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이준석 지지자가 주장한 "중국에게 부동산을 팔아넘긴다"의 팩트 체크

조회수 : 1,302
작성일 : 2025-06-04 00:57:31

 

 

1. 외국인(중국인 포함) 부동산 취득 허용의 법적 근거와 최초 승인

외국인의 국내 부동산 취득 허용 은 1961년 「외국인토지법」 제정으로 시작됐으며, 1998년 6월 26일 법 개정을 통해 허가제에서 신고제로 전환되어 규제가 대폭 완화되었습니다. 이 조치는 IMF 외환위기 이후 외국 자본 유치 필요성과 국제적 토지시장 개방 흐름에 따른 것이었습니다 4 5 6 12 .

1998년 법 개정 은 당시 정부(김대중 정부)가 외환위기 극복과 외자 유치, 경제 활성화를 위해 추진한 것으로, 국회에서 정부 원안대로 통과됐습니다. 특정 정당이나 정치인의 단독 결정이 아닌, 국가적 위기 상황과 국제 기준에 맞춘 정책 변화였습니다 4 5 .

이후 2016년 「부동산 거래신고 등에 관한 법률」이 제정되며 관련 절차가 일원화되었고, 현재는 군사시설보호구역 등 일부 예외를 빼고는 신고만으로 외국인도 내국인과 동일하게 부동산을 취득할 수 있습니다 5 6 12 14 .

 

 

2. "중국에게 부동산을 팔아넘긴다"는 표현의 사실 여부

중국인 등 외국인이 한국 부동산을 취득하는 것은 법적으로 허용되어 있지만 , 실제 중국인이 한국 부동산을 '싹쓸이'하거나 '대규모로 점령'한다는 주장은 과장된 측면이 큽니다. 최근 5년간 전체 아파트·빌라·오피스텔 등 집합건물 매수 중 중국인 비율은 0.4~0.7% 수준에 불과합니다. 2023년 기준 전체 외국인 부동산 취득자 중 중국인이 64.9%로 가장 많지만, 전체 시장 규모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미미합니다 10 .

"부동산을 팔아넘긴다"는 표현은 정치적 과장 에 가깝고, 실질적으로는 외국인(중국인 포함)의 부동산 취득이 전체 시장을 좌우하거나 국가 자산을 '넘긴다'고 보기 어렵습니다 10 .

 

 

3. 최초로 법안을 승인한 주체

외국인의 부동산 취득 허용은 1998년 김대중 정부 당시 정부 주도로 입법되어 국회에서 통과된 것으로, 특정 정당이나 최근 정치인(예: 이준석, 국민의힘 등)과 직접적 연관이 없습니다. 이후 정권에서도 특별한 제한을 두지 않은 채 유지되어 왔습니다 4 5 6 .

최근에는 오히려 외국인, 특히 중국인의 부동산 매입 급증에 대응해  국민의힘 등에서 상호주의 적용, 수도권 토지거래허가제 도입 등 규제 강화 법안이 발의 되고 있습니다 2 9 11 .

 

 

4. 외국인에게 부동산을 팔지 않는 나라의 사례

외국인 부동산 취득을 엄격히 제한하거나 금지하는 나라도 많습니다.

중국:  외국인은 토지 소유가 불가하고, 주택도 1년 이상 합법 거주해야만 취득 가능. 실질적으로는 장기 임차권 형태 1 2 11 .

캐나다:  외국인 주거용 부동산 매입 금지(2027년까지 연장) 7 13 15 .

호주:  외국인은 신축 주택만 취득 가능, 기존 주택 매입 금지, 공실 요금 부과 7 13 15 .

뉴질랜드:  호주·싱가포르 국적자 외 외국인은 주거용 부동산 매입 금지 7 13 15 .

싱가포르:  외국인 주택 매입 시 취득세 20% 추가, 정부 사전 승인 필요 7 15 .

한국은 현재 외국인에게 상대적으로 개방적인 편이며, 이로 인한 역차별 논란이 꾸준히 제기되고 있습니다 2 11 13 .

 

 

5. 상호주의 및 최근 규제 논의

현행법에도  상호주의 조항 이 있으나, 실질적으로 시행된 적이 거의 없고, 최근 국민의힘 등에서 이를 의무화하는 법안이 발의된 상태입니다 2 9 11 .

