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내내 아파트에서만 살았는데 마당있는 주택에서 사는게 가능할까요?

.... 조회수 : 3,665
작성일 : 2025-06-13 23:48:10

 

제가 아주 어려서는 사글세 주택에서 산 적이 있다던데 기억에 없구요.
어린이때 가물가물한 첫 기억도 아파트고 이후로 내내 아파트에서만 살아왔어요.
근데 갑자기 단독주택에서 사는게 가능할까요?
과연 적응이 될까 모르겠네요....
반대로 주택에서만 사셨던 분들은 아파트에서 못산다고들 하잖아요.

 

IP : 118.235.xxx.122
11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25.6.13 11:50 PM (112.145.xxx.43)

    단독 주택 어려운게 손이 많이 가서잖아요
    부지런함이 좋은 사람은 단독 주택이 좋을거고
    저 같이 게으른 사람은 아파트가 좋아요

  • 2. 여기저기살아봤음
    '25.6.13 11:50 PM (221.138.xxx.92)

    다 살아요...금방 적응함

  • 3. ...
    '25.6.13 11:52 PM (114.200.xxx.129)

    다 살아지죠.. 금방적응해서 살아지죠. 저 주택에서 살다가 아파트로 이사와서 사는데
    이것도 걍 적응하면 살아지는거구요..

  • 4. 결혼해서
    '25.6.14 12:03 AM (172.225.xxx.227)

    아파트 10년 살고 주택 10년째 사는 중이고 장단점이 있는데
    개를 키우고 부터는 마당있는 주택이 더 좋긴 하더라구요.
    강아지 나이 들어 강아지별로 가면 다시 아파트로 이사갈려구요..

  • 5. 나이
    '25.6.14 12:17 AM (59.8.xxx.68)

    53세부터 단독에 살어요
    마덩에 텃밭 조그맣고 다 시멘트했어요
    관리 없어요
    어느날부터 아무생각없어요
    그냥 편하게 살아요
    아파트 엄두가 안나요
    저 복작거리는대 살수 있을까. 답답하고
    관리비 비싸고
    던독 고칠대 먾다지만 없어요
    뭘 고쳐요
    형광등이야 아파트도 고장나는걸
    지금 60대
    혼자되면 모룰까 그냥 살려고요

  • 6. ii
    '25.6.14 2:09 AM (112.164.xxx.186)

    전 50대 중반부터 살았는데 단독의 매력 말해 뭐해요
    혼자되기전까지는 살려구요
    아파트만 살다가 단독은 너무 좋아요
    봄부터 가을까지 꽃 만발, 종류대로 키우는 재미와
    텃밭에서 수확하는 재미,
    24시간 소음 걱정없이 세탁기건조기 돌리고
    강아지랑 밤에도 뛰어다니면서 놀아요
    단독내부가 아파트처럼 되어있어 불편함 없어요
    전세로라도 살아보셔요

  • 7. ....ㅡ
    '25.6.14 2:17 AM (39.7.xxx.87)

    단독주택 오래살다 빌라도살고 아파트사는데 이제 단독주택 못살아요. 뭔가 막히고 답답한 느낌이 들고요 주차도 너무 불편해요. 비오고 눈오는날 마트 장보고 오면 그걸 느끼죠. 주택살다 장보고 아파트주차장 내리는데 세상에 비오는날 비한방울 안맞았다고 감격스럽던데요. 아파트는 기본적으로 뷰가 어찌됐던 나오게 조경이 되었는데 단독주택은 그런거없잖아요. 저는 서울쪽 단독살아서 좁게 살아서 그런지 몰라도 넘 비추해요. 남편은 고치는거 좋아하니까 하자난거 좋아하는데 그게 툭하면 오늘은 여기.며칠있으면 여기 슬슬 게을러지더라구요. 그럴수록 더 눈에 거슬리구요

  • 8. 원래
    '25.6.14 8:21 AM (222.111.xxx.11)

    친정이 단독주택인데 결혼해서 아파트 살다가 8년전부터 단독주택 살아요. 전 단독주택이 맞더라구요. 아파트는 뭔가 답답하고 주말이나 휴가 때는 밖으로 꼭 놀러다녀야 했는데 단독주택 오고나서부터는 집에서 초록색 마당 보고 있으면 저절로 힐링이 됩니다. 그래서 휴가나 주말에도 잘 안돌아다녀요.
    오밤중에 피아노 연습하고 음악 크게 틀어놔도 되구, 고양이들이랑 한가롭게 놀수도 있고 겨울에는 눈이 바로 보이고 여름에는 빗소리가 들리고 계절을 바로 느낄수 있는게 어마어마한 장점이에요.

