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왠일이래요. 디자이너들 예술가들 대부분 백수될것 같아요.

충격 조회수 : 23,828
작성일 : 2025-04-27 08:07:39

요새 AI로 패션 관련 알고리즘이 떠서 계속 보는데 너무 아름다워서 진짜 놀란다니까요.

https://youtube.com/shorts/G6So1HETtak?si=_iCCUUHtLCEAIe55

https://youtube.com/shorts/oI50vkIFai4?si=HwzNzXwaPUsWMGcs

https://youtube.com/shorts/7enXaS_KLF8?si=jRpCZGJ2FQUfV6yu

https://youtube.com/shorts/cbnh-69fasM?si=yIRqf2YOt1_k-GQI

 

한복이 이렇게나 고급스러웠나요? 지금 저거 보면 샤넬 루이비똥 구찌 등 해외 명품 회사 디자이너들 솔직히 밥줄 걱정 할 거 같아요.

전 태어나서 한복이 저렇게 아름답다는 거 처음 깨닫네요.

 

 

IP : 223.38.xxx.84
91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25.4.27 8:10 AM (124.49.xxx.76)

    저도 아래 링크 걸었지만 디자인이나 이런 분야에서는 너무 섬세하고 창조적이어서 놀라네요

  • 2. 다 아름답지만
    '25.4.27 8:13 AM (223.38.xxx.4)

    첫번째 베르사체는 정말 아름답네요 너무 아름다워요 날씨

  • 3. 첫링크의
    '25.4.27 8:14 AM (223.38.xxx.180)

    디올은 드레스 대용으로 입어도 될 듯 하고요.

  • 4. ..
    '25.4.27 8:16 AM (118.235.xxx.232) - 삭제된댓글

    다 망한다는건 1차원적인 생각.
    단순 하청하는 작업자들은 다 망할거예요
    AI를 활용하고 기획할줄 아는 창작자는 더 뜰거구요
    단순히 챗GPT엑게 명령 오더하는게 활용이 아님.
    산업은 또 그런 지표를 따라 디테일하게 나아갈겁니다.

  • 5. 맞아요
    '25.4.27 8:16 AM (211.234.xxx.152)

    화가 망했어요
    더 섬세하고 창의적인 작품을
    바로바로 만들어요
    심리학자도 더 상담 잘해줘요
    의사도 진단이 더 정확할 듯해요
    수술까지도요

  • 6. 두번째링크
    '25.4.27 8:16 AM (223.38.xxx.182)

    생로랑 너무 이뻐요.
    프라다의 역삼각형 마크를 저고리 고름으로 활용한 것도 대박 아닙니까?

  • 7. 점둘님
    '25.4.27 8:18 AM (223.38.xxx.182)

    저도 이제까지 하청업체 정도 망할 줄 알았거든요. 근데 이제까지 수없이 아름다운 한복들을 봤음에도 난 저렇게 아름다운 한복은 본 적이 없어요. 저렇게 아름다운 한복들은 태어나서 처음 봐요.솔직히 해외 명품 브랜드가 비싸니까 예쁜가 보다라고 생각했는데 저거 보니까 진짜 예쁘네요.

  • 8. .....
    '25.4.27 8:22 AM (124.49.xxx.76)

    요즘 수술에도 로봇이 하는 수술이 있잖아요 병원에요 앞으로 미래에는 어떻게 될지 상상할수 없는 시대가 올거 같아요 그것을 활용하는 나쁜 사람들도 있잖아요

  • 9. 세번째링크
    '25.4.27 8:23 AM (223.38.xxx.182) - 삭제된댓글

    에르메스 여자 한복 제일 자연스럽게 아름답고
    구찌 남자 한복은 완전 고급스럽고 남성스러움. 이제까지 퓨전사극에서 세자나 왕들 한복을 정말 아름답게 표현하던데 비교 불가로 이게 훨씬 더 아름답네요.

  • 10. 세번째링크
    '25.4.27 8:25 AM (223.38.xxx.182)

    에르메스 여자 한복 제일 자연스럽게 아름답고
    구찌 남자 한복은 한복느낌 그대로 살리면서도 완전 고급스럽고 남성스럽고 심지어 아름답기까지.
    이제까지 퓨전사극에서 세자나 왕들 한복을 정말 아름답게 표현하던데 비교 불가로 이게 훨씬 더 아름답네요.
    이 생각 드니까? 이제 패션 디자이너들부터 시작해서 창의적인 직업은 정말 살아남기 어렵겠어요.

