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지난 경선 뒷얘기를 물어보니

asw4ry 조회수 : 2,055
작성일 : 2025-06-13 23:51:55

무슨 사사 오입 박수부대다 뭐다

경선에서 마치 이재명이 엄청난 꼼수로 이긴것처럼

언론 보도를 많이 접해서 늘 찜찜한 맘이 있었는데

여기에 대해 여기저기 물어봐도 시원한 답이 없다가

챗 지피티에게 물어보니 시원하게 답해주네요

 

---

021년 10월 10일 최종 개표 결과

이재명 71만 9,905표 (50.29 %)

이낙연 56만 392표 (39.14 %) 


-문제의 발단

중도사퇴한 정세균·김두관 후보가 얻어 둔 2만 8,399표를 ‘무효’로 처리하느냐 여부였습니다.

당 선관위는 “사퇴 즉시 그 표는 무효지만 분모(총투표수)엔 그대로 둔다”는 내부 규정(당규 59조 해석)을 적용했습니다.

이 규칙 덕분에 이재명이 49.32 → **50.29 %**로 과반선을 간신히 넘겼고, 결선투표 없이 후보로 확정됐습니다. 이 장면을 1954년 헌법 개정 때 득표수를 ‘4 사 5 입(사사오입)식으로 반올림’해 통과시킨 일과 빗대 ‘사사오입’이라 불렀죠

 

-무효표를 분모에 넣지 않았다면?"
총 투표수: 143만 표 (무효 포함)

이재명: 71.99만

무효표: 2.84만
→ 유효 투표수 = 143만 – 2.84만 = 약 140.16만

 현재 방식 (무효 포함 → 과반 넘김)
이재명 득표율 = 71.99 / 143 ≒ 50.29%

 무효 제외 방식 (유효표 기준)
이재명 득표율 = 71.99 / 140.16 ≒ 51.37%

어라? 오히려 득표율이 더 올라갑니다.
그래서 “무효표를 분모에서 뺐으면 결선 갔다”는 건 오해일 수 있습니다.

 

-이낙연 캠프가 문제 삼은 건 정확히는 이겁니다:

“중도사퇴한 후보가 사퇴 선언을 했는데도 그 표를 무효 처리하지 않고 반영해서 이재명이 과반을 넘겼다.”
→ 이 말은 정치적 논리였지, 수학적으로 이낙연이 이기는 구조는 아니었습니다.

무효표를 분모에서 제외해도 이재명이 더 높은 득표율을 갖게 됨

따라서 이낙연이 역전하거나, 결선투표로 갔을 가능성은 낮음

다만 당시 당규 해석이 논란 소지 있는 방식이었기에,
이낙연 측은 “정치적으로 억울하다”는 인식을 가졌던 것

즉, 이낙연이 이겼을 가능성은 크지 않았고, 이재명이 결선 없이 승리할 구조였다는 점은 바뀌지 않습니다.


-왜 원래 대세였던 이낙연이 기세를 잃었나

2020 말    총리·당대표 지낸 국정 경험, 초반 여론조사 1위    ‘이낙연 대세론’
2021 4 ·7    서울·부산 보궐선거 참패 – 이낙연이 캠프 총지휘    “책임론” 부각, 지지율 급락 

본경선    연속 네거티브 공방(‘명낙대전’)·모호한 메시지    중도·청년층 이탈

결국 “이길 수 있는 후보” 이미지를 잃은 반면, 지방행정 성과·현금성 지원으로 존재감을 키운 이재명은 ‘실리형 개혁가’ 인상을 굳혔습니다.

 

 엘리트주의(엘리티즘)가 정치에 끼치는 부작용을 세 가지 큰 축으로 나눠 설명드릴게요. 
이건 단순히 ‘학벌 문제’가 아니라, 정치 시스템 전반에 영향을 주는 심층 구조입니다.

 

1. 정치의 대중성과 괴리되는 '권위주의적 사고방식'
엘리트주의에 빠진 정치인은 대체로 다음과 같은 사고를 갖습니다:

“우리는 나라를 운영할 자격이 있는 사람이다.”
“대중은 감정적이고, 우리는 이성적이다.”

이런 태도는 다음과 같은 결과를 낳습니다:

1) 유권자를 ‘가르치려 든다’
민심을 ‘설득’이 아니라 ‘교정’의 대상으로 여깁니다.

→ “이건 너희가 잘 몰라서 그래”, “우리가 하면 다 계획이 있다” 식의 태도
2) 대중의 불만과 감정을 과소평가
“포퓰리즘이다”, “정책이 비현실적이다” 같은 말로 일축

→ 그러나 정작 대중은 생존의 문제를 말하고 있는 건데, 공감하지 못함
 결과적으로 엘리트 정치인은 민심과 단절되고,
"소통이 없다", "오만하다", "현실을 모른다"는 비판을 받습니다.

 

 2. 자기들끼리 돌고 도는 폐쇄적인 정치 구조
엘리트 정치 집단은 다음과 같은 ‘내부자 중심 구조’를 강화합니다:

연줄, 학맥, 출신지역 중심 인사 채용

정책 결정 시 자기들끼리 토론하고 결정

당내 권력도 기수·라인·학벌 중심으로 작동

이런 구조는 아래를 배제합니다:

???? 청년 ???? 여성 ???? 비수도권 ???? 노동계 ???? 비정규직 ???? 장애인 ???? 이민자

 정치가 특정 계층의 이익만 대변하게 되고,
사회 전체의 다양성을 반영하지 못하는 폐쇄 정치가 됩니다.

