외대, 서울시립대, 건국대

    > 이들 대학은 대부분 수능 상위 1~3% 이내 학생들이 지원하며, 의대·로스쿨 진학률, 취업률, 교환학생, 연구력 등에서 우수한 평가를 받습니다.


    ✅ 중위권 인서울 대학

    (입결 기준 수능 3~6등급 중심)
    동국대, 홍익대, 숙명여대, 국민대, 숭실대, 세종대, 덕성여대, 서울과학기술대 등

    > 이들 대학은 수능 3~6등급 정도의 학생들이 지원하며, 학과별로는 건축·디자인·영상·공대·경영 분야에서 특화된 곳도 많음. 일부 학과는 상위권 대학 못지않은 경쟁력을 보이기도 합니다.


    ✅ 하위권 인서울 대학

    (입결 기준 수능 6~9등급 중심 / 정시보다 수시 중심)

    광운대, 명지대, 서울여대, 삼육대, 상명대, 서경대, 한성대, 한서대(서울캠), 서울기독대, 총신대, 동덕여대 등

    > 이들 대학은 수시 학생부 전형, 논술, 적성고사 중심이며, 일부는 정시로 선발하지 않거나 아주 적은 인원만 모집. 특성화 학과(예체능, 디자인, 항공, 보건 등) 위주의 전략을 세우는 경우가 많습니다.


    ???? 참고 사항

    상중하 구분은 절대적인 것이 아니라, 학과별로 위상이 달라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예를 들어, 한양대 기계공학과 > 연세대 문과 비인기학과인 경우도 있음.

    서울시립대는 공립이지만 가성비가 뛰어나서 중상위권 혹은 상위권 근처로 평가받는 경우도 많습니다.

    입결 변동이나 **정책 변화(정시 확대 등)**로 인해 매년 조금씩 달라지므로 최신 정보를 참고하는 것이 좋습니다.

  • 12. 저기
    '25.7.4 11:44 AM (112.169.xxx.195)

    우리나라 성인 평균 아이큐가 두자리수에요..
    사람들이 자기들 되게 똑똑하다고 생각하나 봄;;;

  • 13.
    '25.7.4 11:48 AM (106.101.xxx.97) - 삭제된댓글

    많은 아이들이 착각하는게 가짜공부하고
    본인은 공부했다고 안심하는데..
    그게 공들여 필기하는 아이들의 큰 착각입니다..
    배점 높은 문제들 보면 개념을 3~4개
    끌어오도록 설정하고, 그안에 킥이 되는 디테일한 관점
    그걸로 마지막에 가르는데,
    애들이 보통 나열된 개념 그 이상 접근을 못합니다..
    상위권은 개념연결까지 가능한데 킥이 되는
    마지막 열쇠를 못찾아서 상위권이고, 초상위는
    열쇠를 찾는 애들이고요
    그게 사고력과 지능이고요
    상위권까지는 방법론의 문제입니다..
    수학은 그래서 개념,개념하는거고 훑어보면서
    흩어진 핵심개념을 분류하고 합쳐야돼요
    구조짜기전에 냅다 손부터 나가면 안됩니다..
    국어,영어 팁줄때는 먼저 문제훑고 지문 읽을때 손으로
    줄 죽죽 그어내려가지 말고 눈으로만 봐라,
    그리고 딸린 문제에 필요한 중요한 키워드만 v체크해라
    이렇게 말해줬습니다
    보통 이해하는 속도보다 눈이 손을 따라가서 결국 다
    읽었지만 이해한 건 아닌 경우가 많거든요
    대부분 되돌아가죠
    제가 원글자제분이라면 방학때 두가지 방법으로 접근할 것 같은데
    문제 전체조망하는 연습, 반복하면서 시간줄이는 연습,
    그리고 고1수학 특히 함수부분 전체 점검해볼 것 같습니다..

  • 14. ㅇㅇ
    '25.7.4 11:55 AM (58.234.xxx.36)

    물론 말씀하셨다시피
    인서울 중위권이 건동홍숙
    중하위가 국숭세단성신광인아 라서 그렇게 기준을 삼으셨겠지만..
    인서울 말씀하신 중하위 대학들..정말정말정~~~말 가기 힘듭니다...
    저렇게 열심히 하는데 왜 못가느냐가 아니고..저렇게 해야지 중하위라도 가는겁니다.