  • 11. ..
    '25.4.27 8:25 AM (118.235.xxx.156) - 삭제된댓글

    이미 방송에 가수들 노래 튜닝 거의 대부분 하던데 앞으론 노래 부르는 가수나 성악가도 필요없겠어요.
    Ai 훈련시켜 다양하고 독특한 보이스호 노래 시키면 되니까요

  • 12. 네번째
    '25.4.27 8:31 AM (223.38.xxx.48)

    원래 톰브라운이 약간 양아치 느낌인데 한복에다 톰 브라운을 접목시키니까 톰브라운의 그 양아치 느낌이 사라지고 한복 역시 무거운 느낌이 사라지고 둘 다 시너지 효과가 큰데요. 너무 귀엽고 예뻐요.

  • 13. 000
    '25.4.27 8:32 AM (121.188.xxx.163)

    저작권 보호라는것을 모르는군요 2000년 초 소리바다 같은게 생기고 무료로 음악 다운받다가
    저작료 문제 생기고 지금은 돈내고 음악 다운받죠.


    인공지능때문에 저작권 보호 법으로 더 강화 될겁니다. 지브리 같은것도 상업적으로 이용하면
    못쓰게 되겠죠

  • 14. ...
    '25.4.27 8:37 AM (175.194.xxx.151) - 삭제된댓글

    디자이너가 ai 를 이용해 상품화 하겠죠
    근데 그림으로 그려진것 하고 실제 옷으로 만드는건 다릅니다

    만드는 영역은 ai가 못 따라옵니다
    특히 바느질이요

  • 15. 결국
    '25.4.27 8:37 AM (223.38.xxx.139)

    기댈곳은 저작권법뿐인가요.
    그런데 저작권법이 적용되어도 이미 인터넷검색등으로
    저작권을 벗어난 사용들이 되고 있죠.
    앞으로 AI가 스마트폰 보급보다도 더 빠르게 일반 사람들에게 침투할 거 같은데 저작권으로 얼마만큼 막을 수 있을라나요?
    이미 의료 같은 고급 지식도 AI에 다 오픈되어 있는데
    특정한 분야만 저작권으로 막는 게 가능할까요.

  • 16. 223.38
    '25.4.27 8:38 AM (121.188.xxx.163)

    상업적으로 이용하면 막아야죠. 방법은 그것밖에 없어요.

    법이 강화 되는수 밖에요

  • 17.
    '25.4.27 8:39 AM (223.38.xxx.243)

    디자이너가 ai 를 이용해 상품화 하겠죠
    근데 그림으로 그려진것 하고 실제 옷으로 만드는건 다릅니다

    만드는 영역은 ai가 못 따라옵니다
    특히 바느질이요



    ㅡㅡㅡㅡㅡㅡ
    글쎄요. 디자이너가
    AI를 이용해서 디자인을 하기에는, 즉 AI를 보조 역할로 쓰기에는 이미 AI가 웬만한 디자이너를 다 뛰어넘는 거 같은데요.
    그리고 바느질은 사람이 하는 게 아니고 재봉틀을 돌리는 거잖아요. 그런데 웬 바느질 차이가 생기나요

  • 18. 전세계가
    '25.4.27 8:44 AM (223.38.xxx.162)

    다 같이 저작권으로 ai와 싸운다고 가정했을때

    저작권이 적용되었을때의 소비자들이 지불해야 할 비용 속도 제품질과 ai를 활용했을때의 비용 속도 제품질을 비교하면
    저작권으로 ai를 막기에는 어려울것 같아요.
    저작권비용이 엄청난데 비해 ai는 거의 무료잖아요.
    게다가 만들어 내는 속도는 더욱 비교불가이고
    결과물 역시 왠만한 예술가들보다 월등하니까요

  • 19. 모르시네
    '25.4.27 8:45 AM (211.199.xxx.10)

    어느 회사 명품 스타일로 한복을 튜닝해 보라고 명령했으니 저렇게 나오는 거죠.
    AI에게 명품스타일 배제하고 한복 스타일을 현대적으로 만들어보라하면 명품티없이 완전 휼륭한 작품 만들겁니다.
    여기서 저작권이 왜 나와요?
    그리고 앞으로 디자인은 AI에게 맡기면 되는데 실제 바느질과 품질관리가 문제가 되겠죠? 오히려 숙련된 단순노동=고금기술자를 실제 인간이 해야할 겁니다.