 

 3. 위선적 도덕주의 + 책임 회피
엘리트주의 정치인은 도덕성과 이념을 매우 강조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우리는 정의롭다. 우리는 개혁을 한다.”

하지만 실제로는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습니다:

1) 비리나 실수에 대한 책임 회피
실수하거나 실패해도 “좋은 뜻이었다”, “착한 시도였다”며 방어

정치적 책임보다 이미지 관리에 더 집중

2) 내부 동료는 감싸고, 외부 도전자는 엄격하게 비판
“우리편은 실수, 남의 편은 적폐” 같은 이중잣대

이중성은 정치 혐오와 불신을 불러옵니다

 결국 **“도덕을 팔지만 실제로는 책임지지 않는 구조”**가 반복됩니다.
대중은 점점 정치 자체에 회의감을 가지게 되죠.

 

 

현실 사례: 이재명 vs 이낙연 대립 구도에 비추면?
측면    이낙연계 (엘리트주의적)    이재명계 (대중주의적)
자격의 기준    학벌, 경력, 품격    실적, 투지, 현장감
정치언어    점잖고 원론적    직설적, 감정 섞임
조직 스타일    수직적, 기성 권위 중시    수평적, 민중 중심

  약점    변화에 느림, 거리감    리스크 크고 충돌 유발

-> 이재명이 많은 지지를 받은 이유는, 엘리트 정치에 대한 반발과 피로감이 축적된 결과이기도 했습니다.

IP : 61.101.xxx.67
4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이뻐
    '25.6.14 12:29 AM (211.251.xxx.199)

    이낙연 역시나 나쁜넘이구나

  • 2. 마리
    '25.6.14 12:49 AM (115.136.xxx.15)

    잘 봤어요.
    분석이 좋습니다.

    몰랐던 상황을 알게 되니 속 시원합니다.
    고맙습니다. ^^

  • 3. ..
    '25.6.14 4:31 AM (182.220.xxx.5)

    잘못된 내용을 사실처럼 쓰셨네요.

  • 4. ..
    '25.6.14 4:40 AM (182.220.xxx.5)

    https://www.yna.co.kr/view/AKR20211011049700001
    읽어보세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726545 기름은 괜찮은건지 유행 지겹 6 .. 2025/06/15 3,262
1726544 정청래 의원 응원합니다 14 .. 2025/06/15 1,822
1726543 저는 파리바게트 spc 빵 안 먹은 지 몇년 되었어요 17 음.. 2025/06/15 2,162
1726542 애들이랑 보통 몇 살 때까지 해외여행 다니나요. 9 여행 2025/06/15 1,884
1726541 미용 자격증 문의드린 사람인데요 1 00 2025/06/15 648
1726540 술 끊어야겠어요 2 학씨 2025/06/15 2,746
1726539 정청래 의원은 헌재 '尹 파면'때 국회 탄핵소추단장으로 큰 역.. 14 ㅇㅇ 2025/06/15 3,340
1726538 무직남편 하소연 글올렸는데요 27 000 2025/06/15 7,152
1726537 바뀐세법은 주부는 남편에게 매달 이체받아서 적금 ? 14 주부는 2025/06/15 4,118
1726536 사교육의 핵심은 수학이네요 12 ㄴㅇ도 2025/06/15 3,726
1726535 미지의서울 궁금한거(스포주의) 3 111 2025/06/15 3,741
1726534 바람이 살랑살랑 부는 느낌 5 2025/06/15 1,385
1726533 본인 자신을 돌보고 사랑하세요 9 안타까움 2025/06/15 3,667
1726532 형편상 아이 수학 직접 가르치게 됐어요. 21 저런 2025/06/15 3,431
1726531 자기 생각만 옳다고 믿고 부정적인 사람은 2 ㅇㅇ 2025/06/15 1,246
1726530 李직무 기대감 70%… 민주 46%, 국힘 21% 10 갤럽 2025/06/15 1,591
1726529 질투 없는 분들. 궁금해요 64 ., 2025/06/15 5,626
1726528 오늘 많이 더웠나요 7 ㄱㄴ 2025/06/15 1,791
1726527 유툽보니 상추가 대장암의 원인이 53 ㅇㅇ 2025/06/15 35,318
1726526 선진국들 치매노인 복지는 어느 정도인가요. 5 .. 2025/06/15 1,140
1726525 기초 노령 연금 못 받는 분들 14 궁금 2025/06/15 4,250
1726524 주민등록증 다시 만들려면, 사진 갖고 가면 될까요? 5 ........ 2025/06/15 1,179
1726523 여름에 개문냉방하는 가게 단속하면 좋겠어요 8 00 2025/06/15 1,281
1726522 임대차 계약서 복비 좀 봐주세요 5 ㄷㄷ 2025/06/15 811
1726521 안경 쓰는 분 12 음.. 2025/06/15 2,9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