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25.5.1 12:44 PM
(211.235.xxx.238)
-
삭제된댓글
모르고 전학하셨나요?
일반고에 많은걸 바라지 마세요.
2. ..
'25.5.1 12:46 PM
(1.225.xxx.102)
일반고 다니는분들 조언필요합니다.
맨땅에 헤딩인데 지금ㅠ
개인이 따로 생기부에 넣을 활동 안하면
텅텅비게되나요?
그럼 계속본인이 탐구해서 갖고가서 샘한테 써달라해야하나요? 그게가능한가요
3. 공립이면
'25.5.1 12:47 PM
(182.219.xxx.35)
거의 알아서 챙겨야 할걸요. 사립은 그나마 생기부 챙겨주는
편이에요.
저희아이 학교 경우 사립이라 활등 등 신경 많이 써주는데
주변 공립학교 얘기 들어보면 생기부 몇줄 써주고 샘들이
신경 안쓴다고 들었어요.
4. ㅇㅇㄱ
'25.5.1 12:48 PM
(140.248.xxx.6)
그래서 내신 빡쌔도 특목 가잖아요 학종때문에요
일반고는 정시 노려야죠
아님 수억주고 컨설팅에 낚일수 있으니 조심하세요
5. ..........
'25.5.1 12:48 PM
(112.147.xxx.197)
-
삭제된댓글
특목고 생기부도 내용이 학교활동위주라 뻔해 보이고 그닥 많이 인정 안해주는듯해요. 일반고는 본인이 적당히 알아서 챙겨야하구요. 생기부에 너무 열정 쏟지 말고 결국 성적이니 성적에 신경을 더 쓰는게 윈
6. ..
'25.5.1 12:49 PM
(1.225.xxx.102)
생기부 전혀 신경안쓰고있다가
완전 지금 멘붕이에요
어디서부터 어디까지 내가 개인적으로 챙겨야햐는건지
7. ,,,,,
'25.5.1 12:49 PM
(218.147.xxx.4)
그거 모르고 전학했어요??
그런게 불평이면 특목고에서 남았어야죠
그리고 텅텅비지 않아요 할애들은 다 한다는
8. ..
'25.5.1 12:51 PM
(124.60.xxx.145)
모르고 전학가신거에요?
특목은 생기부 신경써주지만 일반은 안그래요.
그래서 자사고인 저희학교는 우리는 학종위주다 그래요..
9. ..
'25.5.1 12:52 PM
(1.225.xxx.102)
일반고 선배맘들 조언필요합니다.
10. ....
'25.5.1 12:53 PM
(175.116.xxx.96)
평범한 공립 일반고는 첫째도내신,둘째도 내신 챙겨야합니다.
그거밖에는 답이 없어요;;;
저희 아이학교도 인서울 중상위권이상 대학은 거의다 교과로갔어요.
그리고 몇개안되지만 학교에서 하는 행사는 웬만하면 무조건 참가하고 수행중에 교과세특에 쓸만한거 있으면 열심히 준비해가고.
(문제는 해도 제대로 안써주시는 선생님들도 계십니다만ㅜㅜ)
하여간 무조건 내신챙기고 학교에서 하는행사 참가하고 수행열심히하고...그게 끝이에요.
공립일반고는 내신이 생명이라서요
11. ..
'25.5.1 12:53 PM
(211.235.xxx.238)
-
삭제된댓글
텅텅 비다뇨.
중간중간 수행평가가 나오긴 해요.
특목고처럼 떠먹여주고 차별화하기 어려워서 문제지만요.
개인이 추가로 가져가도 신경도 안써주는 샘도 있고요.
그래서 특목고는 세특이 무기이고, 일반고는 내신이 무기에요.
12. ..
'25.5.1 12:54 PM
(1.225.xxx.102)
-
삭제된댓글
윗분 같은 조언필요했어요 감사요
13. 하늘에
'25.5.1 12:55 PM
(210.179.xxx.207)
학교 수업이나 활동 내에서 해야 하는 거라서요.
