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읽기에 관련된 최근 연구

하버드 조회수 : 1,109
작성일 : 2025-06-27 10:38:34
연구 개요

1. 세계 유일의 종단적(장기 추적) 두뇌 연구

이 연구는 영아기부터 아동기까지 뇌 발달을 추적하면서, 문해력 발달 결과를 종합적으로 측정한 세계 유일의 종단 연구임.

다른 연구들보다 표본 수는 적지만, 다른 연구들은 대부분 일반적인 뇌 성숙 과정에 집중한 반면, 이 연구는 문해력의 발달과 그 신경기반을 추적함.

2. 읽기 학습과 두뇌 발달

읽기는 다양한 하위기술(예: 음운 인식, 구어 능력 등)이 상호작용하는 복합적 기술임.

**음운 처리 능력(phonological processing)**은 단어 해독과 읽기 능력을 예측하는 가장 강력한 행동 지표 중 하나로, 태어나기 전부터 발달을 시작하며, 영아기~유아기 사이에 정교화됨.

연구는 이 음운 처리 능력이 초기 두뇌 발달과 나중의 읽기 능력 사이의 관계를 매개함을 입증함.

3. 기존 인식에 대한 도전

많은 사람들이 읽기 능력은 학교에 들어간 후부터 시작된다고 생각하지만, 실제로는 자궁 내에서부터 소리와 언어를 처리하는 능력이 형성되며, 이것이 읽기의 기반이 됨.

읽기에 어려움을 겪는 아동은 이미 학교 입학 전부터 최적이 아닌 두뇌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이것이 이후 학습 문제로 이어지는 것으로 보임.

연구 방법

MRI 촬영 외에도, 아동의 언어 능력, 인지 능력, 가정 내 언어 및 문해 환경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함.

뇌 발달만이 아니라, 가정 및 환경 요인이 어떻게 아동의 문해 발달에 영향을 주는지 분석함.

정책적 시사점 및 자금 문제

1. 연구의 교육 및 정책적 의의

이 연구는 기초과학이 교육 실천 및 정책에 어떻게 기여할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대표적 사례임.

조기 개입이나 문해력 교육 정책을 임신 후반기 혹은 영유아기부터 고려해야 함을 시사.

2. 연속 추적 불확실성

연구팀은 아동들이 중·고등학교에 진학할 때까지 5년간 추가 추적을 계획했지만, 최근 연방 NIH의 하버드 대상 연구비 삭감으로 인해 중단될 위기.

NIH 심사에서 기금 지원에 적합하다는 점수를 받았지만, 예산 집행이 보장되지 않음.

연구자들은 “이 아이들은 대학에 갈 것이고, 그렇게 되면 우리는 이들을 영원히 잃게 될 것”이라며 안타까움을 표함.

IP : 218.145.xxx.234
4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나무木
    '25.6.27 10:53 AM (14.32.xxx.34)

    흥미있는 연구네요

    트럼프는 하버드 연구비를 계속 지급 보장하라!!

  • 2. 논문 제목
    '25.6.27 11:02 AM (118.235.xxx.193)

    논문 제목 알려주실 수 있을까요?

  • 3. 출생전 ㅎㄷㄷ
    '25.6.27 11:16 AM (211.106.xxx.186)

    출생전부터 음운처리능력을 길러줄 필요가 있다니 ㅎㄷㄷ하네요
    그렇다먄..
    임신중후반기 산모의 읽기 관련 활동을 촉진할 필요도 있는 거고(태교로 책읽기? 오디오북 듣기? 새로운 언어 배우등등등)
    신모의 생뢀환경도 친 문해적으로 조성할 팔요가 있단 거잖아요.

    하아...... 기술은 놀랍게 발전해가지만
    갈수록 될놈될..인 것 같단 느낌이 드는 건
    왤까여...
    쩝.

  • 4. ---
    '25.6.27 11:46 AM (211.215.xxx.235)

    조기 개입이나 문해력 교육 정책을 임신 후반기 혹은 영유아기부터 고려해야 함을 시사.
    ---> 조기 교육이 더 강조되어야 한다는 의미일까요???

    표본이 얼마나 되는지도 중요할것 같구요.. 글쎼요...라는 생각이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734989 내란종식특별법, 국민공동발의 1만명 돌파! 내란종식 위해 이번엔.. 8 박찬대의원님.. 2025/07/14 526
1734988 범칙금만 몇십만원 이런인간은 왜그럴까요 1 남편 2025/07/14 511
1734987 육은영 빌런들 참교육 유쾌 상쾌 통쾌 1 이뻐 2025/07/14 895
1734986 강선우, 남편 재직 기업 관련 법안 발의했다가 철회 8 설상가상 2025/07/14 1,728
1734985 50중반 개인 자산좀 봐주세요 10 혼자 2025/07/14 4,118
1734984 강선우, 美대학 부실강의 논란… 학생들 “수업 끔찍했다” 16 ... 2025/07/14 4,302
1734983 세상 이해못하는것은.. 3 세상 2025/07/14 1,157
1734982 자꾸 옷을사는 이유 10 ... 2025/07/14 3,868
1734981 휴가가는데 중2 피임약 먹여도 되나요? 9 휴가가용 2025/07/14 2,435
1734980 부부라도 양가문제는어떻게 할수 없네요 7 ... 2025/07/14 2,166
1734979 와츠앱 까신분 계시나요? pc에서 동영상카메라가 안돼요 동영상 2025/07/14 342
1734978 강선우 의원은 다 해명되었네요 16 o o 2025/07/14 4,526
1734977 강선우 청문회 변기 해명 14 2025/07/14 2,585
1734976 강선우를 굳이 밀어부칠 필요 있나요? 19 ㄱㄴㄷ 2025/07/14 1,620
1734975 어렸을적 엄마가 해주시던 뜨거운 콩수제비 7 콩수제비 2025/07/14 1,561
1734974 조국혁신당, 이해민 의원실 - 법의 이름으로 기록될 진실은 냉정.. 1 ../.. 2025/07/14 633
1734973 조국은 죄가 없으니까 재심해야죠 13 그러니까 2025/07/14 1,173
1734972 상속시 대리인 위임장 17 .... 2025/07/14 918
1734971 요즘 오이요 2 문의 2025/07/14 1,187
1734970 저거 3시 30분에 끌려나오겠네요 25 속보 2025/07/14 3,122
1734969 인서울은 어디까지? 14 봉다리 2025/07/14 2,847
1734968 바깥 일 하는 남편 도시락이나 간식 뭐가 좋을까요? 9 고민 2025/07/14 1,208
1734967 길냥이 밥사놨는데 언제 올까요~? 8 기다림 2025/07/14 654
1734966 강선우 수준이 학폭 왕따 주동자스럽네요 14 pppp 2025/07/14 2,108
1734965 냉면 소스 레시피 7 ㅇㅇ 2025/07/14 1,3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