  • 15. 사실
    '25.7.4 12:04 PM (118.235.xxx.253)

    인서울은 모두 상위권입니다.......ㅜㅜ

  • 16. ㅇㅇ
    '25.7.4 12:16 PM (99.139.xxx.175)

    다른 의견인데...
    초등때 아이큐 검사 해서 받은 점수가 나중에 달라질 수 있어요.

    일례로 저 아는 사람은
    초등 6학년때 아이큐 108 나와서 엄청 충격 먹고 (엄청 똘똘한 학생이었음 어릴때부터)
    그 이후론 그게 아이큐인줄 알고 생활하다가... (다른 검사를 또 해본 적이 없으니)

    대학은 머리에 안맞게 (ㅋ) 스카이 갔고, 오오 완전 돌머리가 어찌어찌 스카이 간 것처럼 취급당함.
    집안에서도 깜짝 놀람. 이럴 수가 없는데...어른들도 다 놀람.
    군대에 가서 신병 훈련소인가? 거기서 다시 아이큐 검사를 했고 그때 152 나왔음요.
    학벌도 좋고 아이큐 높다고 바로 머리쓰는 보직으로 착출되어 갔어요.

    초등때 한 검사에 오류가 있을 수가 있고, 머리도 쓸수록 발달되다보니
    어릴때 아이큐가 평생 그 아이큐가 아닐 수도 있단 소리입니다.

  • 17. 아이큐98 동창
    '25.7.4 2:51 PM (121.136.xxx.65)

    고2때 전교 10등 내에 들던 동창들 아이큐를 보니 아이큐가 100이 안되었어요.
    그것도 두명이나 그랬어요. 그러니 아이큐때문에 낙심할 필요 없을듯 하네요.
    사실 어떤 조사에서 보니까 아이큐 100 넘는 사람들이 생각보다 그리 많지 않다네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733469 예전 이산가족 상봉 장면 웃긴거 있네요 ㅎㅎ ㅇㅇ 16:40:03 133
1733468 대통령 대전 미팅 난리네요.. 10 .. 16:34:32 1,062
1733467 경조사후 인간관계 정리 된다는게 어떨때? 1 이경우도 16:32:09 262
1733466 국산완두콩 어떻게 믿고 사죠? 1 ㄱㄴ 16:30:36 82
1733465 운동샘께 작은 감사표시를 하고 싶은데요 ... 16:28:15 98
1733464 아들이 오븐을 선물했는데, 친정엄마가 저에게.. 19 누가 정신병.. 16:26:15 963
1733463 영양제 한알 한알 드시나요? 3 영양제 16:26:01 198
1733462 병원 어디를 선택하는게 좋을까요? 2 고민 16:22:23 177
1733461 먹방 유튜버 햄지 누구 닮은지 생각났어요 3 .... 16:21:36 427
1733460 수험생 의자 방선 추천 부탁드려요 엉덩이가 아프다네요 3 주니 16:20:00 113
1733459 수수한 살림 유투브 알려주세요. 3 살림 16:12:24 474
1733458 수행평가가 공부 못하는 애들을 위한 제도인가요? 16 수행평가 16:12:03 598
1733457 (스포)성해나 혼모노 보신분들 단편 잉태기.. 3 ㅡㅡ 16:10:54 283
1733456 딸들 징징 어떻게 대처하세요?? 9 힘들다 16:10:11 740
1733455 6기 현숙과 4기 정수 3 16:09:54 655
1733454 중고등 아들들 왜 이렇게 보고?확인?을 할까요? 11 ... 16:02:13 718
1733453 작은방 작업실 컴퓨터책상 배치를 대각선으로 놨어요 1 혼자 16:00:23 162
1733452 내일 결혼식에 2 .. 15:53:52 740
1733451 한강뷰 북향 아파트 살기 어떤가요? 5 15:52:45 941
1733450 나솔 17옥순 9 . 15:50:28 1,309
1733449 [정정보도] 정동영 일가 태양광... 옆 집 것을 잘못봤음 15 ㅅㅅ 15:48:11 2,248
1733448 대학원생 전입신고는 어떻게 지원금 15:45:15 215
1733447 날개뼈 아래 통증이 오래 가네요 7 다나 15:44:35 399
1733446 물려받을 거 없는 외동 아들 8 노후 15:39:39 1,680
1733445 2차전지 어떻게 보십니까? 13 휴.. 15:37:03 1,4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