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일본 대지진이 나면 엔화 강세된다네요

조회수 : 4,659
작성일 : 2025-06-20 01:13:55

일본 보험사들이 자국내에 금리가 낮기 때문에 해외투자한 경우가 많습니다. 다 달러로 투자하죠. 그걸 국내로 다시 들어올때 엔화로 바꿔야 하죠.

그리고 대재해가 발생하면 그 복구 비용도 다 해외 투자된걸 회수해서 하는경우가 많죠. 달러를 엔화로 바꾸기 때문에 엔화 환율은 자동으로 상승하죠. 후쿠시마때도 그래서 엔화 환율이 상승했었죠. 

 

100엔 기준환율

2011년 3월 10일 1347원에서 3월 17일에 1439원까지 올라감.

단기 이슈라 도로 내려 오지만 오르긴 오름.

IP : 125.183.xxx.168
9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25.6.20 1:24 AM (121.173.xxx.84)

    오히려 반대 아닌가요?

    엔화가 자국으로 대량으로 들여온다는거 아니에요.
    그럼 엔화가 많아져서 가치가 떨어지는거 아닌가요.

    아니면 단기적으로 엔화 수요가 많아져서 가치가 상승하는걸까요?

  • 2. 상식적으로
    '25.6.20 1:42 AM (174.227.xxx.148)

    재난상황인데 그나라 돈가치가 오르다뇨..
    경제가 올스탑하는데 오히려 달러 오르고 엔화 하락하지요.
    해외자산들 정리해야할껀데요.

  • 3. 요오드
    '25.6.20 1:58 AM (118.235.xxx.223)

    요오드 주 같은 것도 반짝 올라요
    방사능 때문에..

    모쪼록 아무 일 없었으면 좋겠어요....

  • 4. 영통
    '25.6.20 5:36 AM (116.43.xxx.7)

    쓰나미 때
    일본 여행이 엄청 저렴했던 거 기억.
    즉 돈가치가 낮았음

  • 5. 재난이
    '25.6.20 7:37 AM (59.7.xxx.113)

    터지면 해외자산 사들인 일본인들이 해외자산 팔고 돈을 일본으로 갖고 들어오기 때문에 엔화수요가 급증해서 엔화가 오른다고...

  • 6. ..
    '25.6.20 7:39 AM (182.214.xxx.94)

    일본 보험사(또는 재보험사, 기관투자자)는
    ???? 자국 금리가 낮아서 해외(특히 달러 자산)에 많이 투자해 둠.

    대지진 등 대규모 재해 발생 시
    ???? 피해 복구, 보험금 지급 등으로 막대한 자금이 국내에서 필요함.

    따라서 해외에 묶여 있던 달러 자산을
    ???? 팔아서 달러를 엔화로 환전해 국내로 들여옴.



    ---

    핵심 포인트

    해외 투자 자산을 매각 ⇒ 달러 매도 + 엔화 매수 발생

    시장에서 달러를 팔고 엔화를 사니까:

    달러 수요 ↓, 엔화 수요 ↑




    ---

    결론

    ???? 엔화 가치 상승 (엔화 강세)
    ???? 달러/엔 환율 하락
    즉, 1달러당 엔화 가격이 내려간다는 뜻입니다.
    (예: 원래 1달러=150엔 → 1달러=140엔처럼 변동 가능)


    ---

    실제 사례

    2011년 동일본 대지진 때 실제로 이 효과가 크게 발생했어요.
    투자자들이 "엔 캐리 트레이드 청산 + 보험사 달러 회수"를 예상해서
    엔화가 강세로 급등했고, 일본 정부와 BOJ(일본은행)가
    이를 완화하려고 개입하기도 했습니다.



    ---

    정리

    사건 달러/엔 환율

    대지진 발생 전 평소 수준
    대지진 발생 후 엔화 강세 → 달러/엔 환율 하락

  • 7. ..
    '25.6.20 7:41 AM (182.214.xxx.94)

    1️⃣ 엔화가 강세 → 달러/엔 환율 하락

    일본 보험사 등에서 달러를 팔고 엔화를 사니까, 엔화가치 상승.

    이건 엔화가 달러 대비 강해진다는 의미.



    ---

    2️⃣ 같은 시점 원–달러 환율은?

    대지진은 일본 국내 사건이므로 한국 경제에 직접적 타격은 상대적으로 적음.

