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요리할때 정확히 계량해서 하시는 분들 계시죠?

... 조회수 : 671
작성일 : 2025-05-11 20:49:00

여러번 시도해봤는데 저는 잘 안되더라구요.
재능과 지능의 영역이라고 봅니다.

유튜브 영상같은거 찾아보고 그걸 기반으로 (찾아보고 내맘대로 하기)

대충 손가는대로 양념하다가 짜면 야채 좀 넣거나 물 좀 붓고 밍밍하면 조미료도 좀 넣고
이렇게 수십년 살았더니

도저히 못먹고 버려야하는건 거의 없어졌고 (많이 버렸죠. 밥하다 울었던 적도)

한달에  한번쯤은 기차게 맛있게 되고 대부분 그냥 먹을만합니다.

실은 꼬막무침을 했는데 넘 맛있게 된거예요

(밥 딱 반공기만 먹는 남편이 대접으로 밥을 퍼서 먹었어요. 아주 가끔있는 일)

꼬막무침해드셔보세요.  라고 글을 써볼랬는데

레시피 주시죠! 라는 댓글 주실것 같더라구요.

그래서  

아  나는 왜 계량을 안하는가 싶어서  주절주절해봅니다.

지난번에 했지만  이번엔 너무 맛있었고 다음엔 또 맛있을 가능성이 있을까 싶은 꼬막무침의 추억

킥은 좋은 들기름 많이, 간장과 미림의 적절한 조화, 너무 짜지않게,고추가루 범벅하지 않기

꼬막은요.

많이 사서 살짝 삶아 까서 냉동해두면 (금방 삶은것 같은 맛은 아니지만 충분히 맛있어요)
무침도 해먹고, 솥밥도 하고, 강된장에도 넣고 부침개도 해먹고 든든합니다.
끝.

 

 

 

 

 

IP : 122.38.xxx.150
5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유투브
    '25.5.11 8:55 PM (1.237.xxx.119)

    만개의 레시피는 조금 간을 덜했다가
    먹어보고 추가하는 편입니다.
    기본은 고맙지만 개개인의 성향이니까요?
    하지만 제과제빵레시피는 잘 몰라서 꼭 계량합니다.
    일반적인 음식은 싱겁게와 알맞게의 중간을 선택하고 싶습니다.

  • 2. 음..
    '25.5.11 8:57 PM (125.132.xxx.178)

    라면 끓일 때 아직도 물 계량하고 시간 설정해서 끓입니다 ㅎㅎㅎㅎㅎ 다른 건 대충 눈대중으로 해영.

  • 3. 하늘에
    '25.5.11 9:02 PM (210.179.xxx.207)

    저요.
    결혼 23년인데 계량컵, 계량스푼, 저울까지....
    라면 끓일때도 써요.
    좋은 레시피를 찾으면 프린트해서 파일에 넣어두고요. 자스민님 책같은 거 두고 정말 잘 활용해요.

    음식이 늘 기본 이상은 하고, 늘 일정해요.

    저는 배달이나 포장, 외식은 별로고 집밥이 좋은데... 이런 맛에는 뭐가 들어갔겠다... 그런 것도 잘 못하거든요... 눈대중도 그닥이라 무조건 레시피와 계량도구를 이용하는 거죠.

  • 4. 재능
    '25.5.11 9:36 PM (1.237.xxx.119)

    뛰어난 요리는 정말 타고난 재능 아닐까 싶어요.
    제친구는 항상 같은 맛을 유지하는 비결이 머리가 좋아서 인가 싶어요.
    매번 자주 하는 김치인데도
    짜지 않게 싱겁지 않게의 경계를 잘 알아내니까요.
    우리가 또 짠걸 아주 싫어해서 그런데 싱거우면 못먹어요.
    물한방울 안 들어가고 과일즙과 싱겁게 만으로도
    맛이 변질 되지 않게 보존이 가능한 김치를 고마워합니다.
    좋은 재료와 부지런한 재능에 감탄합니다.

  • 5. 50중반
    '25.5.11 10:11 PM (58.123.xxx.102)

    저는 계량안하고 바로 부어 넣어요.
    요리한지 거의 40여년 차네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714108 신축아파트 편의 시설 중 15 2025/05/11 3,804
1714107 할머니용돈순서 7 부글부글 2025/05/11 2,132
1714106 전관예우는 누가 언제 만든거예요 9 2025/05/11 1,397
1714105 감사해요 묵은 깍두기 해결중입니다 6 깍두기해결 2025/05/11 2,229
1714104 중고등 학교 선생님 계신가요?? 5 독감 2025/05/11 1,805
1714103 어쩌다보니 중드덕후가 되어서 쓰는 글 58 지나다 2025/05/11 3,107
1714102 쑥인절미의 쑥의 황금비율? 3 .. 2025/05/11 1,428
1714101 요리할때 정확히 계량해서 하시는 분들 계시죠? 5 ... 2025/05/11 671
1714100 이제 kfc 치킨은 별로네요 13 치킨 2025/05/11 4,184
1714099 아까 떡볶이 글 올렸는데요 9 떡볶이 2025/05/11 2,226
1714098 키움 열성팬 직업이 뭔지 아시는.분 1 궁굼 2025/05/11 634
1714097 가족간병 해보신 분 계신가요? 5 태권브이 2025/05/11 2,533
1714096 아들 곁에 농약 20병...치매 노모 돌보다 "인생 포.. 30 간병 2025/05/11 21,955
1714095 위고비 효과보신 분들 계신가요 ? 8 000 2025/05/11 3,193
1714094 남편과 여행이 젤 재미있어요 33 이상 2025/05/11 7,723
1714093 징하게 징글징글한 한덕수 4 ㅡᆢㅡ 2025/05/11 3,546
1714092 얼마전에 댓글에 달린 책 제목 정보 부탁드립니다 (아이들 교우관.. 3 0011 2025/05/11 624
1714091 서비스로 받은 콜라 택배 기사분 드리면 23 ㅇㅇㅇ 2025/05/11 3,692
1714090 독수리 오형제, 하니 8 어머 2025/05/11 2,376
1714089 노견이 갑자기 밥을 잘 안먹어서 걱정이에요 10 걱정 2025/05/11 1,250
1714088 오늘 황광희씨를 봤어요 30 후리지아향기.. 2025/05/11 21,191
1714087 고부갈등 상황에 대한 대처 6 …. 2025/05/11 2,665
1714086 숀 코네리 멋있어요. 4 2025/05/11 1,627
1714085 부동산이 흥하면 나라가 망하는 이유 6 ... 2025/05/11 2,359
1714084 너무 많이 먹는게 문제 8 2025/05/11 2,6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