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인 아버지가 시의원출신으로 시장하고 친해서
공무직(환경) 특별채용에 뽑혔고 시장임기 끝나기전에.. 다른 편한 직으로 보내주기로했다고
공공연히 말하는데..
이거 어디에 신고해야하나요?
본인 아버지가 시의원출신으로 시장하고 친해서
공무직(환경) 특별채용에 뽑혔고 시장임기 끝나기전에.. 다른 편한 직으로 보내주기로했다고
공공연히 말하는데..
이거 어디에 신고해야하나요?
지방직 공무원들 매관매직 말도 못해요. 승진할 때 돈
일정액 정해져 있어요. 다들 알죠.썩어도 너무 썩었어요. 증거 확실하게 잡고 움직이세요.
행정안전부 ‘공직선거비리 익명신고센터’
- : 지방자치단체(시·도, 시·군·구) 및 행정안전부 소속 공무원의 비리, 채용비리 등을 익명으로 신고할 수 있습니다.
- **신고 방법**
행정안전부 홈페이지 내 신고센터에서 신고 가능하며, 신고자 정보는 입력하지 않아도 됩니다.
- **특징**: 신고 내용은 공직 감찰에만 활용되며, 처리 결과는 회신하지 않습니다.
비방, 욕설, 상업적·추측성 내용 등은 접수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윗분 말씀대로 증거가 확실해야지요.
- **국민권익위원회 채용비리통합신고센터**: 공공부문 채용비리 전반 신고(044-200-7127).
- **행정안전부 공직선거비리 익명신고센터**: 지방직 공무원 채용비리 포함, 익명 신고 가능.
- **해당 지방자치단체 인사부서**: 직접 문의 및 신고.
신고 시에는 구체적인 사실과 증거를 함께 제출하면 보다 신속하고 정확한 처리가 이루어집니다.
비일비재.지자체비리
도대체 왜 필요한가 싶어요
차라리 유능한 지자체 공무원 더 뽑는게 나음
시의원들 여기 주부님들보다 나은사람 별로 없을걸요
유능한 공무원들에게 갑질에
월급 혜택 등 쓰는 공금 어마어마
공무직은 공무원 아닙니다
공채로 보는 자치단체도 있지만 대부분 면접만 봅니다 빽이지요
우리가 흔히 알던 기간제, 임시직,계약직이 변경되어 무지계약직, 공무직이 된겁니다
일편하고 책임 없고......단 승진도 없고 호봉만 올라가는...암튼 그러합니다
공무직은 80% 이상이 빽으로 들어옵니다
90프로 다 그래요
지방자치 생긴뒤로는 안전하게 공무원 채용으로 돈벌어요
건설업자에게 돈 잘못받으면 감옥가나 특별채용은 티안나게 챙길수 있으니까요!
십년전쯤 공무원인 울언니한테 총학생회 회장 출신 선배
구청장 안부 물었더니
기능직 채용미끼로 돈 받았는데 뜻대로 안되서 돌려줘야하는데 배달사고가 나서 다 안돌려줘서 감옥갔어요
그래서 요즘은 직계가족이 비서하는 경우도 있어요
기능직만 아니고 일반 직원들 가족들이 차린 회사에 일감 몰아주기도 심하죠.
돈단위가 달라요.
김건희가 21그램에 이것저것 몰아준것처럼 능력도 안되고 일은 딴곳에 하청줘서 하는데도 수의계약으로 몰아줘요.
국힘당 아니고 민주당이 지자체장인 지방호족사회들은 여전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