  • 20.
    '25.4.27 8:47 AM (211.234.xxx.190)

    그닥 명품 브랜드 이름 없으면 너무너무 이뻐보이지는 않은데..
    제가 멀 모르는건지..
    한복의 둥근 선의 미학이 거의 없고 직선적이기만한 서양 옷을 따라만든 억지스러움이 ..
    흠..

  • 21. ㅇㅇ
    '25.4.27 8:48 AM (106.102.xxx.106)

    부자들은 사람이 디자인하고 만든 한정판 옷 입고
    그렇지 않은 사람들은 AI 묻은 대량생산된 옷 입고..

  • 22. 0000
    '25.4.27 8:48 AM (121.188.xxx.163)

    저작권이 적용되었을때의 소비자들이 지불해야 할 비용 속도 제품질과 ai를 활용했을때의 비용 속도 제품질을 비교하면
    저작권으로 ai를 막기에는 어려울것 같아요.
    저작권비용이 엄청난데 비해 ai는 거의 무료잖아요.-


    무료로 못쓰게 되는거죠 상업적으로 이용하면 과태료 벌금 처벌 받는거구요

  • 23. 그리고
    '25.4.27 8:49 AM (223.38.xxx.40)

    무엇보다 전 세계가 AI 패권 전쟁을 하고 있지요. 우리나라처럼 자원이 없는 국가는 특히나 AI에서 선점을 하기 위해서 더욱 노력을 할 거라 저작권으로 AI 활용을 막는다는 건 국가가 나아가고자 하는 방향과 맞지가 않을 것 같아요.

  • 24. 0000
    '25.4.27 8:49 AM (121.188.xxx.163) - 삭제된댓글

    제가 소리 바다 예를 들었어요. 그때인터넷 막 보급되고 음악들 무료로 다운 많이 받았습니다
    그러면서 음악인들 저작권 보호 말이 나오고

    지금은 돈내고 다운받잖아요 그런식이 되는겁니다.

  • 25. 0000
    '25.4.27 8:50 AM (121.188.xxx.163)

    제가 소리 바다 예를 들었어요. 그때인터넷 막 보급되고 음악들 무료로 다운 많이 받았습니다
    그러면서 음악인들 저작권 보호 말이 나오고

    지금은 돈내고 다운받잖아요 그런식이 되는겁니다. 지금이야 무료지 에아이도 조만간 돈 지불하게 될걸요. 저작료처럼

  • 26. 00000
    '25.4.27 8:51 AM (121.188.xxx.163)

    저작권으로 AI 활용을 막는다는 건 국가가 나아가고자 하는 방향과 맞지가 않을 것 같아요.- 이해를 못하시네
    무료 되는게 돈을 내고 사용하게 될거라구요
    특히 상업적이용하면 처벌도 강화되구요

  • 27.
    '25.4.27 8:51 AM (223.38.xxx.78)

    부자들은 사람이 디자인하고 만든 한정판 옷 입고
    그렇지 않은 사람들은 AI 묻은 대량생산된 옷 입고..


    그런데 결과물이 후자가 더 아름답다면요?
    그리고 정말 무서운 게 뭐냐면 AI는 빠르게 누적 학습이 가능하대요. 그러니까 만약에 부자들을 위해서 사람이 만든 한정판 옷이 나왔는데 그 옷이 정말 아름답다는 평가가 생기면 이걸 AI가 바로 습득을 해서 이제까지 본인이 만들었던 가장 아름다운 옷들과이 한정판 옷을 또 접목시켜서 더욱 아름다운 옷을 만들어내는 거예요. 그것도 순식간에.

  • 28. 000
    '25.4.27 8:52 AM (121.188.xxx.163)

    댓글을 쓰면뭐해요 이해를 못하시는데... 그리고 자꾸 옷이야만으로 한정지으실까?

  • 29. 00000님
    '25.4.27 8:52 AM (223.38.xxx.78)

    물론 지금 음원을 다운받을려면 돈을 내야하죠? 하지만 우리가 돈을 내지 않고도 인터넷이나 YouTube를 통해서 공짜로 그 음악을 듣는 방법은 수도 없이 많잖아요.

