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해삼 좀 여쭈어요

. . 조회수 : 651
작성일 : 2025-07-01 13:59:12

어시장에서 해삼을 사왔는데 크기가 커서

그런지 너무 딱딱합니다

좀 부드럽게 할수 없을까요?

익혀도 될까요? 그냥 생으로 먹으니 치아

상할까봐 못 먹겄습니다

IP : 14.43.xxx.199
8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ㅇㅇ
    '25.7.1 2:04 PM (14.32.xxx.186) - 삭제된댓글

    활해삼은 생으로 먹는 거에요 데친다면 아주 살짝 데쳐야 하는데 데쳐먹는 경우도 잘 없어요
    퍼지기를 기다리며 끓였다가는 다 쪼그라들고 딱딱해져서 되려 못먹습니다
    님이 생각하시는 부드러운 해삼은 건해삼을 이틀이상 불리고 삶고 또 불려서 만드는거에요

  • 2. ㅇㅇ
    '25.7.1 2:06 PM (14.32.xxx.186) - 삭제된댓글

    활해삼은 생으로 먹는 거에요 데친다면 아주 살짝 데쳐야 하는데 데쳐먹는 경우도 잘 없어요
    퍼지기를 기다리며 끓였다가는 다 쪼그라들고 딱딱해져서 되려 못먹습니다
    님이 생각하시는 중식 부드러운 해삼은 건해삼을 이틀이상 불리고 삶고 또 불려서 만듭니다

  • 3.
    '25.7.1 2:11 PM (124.49.xxx.205) - 삭제된댓글

    저는 오륙초정도 데쳐 해뵜어요 이가 안좋아서요. 저도 몰랐는데 성산 근처 해녀의 집에서 이아프다니까 그렇게 해서 주셨는데 아주 먹을 만했거든요. 유비끼해주셨다고 했는데 얼마전 냉부에서 정호용셰프 하는 것 보고 냄비물에 데쳤어요 . 그걸로 해삼세비체 해먹었어요. 참고로 동해 해삼이 제주도보다 더 딱딱하다고 해요.

  • 4. 아마
    '25.7.1 2:13 PM (124.49.xxx.205)

    냉부 정호영셰프가 한 레시피 있던데 요리사처럼 성공할 지는 모르겠지만 조금은 덜 딱딱하지 않을까 싶기도 하네요. 해삼 내장 가르고 최대한 얇게 해서 참고해보세요.

  • 5. ㅇㅇ
    '25.7.1 2:14 PM (14.32.xxx.186)

    원래 생해삼은 회로 먹는건데 이가 안들어갈 정도면 살짝 데쳐서 드세요 물이 끓으면 불 끄고 넣어서 짧게 데칩니다
    그래도 부드러운 중식 건해삼 불린거랑은 맛과 질감이 달라요 건해삼은 이틀 이상 불리고 삶아서 다시 불린 물건입니다

  • 6. ..
    '25.7.1 2:16 PM (211.234.xxx.177)

    해삼, 개불은
    그 맛으로 먹는 거 아닌가요?

  • 7. 111
    '25.7.1 2:18 PM (223.38.xxx.99)

    싱싱해서 딱딱한거예요
    손질해서 냉장고에 반나절에서 하루 두면 부드러워져요
    데치려면 뜨거운 물에 넣어다가 얼음물에 넣어다
    두세번 해서 초무심해드세요
    오래 데치면 더 딱딱해짐

  • 8. ㅇㅇ
    '25.7.1 2:26 PM (175.199.xxx.97) - 삭제된댓글

    싱싱해서 그런거예요
    살짝 데쳐서 드셔도 됩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731931 대통령 대전 미팅 난리네요.. 46 .. 2025/07/04 22,428
1731930 경조사후 인간관계 7 이경우도 2025/07/04 2,100
1731929 국산완두콩 어떻게 믿고 사죠? 3 ㄱㄴ 2025/07/04 980
1731928 영양제 한알 한알 드시나요? 2 영양제 2025/07/04 1,136
1731927 먹방 유튜버 햄지 누구 닮은지 생각났어요 4 .... 2025/07/04 1,837
1731926 수험생 의자 방선 추천 부탁드려요 엉덩이가 아프다네요 4 주니 2025/07/04 554
1731925 수수한 살림 유투브 알려주세요. 7 살림 2025/07/04 2,148
1731924 수행평가가 공부 못하는 애들을 위한 제도인가요? 25 수행평가 2025/07/04 2,837
1731923 (스포)성해나 혼모노 보신분들 단편 잉태기.. 3 ㅡㅡ 2025/07/04 1,314
1731922 딸들 징징 어떻게 대처하세요?? 15 힘들다 2025/07/04 3,468
1731921 6기 현숙과 4기 정수 6 2025/07/04 2,707
1731920 중고등 아들들 왜 이렇게 보고?확인?을 할까요? 16 ... 2025/07/04 2,538
1731919 작은방 작업실 컴퓨터책상 배치를 대각선으로 놨어요 혼자 2025/07/04 445
1731918 내일 결혼식에 2 .. 2025/07/04 1,601
1731917 나솔 17옥순 17 . 2025/07/04 4,490
1731916 [정정보도] 정동영 일가 태양광... 옆 집 것을 잘못봤음 18 ㅅㅅ 2025/07/04 4,881
1731915 대학원생 전입신고는 어떻게 지원금 2025/07/04 506
1731914 물려받을 거 없는 외동 아들 14 노후 2025/07/04 5,046
1731913 2차전지 어떻게 보십니까? 13 휴.. 2025/07/04 3,476
1731912 전세처음 구하는데 이게 무슨 말일까요 17 aa 2025/07/04 3,485
1731911 앞니 크라운 비용 세브란스에서 130만원 21 윤수 2025/07/04 2,492
1731910 다들 혼자있을때 몇도면 에어컨 켜나요? 9 습기ㅠ 2025/07/04 2,062
1731909 멜라토닌이요 9 저기.. 2025/07/04 1,905
1731908 요새 화가 많아졌어요 2 kjl 2025/07/04 1,726
1731907 침대에 대자리 어떤가요? 13 베베 2025/07/04 2,0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