저희 아이는 음미체까지 거의 모든 수행을 학술제 발표하듯이 했어요. 저희 아이 발표 ppt로 선생님들이 수업 자료로 쓸 정도였고... 아이가 그런걸 즐기는 스타일이었어요. 저는 내신이 중요하니 자라고 뭐라 하고 아이는 재미있어서 더 하는 스타일...
영과고 탈락자들이 많은 학교라 상위권 내신이 힘들었지만 나이키 곡선이었고요.
3학년 초에 생기부 들고 컨설팅 갔더니... 교과목 이름이 아니면 전사고에서도 상위권 아이들 생기부와 헷갈릴 것 같다고 할 정도였어요.
학종으로 카이 상경 최초합....
학종하던 아이들 중에 그런 걸 즐기던 아이들이 대학 가서도 성적 좋고, 이런 저런 활동 해서 지원 받아 해외 공부도 하고 좋더라고요.
14. ..
'25.5.1 12:56 PM
(1.225.xxx.102)
175.116님 같은 조언필요했어요 감사요
그럼 일반고는 학종은 거의 못가고
거의 정시나 교과인가요?
그럼 애초에 그냥 생기부는 버려도될까요?
그거 채우려면 탐구주제찾고 쓰고..시간오래걸릴텐데
ㄱㄷ시간에 차라리 내신수능공부하는게 낫나요
15. ...
'25.5.1 12:56 PM
(183.102.xxx.5)
일반고 근무 했었는데 챙겨갈 애들은 다 잘 챙겨가던데요. 교과시간 조종례시간에 듣고 알아서 신청해요. 홈피에 올라오는 과목별 계획안 보시면 교과마다 주최하는 행사가 많아요. 그거 참가하면 필수로 채워지게 되요.
16. ..
'25.5.1 12:56 PM
(175.116.xxx.96)
그리고 평범한 일반고라도 내신이 1점대애들은 선생님들도 세특도 신경써서 써주십니다;;;;
무.조.건 내신챙기고 몇개없는 학교활동 이라도 빠지지말고 수행에 쓸만할거리있으면 잘챙기고...그거입니다
17. ..
'25.5.1 12:57 PM
(1.225.xxx.102)
210.179님은
일반고에서 카이 상경이면
내신이 극상위였을것같은데요
18. ..
'25.5.1 12:57 PM
(119.149.xxx.28)
일반고맘입니다.
주로 학기중에는 한학기 혹은 일년단ㅇ 탐구 프로그램 신청해서 참여하고
학기말에 교과별 주제발표 보고서 써서 발표하고 제출하고
수업량유연화 프로그램 참여하고 보고서 작성
또 중간중간 모집하는 활동이 있어요
그거 참여해서 보고서 작성하구요
이런식으로 합니다
19. ..
'25.5.1 12:59 PM
(211.235.xxx.238)
-
삭제된댓글
생기부를 버리다뇨.
교과에도, 정시에도 서류가 들어가는 학교가 있어요.
점점 많아질거래요.
특목고만큼은 아니지만 최선을 다해야죠.
20. ...
'25.5.1 1:00 PM
(175.116.xxx.96)
참고로 아무리 일반고라도 생기부는버리면 안됩니다.
일반고 생기부 챙기는데 솔직히 특목처럼 절대시간많이들지않아요.
내신과 병행 가능합니다.
그리고 내신1등급 애들은 학교행사도 다 챙겨요.
진짜 평범한 일반고지만 중경외시급은 학종으로도 갑니다.
스카이.서성한까지는 대부분 교과지만요
21. ㅁㅁ
'25.5.1 1:01 PM
(211.186.xxx.104)
그냥 일반고에서는 교과로 수능최저 맞춰서 가는게 낫다고 봐요
작년에 일반고에서 입시 끝냈는데 솔까말 주변 지인하고 이야길 해 봐도 학종은 일반고에서 어렵지 않나 싶구요..
사립도 나름이라 요즘 선생님들 주요 과목도 계약직 쌤으로 돌리고 일년이년 있다가 가는 쌤들이 얼마나 생기부 써주겠어요
복사 하기만 안해도 다행이고..
저도 애가 일반고서 생기부에 목숨걸어서 별짓을 다 했는데 컨설팅 가보니 엉망이였구요..(일반고는 거의 생기부 수준이 처참하다고..울아이 뿐안 아니라..)