    다만 일본 경기침체 가능성, 아시아 리스크 등으로 일부 자금이 한국에서 빠져나갈 수 있어 원화 약세 요인도 생길 수 있음.



    ---

    3️⃣ 결과적으로 원–엔 환율은?

    상황 영향

    엔화 강세 엔화당 원화 약세 → 원–엔 환율 상승
    원화 약세 엔화보다 원화가 약해지면 추가 상승 압력


    즉, 두 가지가 동시에 일어나면:

    엔화 강세 + 원화 약세 → 엔화의 상대 가치가 원화보다 더 강해짐 → 원–엔 환율 상승.



    ---

    결론

    대지진 발생 시:

    달러/엔 환율 ↓ (엔화 강세)

    원–달러는 크게 안 변하거나 약세 → 원화 약세

    따라서 원–엔 환율은 상승
    ???? 즉, 100엔을 사려면 더 많은 원화가 필요해진다.




    ---

    실제 예시 (2011 동일본대지진)

    항목 지진 전 지진 후

    달러/엔 하락 (엔화 강세)
    원–달러 약간 상승 (원화 약세)
    원–엔 상승 (엔화가 더 강해져서 원–엔 환율 ↑)


    즉, 일본 여행 준비 중이거나 일본과 무역하는 기업은 엔화 환차손 또는 엔화 구매 비용 증가를 경험했습니다.

  • 8.
    '25.6.20 9:29 AM (211.235.xxx.228)

    윗님이 잘 정리해주셨네요~!

  • 9.
    '25.6.20 11:14 AM (183.107.xxx.49)

    세계 입장서는 일본에 뭔일나면 일본이 세계시장에 투자한거 다 파니 세계 주식시장 휘청이고 미국국채도 내놓으니 미국 국채금리 올라가겠어요. 미국이 젤 타격이 클듯.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737099 여름이불 냉감이불 샀더니 4 2025/07/19 4,244
1737098 청룡영화제 업비트 인기스타상 실수 ㅋㅋㅋ 15 ... 2025/07/19 5,065
1737097 다 키웠어도 아직도 자식고민은 끝이없네요. 12 끝없네요 2025/07/19 3,820
1737096 여름휴가 안가고 이쁜거 살까요 6 ㅡㅡ 2025/07/19 1,854
1737095 카페에서 과외할때 커피값. 33 .. 2025/07/19 5,133
1737094 식탁밑 장판 눌림 방지하려면 뭘 깔아야하나요? 4 ... 2025/07/19 603
1737093 단호박 씨 안빼고 삶으면 안돼요? 4 2025/07/19 1,350
1737092 알약 작은 종합비타민 추천해주세요 2 ㅇㅇ 2025/07/19 501
1737091 펌 - 강선우 의원 관련 또다른 검증 완료 6 .. 2025/07/19 1,618
1737090 기아가 새로 출시한 전기차 EV4가 퍼졌어요 1 링크 2025/07/19 2,090
1737089 앵두나무랑 2 변하는것들 2025/07/19 613
1737088 떙처리 목적 초저가 항공권은 어떻게 구하세요 3 궁금 2025/07/19 1,667
1737087 전분물에 휴지가 빠져 있었어요 먹을 수 있나요? 4 휴지 2025/07/19 1,099
1737086 냉동해둔 냉이로 된장찌개 끓였어요 3 향긋해요 2025/07/19 1,362
1737085 대한민국의 주적은 현시점에서 15 ㅡㆍㅡ 2025/07/19 1,228
1737084 빠릿빠릿한 게 정확히 어떤거에요? 13 ..... 2025/07/19 1,901
1737083 통일교 교주 왜 아들이 안 물려받고 14 가을여행 2025/07/19 5,336
1737082 방수제 써보신 분 2 ㅇㅇ 2025/07/19 742
1737081 30년후 아파트의 미래…오래된 아파트는 우짜죠? 10 ㅇㅇ 2025/07/19 4,771
1737080 판다랑 고양이랑 비슷한가요? 7 2025/07/19 909
1737079 여유있는 집 자녀가 생산직은 안다니겠죠 20 ㅇㅇ 2025/07/19 5,282
1737078 홈플가서 많이 샀어요~ 9 힘내라홈플 2025/07/19 3,430
1737077 부산 해운대구 국회의원 2 국힘 2025/07/19 1,131
1737076 정성껏 키운 첫째가... 1 인컷 2025/07/19 3,581
1737075 신축 소형아파트는 화분을 어디에 두세요? 10 화분 2025/07/19 1,3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