최근 외국인 부동산 취득 규제 강화(특히 중국인 대상) 요구가 커지면서, 상호주의 원칙 하에 한국인의 부동산 취득을 제한하는 국가(중국 등)에 대해 동일한 제한을 적용하자는 논의가 활발합니다 2 9 11 .

 

 

 

요약

"중국에게 부동산을 팔아넘긴다"는 주장은 과장된 정치적 레토릭 으로, 외국인 부동산 취득 허용은 1998년 김대중 정부 주도로 입법된 국가 정책 변화의 결과입니다. 이준석 지지자 등 특정 정치 세력과 직접적 연관은 없습니다.

중국 등 일부 국가는 외국인 부동산 취득을 엄격히 제한 하고 있으며, 캐나다·호주·뉴질랜드 등도 강력한 규제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한국은 외국인에게 상대적으로 개방적 이지만, 최근에는 상호주의와 수도권 토지거래허가제 등 규제 강화 논의가 국회에서 활발히 진행 중입니다.

외국인(중국인 포함)의 실제 부동산 매입 비중은 전체 시장에서 매우 낮으며 , '싹쓸이'나 '점령'이라는 표현은 사실과 다릅니다 10 .

 

IP : 114.203.xxx.209
1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푸와맘
    '25.6.4 12:59 AM (39.118.xxx.199)

    최근에는 상호주의와 수도권 토지거래허가제 등 규제 강화 논의가 국회에서 활발히 진행 중입니다.
    ---
    신속하게 처리되면 좋겠네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731930 울 강아지는 복숭아를 너무 좋아해요 3 ㅁㅁ 2025/07/04 1,477
1731929 아보카도 오일 어느 브랜드 쓰세요? 3 ㅡㅡ 2025/07/04 838
1731928 맘모톰 회복기간이 어느 정도 인가요? 5 구직자 2025/07/04 877
1731927 보관중인 십자수 액자 버려야겠지요 3 아무래도 2025/07/04 2,102
1731926 병실에서 보호자가 간단하게 먹을 수 있는 먹거리 뭐가 좋을까요 11 식사 2025/07/04 1,310
1731925 인류는 문명적으로 지금 최고의 호사를 누리고 있다 1 2025/07/04 808
1731924 쿨방석? 쿨시트? 써 보신분 계실까요? 쿨방석 2025/07/04 381
1731923 윤썩을 후보때 선제공격발언에 2 ㄱㄴㄷ 2025/07/04 937
1731922 내 나라에 살면서 중국인 주인집에서 세 살긴 싫어 40 TY 2025/07/04 3,352
1731921 지금 아니면 얼마전에 남편이 독일 출장가신 분? 5 ㅅㄱㄴ 2025/07/04 2,051
1731920 신기한 체험 6 놓자 2025/07/04 2,130
1731919 1억정도 1년 보관하는 방법 뭐가 좋을까요 5 지혜 2025/07/04 2,670
1731918 빌딩 한층 통째로 빌려 중식당… 명동 몰려드는 ‘왕서방’ 57 기사 2025/07/04 15,930
1731917 자식들 교육비 공평하게 쓰세요? 12 ㅇㅇ 2025/07/04 2,349
1731916 서로 잘만난거같아요 4 ㅇㅇ 2025/07/04 2,480
1731915 연세드신분들은 자식친척 많이 모이는걸 좋아하나요? 5 어르신 2025/07/04 1,926
1731914 만약에 이재명이 잘하면 13 .. 2025/07/04 1,728
1731913 김건희 무혐의준 검새놈 승진시켜주려고 12 ㅇㅇ 2025/07/04 3,005
1731912 신지 왜 다들 오지랖이에요? 18 2025/07/04 4,226
1731911 코로나 이후 미용실 가격 올랐나요 10 ... 2025/07/04 1,217
1731910 채해병 특검 사무실 앞에서 만난 임 전 사단장과 해병대예비역연대.. 3 참군인 박정.. 2025/07/04 1,349
1731909 호카 운동화 잘 아시는 분 계세요? 굽높이 궁금 7 여름 2025/07/04 1,930
1731908 런던 말고 영국 여행할곳 있을까요? 7 ... 2025/07/04 1,338
1731907 어젯밤에 매장에서 아이스 블라우스를 샀는데요 5 2025/07/04 2,281
1731906 임 운찬 공연 후기중에 5 ㄴㅇㅇㄹㄹ 2025/07/04 2,2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