결국엔 입시도 학종은 전부 탈락..
그때 컨설팅에서 그러더라구요
어딜가나 장단이 있고 선택한 이상 거기에 장점만 보고 가는거라고..
일반고로 옮기셨을땐 생각했던 장점이
있으셨을꺼고 그것만 보고 가세요..
22. 공립이면
'25.5.1 1:02 PM
(182.219.xxx.35)
교과로 가거나 생기부 스스로 챙겨야해요.
동아리활동 진로활동 공동교육과정도
열심히 수강하고요. 간간히 컨설팅 받아보고요.
일반고에서도 내신 높고 생기부 기본이상이면
학종도 잘갈수 있어요.
23. ...
'25.5.1 1:02 PM
(39.7.xxx.196)
일반고 선생님들 잘 해 주시던데요
자사, 일반 보내본 엄마입니다
24. oo
'25.5.1 1:03 PM
(118.220.xxx.220)
일반고 기본적인건 제시되지만 알차게 채우려면
본인이 알아서 챙겨야해요
저희 아이는 스스로 잘 챙겨서 컨설팅 받으니 이렇게 좋은
생기부 드물다 할 정도로 채웠어요
그런데 학종으로 가실거면 왜 일반고로 전학을 하시나요?
최상위권 대학은 교과여도 학종을보니 생기부까지 챙겨야 해요
25. ㅇㅇㅇ
'25.5.1 1:04 PM
(175.210.xxx.227)
일반고에서 내신 잘 받아 교과로 가는거에요
생기부 열심히 챙겨도 교사수준미달이라 생기부작성도 엉망이에요
다 장단점이 있어요
26. 정시 보내라뇨.
'25.5.1 1:04 PM
(182.221.xxx.40)
-
삭제된댓글
교과도 있는데 일반고는 정시 보내야 한다니 수시 전형이 학종만 있는건 아닌데 이상한 얘기 하시네요.
27. 하늘에
'25.5.1 1:06 PM
(210.179.xxx.207)
내신이 극상위권이 아니었어요.
그래서 생기부때문에 카이 상경은 쓰면서도 서울대는 안쓰고 안정권을 하나 더 쓸 정도...
선생님들이 다 놀랄 케이스였죠.
28. 하늘에
'25.5.1 1:12 PM
(210.179.xxx.207)
완전 옛날 아니고 지금 3학년이예요.
29. 텅텅
'25.5.1 1:14 PM
(110.12.xxx.42)
비는건 아니고 일반적인 나열식 생기부가 되는거죠
수행에 신경을 쓰시고 나열식이 아닌 확장을 시켜보세요
일반고는 직접 떠먹어야합니다
누구도 먹여주지 않아요
30. ...
'25.5.1 2:02 PM
(175.120.xxx.96)
-
삭제된댓글
고교학점제 되면 어떻게 될까요?
31. ...
'25.5.1 2:07 PM
(211.179.xxx.191)
제일 일순위는 학생이 스스로 발표도 하고 책도 읽고 수행 주제도 잘 찾고 학교에서 하는 사소한 행사도 다 참여해야 겨우 생기부 내용 채워요.
32. ...
'25.5.1 2:15 PM
(39.125.xxx.94)
동아리 활동에서 그럴 듯한 주제로 연구하기도 하고
일반고도 샘들이 생기부에 적을 숙제 내 주는데요
하는 애들이 한 반에 몇 명 안 돼서 그렇지.
담당샘한테 가서 물어봐야 하지 않을까요.
입시는 내신이 갑이니까 무조건 내신 1등급 받을 각오로 하구요
요게 제일 중요해요
33. 학년따라
'25.5.1 2:20 PM
(106.101.xxx.213)
고1이라면 5등급제니까 내신 세특 수능 다 비슷한 비중으로 중요하고요,
고2.이상이라면 아이가 탁월하게 수과학 잘하지 않는 이상 수시전형 준비시키며 수능최저 맞추도록 내신외 실력 키워야겠죠
수시는 교과보다는 최대한 학종(아무리 특목이 우세라해도)이 학교 높여가기에 유리합니다.