  • 9. ㅎㅎㅎ
    '25.6.14 8:53 AM (180.68.xxx.158)

    어릴때 지방에서
    나른한 햇살 받으며,
    마당에서
    이것저것 사부작대며
    소꿉놀이 , 봉숭아 물들이기 뭐 그런거하던
    평화롭고 또 평화로왔던 그시절이 그리워
    마침내 도심 전원주택을 지난주에 매입했어요.
    환갑 낼 모레지만,
    그냥 하고싶은거 하며 살려구요.
    재산증식 ? 아 몰랑.
    그냥 내털달린 개아들, 냥아들들하고 살려구요.
    매우 매우 흥분되고 신나요.
    삶이 무료해 미칠 지경인데,
    내 마당이 생긴다니… 하~
    감사할일이예요.
    결혼후 첫 아파트를 구입했을때보다 더 신나요.

  • 10. 성향이
    '25.6.14 11:19 AM (183.97.xxx.222)

    자연친화적이고 꽃이나 나무, 텃밭 가꾸는걸 좋아하는 취미를 가지셨다면 최고죠.
    주택에서만 자랐고 유럽에서 살때만 유럽식 아파트(한국 아파트와 다른)에서 살았는데 결국 귀국해서 또 주택가에 살아요.
    주택파라 그런지 아파트 단지에 가면 숨 막히는 답답함과 메마른 정서를 느끼고 특히 엘베 타는것...! (엘베 기다리는것도 지겹지만 모르는 사람들과 좁은공간에 붙어 타는것도 끔찍!)

  • 11. ㅇㅇ
    '25.6.14 2:14 PM (49.175.xxx.61)

    전 혼자인데 나중에 단독살까 생각중이예요. 어디 여행안가도 되고 여행하는 기분으로 매일 살고싶어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733021 조갑제 "김문수, 이재명 흔들지 말고 도와야…윤석열 세.. 6 ㅅㅅ 2025/07/08 1,904
1733020 윤가 영장 실질심사 언제 하나요 2 2025/07/08 577
1733019 당뇨전단계 탄수화물 얼마나먹어야하나요? 6 ... 2025/07/08 1,715
1733018 이시영은 왜 이혼한거예요 6 그런데 2025/07/08 7,408
1733017 일리캡슐커피는 2 일리커피 2025/07/08 840
1733016 고등 수학 선행 4 질문 2025/07/08 810
1733015 이시영 전남편, 이혼임신 입장 밝힘 31 링크 2025/07/08 23,953
1733014 이진숙은 국무회의 구성원도 아닌데 늘 참석한대요 22 ㅇㅇ 2025/07/08 3,509
1733013 두통 괜찮을까요? 6 두통 2025/07/08 859
1733012 거의 모든 수술이 로봇수술로 대체되는 중,맹장도 천만원 2 ㅡㅡ 2025/07/08 2,063
1733011 밥 잘안먹는 단순한 아들의 대처법 2 ... 2025/07/08 1,680
1733010 냉장고의 푸드쇼케이스는 필수일까요? 4 ㅇㅇ 2025/07/08 1,010
1733009 또 거짓말, 계엄 국무회의 5분이 아닌 꼴랑 2분. 3 내란툭검 2025/07/08 1,531
1733008 어떤 사람 보면서, 제 자신이 너무 좋아지고 자랑스러워졌어요. .. 4 ㅐ2 2025/07/08 1,840
1733007 낮에 커텐치고 지내시나요? 20 000 2025/07/08 3,256
1733006 맛조개는 어떻게 요리하는걸까요? 7 요리 2025/07/08 826
1733005 희한한 새소리 2 .. 2025/07/08 740
1733004 주책바가지 이웃여자 7 아파트 2025/07/08 2,486
1733003 바오바오 비욘드 토트 바오바오 2025/07/08 899
1733002 여름에 제일 시원한 곳이 대관령인가요? 11 ㄷㄷ 2025/07/08 2,081
1733001 더우신가요? 전 참을만해요 ㅠ 11 Vvv 2025/07/08 2,204
1733000 자궁, 난소 로봇수술하신분 계실까요? (구부리는 동작문의요ㅜ) 12 . . 2025/07/08 1,257
1732999 드디어 김태효 수사!!!! 15 그러다가 2025/07/08 3,526
1732998 시판 삼계탕 뭐가 괜찮았나요? 12 더워요 2025/07/08 1,666
1732997 부모님 댁에 들어가서 사는데 얼마 드려야 마땅할까요? 46 152 2025/07/08 4,9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