제 아이는 학교다니며 진로도 한 길로 못잡아 학교행사 중구난방으로 참여해 생기부 메리트 없었고 이과인데 과학 성적이 가장 낮아서 결국 6교과로 써서 대학갔는데요,
주변 아이 친구들 중 성적은 더 낮아도 학종으로 더 높은 대학 간 애들이 적지않더라구요.
참고로 저는 학원을 운영하고 있는데요,
중이 제 머리 못 깎는다고 정작 내 아이는 제가 유도하는 방향대로 안 따라 오더라구요ㅜ
제 생각엔, 아이가 만약 고2 라면
지금이 컨설팅 한번 받기 가장 좋은 학년입니다.
고2때 보통 내신성적이 좀 떨어지기도 하고
생기부도 일목요연하게 정리되는 애들과 그렇지않은 애들로 나뉘는데요
고3되서 수시컨설팅 정시 컨설팅 받는건 큰 의미는 없더라구요
컨설팅 비용도 절대 큰 돈 쓰지마세요.
성적별로 갈 수 있는 학교들 대략 데이타 비슷하게 다 나와있습니다.
일반고라면 수시가 절대적으로 유리하지만
수시로 갈지 정시로 갈지 결정하는 것도 고2때 방향 잡는게 좋습니다
질문에서
학교가 생기부관리 해주는 역할과 책임에 대해 물으셨는데요,
좋은 물건 살때 여기저기 발품 팔아 직접 알아보는게 최선이듯
일반고는 학생이 관심갖고 주도적으로 챙겨야해요.
다만 가고싶은 대학과 학과에 합당한지 뭐가 부족한지 등에
맞춰봤을때 위에 말했듯 고2 때가 점검하고 부족한부분
바로잡기에 좋다는 말이였습니다.
한 가지 더 팁을 드리자면,
챗지피티 많이 활용해보세요
아주 기본적인 부분부터 세세한 정보까지 하나하나 묻다보면 많이 알려줄 겁니다. 이 방법도 사실 큰 도움이 될 수 있어요
34. ......
'25.5.1 2:48 PM
(118.235.xxx.41)
학교마다 다르고 교과선생님마다 다르고 다 다르니 일반고는 이렇다 한마디로 할수는 없어요.
그런데 아무리 안챙겨준다 하는 학교여도 상위권 아이들은 관심갖고 잘 챙겨주게 되어있습니다. 모든 학생들을 다 챙길순 없는거죠. 입시 전혀 관심없고 공부 안하는 학생들도 많고 정시파도 있고 내신 엄청 좋아서 6교과 쓰려는 아이들도 있으니까요.
어찌됐든 텅텅 빌 일은 없구요. 계속 하는 수행평가, 수업태도, 발표, 보고서 등등 다 기록해서 써줍니다. 잘 챙기려면 학교에서 뭘 해줄까 기다리지 말고 스스로 해야죠. 이번 학기 수업중에 어떤 부분을 조사해볼지 생각도 해보고, 수행평가 한게 있으면 그걸 더 발전시켜 보고서 작성해서 내기도 하고, 선생님 찾아가서 질문도 하고, 수업시간에 손들고 발표도 하고... 이런게 다 들어가는거죠.
동아리도 마찬가지구요.
또 학교에 프로그램같은거 있음 적극적으로 참가도 하고, 하다못해 금연교육 이런거 듣고서도 보고서 작성해서 내고... 다 하는겁니다.
보통 내신시험끝나면 그후 1~2주동안 집중적으로 작성해서 내구요. 연말에 생기부 마무리시점에 부족한 부분 없나 생각해서 보충보고서도 내고 캠페인도 하고 별거별거 다 합니다.좋은 학교 학종 쓰려면 정말 적극적으로 움직이셔야해요
35. Iii
'25.5.1 3:45 PM
(106.101.xxx.246)
댓글들 감사합니다
컨설팅 비용 써야하나 고민했는데..
36. 곰돌이
'25.5.13 7:42 AM
(49.161.xxx.92)
댓글들 보고 도움 많이 받아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