  • 30. 저도
    '25.4.27 8:53 AM (211.211.xxx.168) - 삭제된댓글

    저 양상 좋아하는데 디자이너 대체용이라고는 생각도 안해 봤는데
    특이한 해석이네요,

    전 영화나 애니 대체라고 생각 했는데요,

  • 31. 223.38
    '25.4.27 8:54 AM (121.188.xxx.163)

    상업적이용...... 말하는 겁니다. 그것으로 인해 돈을 벌면 창작자에게 돈을 지불하는 방식으로 갈겁니다

  • 32. 223.38
    '25.4.27 8:55 AM (121.188.xxx.163)

    유툽도 라이브 영상에 다른 음악 나오면 저작권으로 영상내리게되요
    그리고 홍보용 음악영상은 유툽광고 비용으로 지불해줍니다

  • 33. 223.38
    '25.4.27 8:55 AM (121.188.xxx.163)

    님은 창작자를 보호할 생각이 없으신건가요? 이건 법으로 만들어야죠

  • 34. 그런데
    '25.4.27 8:56 AM (223.38.xxx.156) - 삭제된댓글

    상업적이용...... 말하는 겁니다. 그것으로 인해 돈을 벌면 창작자에게 돈을 지불하는 방식으로 갈겁니다


    그런데 저작권을 적용시키기가 어려운 게 그걸 어떻게 판단을 하죠? 아예 저 영상처럼 그 회사 로고를 떡하니 붙이는 거 빼고는 증명할 방법이 없잖아요.
    하물며 그림이나 음악은 더할 거구요.
    예를 드신 소리바다. 같은 경우는 음원을 처음부터 끝까지 그대로 돌려주는 거고
    AI는 변형을 시켜달라고 넣으면 바로 변형을 해주거든요. 그러니까 저작권이 적용이 안 되지 않나요? 변형이 되었는데 어떻게 저작권이에요.

  • 35. 그런데
    '25.4.27 8:58 AM (223.38.xxx.156)

    상업적이용...... 말하는 겁니다. 그것으로 인해 돈을 벌면 창작자에게 돈을 지불하는 방식으로 갈겁니다


    그런데 저작권을 적용시키기가 어려운 게 그걸 어떻게 판단을 하죠? 아예 저 영상처럼 그 회사 로고를 떡하니 붙이는 거 빼고는 증명할 방법이 없잖아요.
    하물며 그림이나 음악은 더할 거구요.
    예를 드신 소리바다같은 경우는 음원을 처음부터 끝까지 그대로 들려주니까 저작권을 적용시킬 수 있지만.
    AI는 변형을 시켜달라고 넣으면 바로 변형을 해주거든요. 그러니까 저작권이 적용이 안 되지 않나요? 변형이 되었는데 어떻게 저작권을 적용시키나요. 어차피 비슷한 풍의 멜로디의 비슷한 풍의 그림은 세상에 널렸으니까요.

  • 36. 컴퓨터 스마트폰이
    '25.4.27 8:59 AM (223.38.xxx.104)

    나오면서 수없이 많은 직업이 없어지고 공장문을 닫았어요. 예를 들면 예전에는 수첩을 다 돌고 다녔잖아요. 이제 수첩 공장 다 문 닫았고 달력 공장 다 문 닫았고 옛날에 운전할 때 항상 지도책을 갖고 다니는데 지도책 공장 다 망했고요.

  • 37. 223.38
    '25.4.27 9:00 AM (121.188.xxx.163)

    ㅎㅎㅎㅎ 그당시 소리 바다도 이렇게 될줄 알았나요?
    창작자의 목소리가 커지고 법이 만들어 지겠죠

    그게 꾸준히 창작자들이 내고 있어요 영화인 문화 예술인들 .. 그럼 법안이 만들고
    제제가 들어가죠? 님은 무료로 막 상업적으로 쓰고싶은가요?

    각 나라들이 창작자 보호 하기위해 법을 만들겁니다

  • 38. 223.38
    '25.4.27 9:01 AM (121.188.xxx.163)

    지브리 그림체를 이용해 상업적으로 이용하면 .. 저작권료를 내야 하고
    어느 디자이너 옷이나 그림체를 이용하면 저작권료를 내서 써야 하는겁니다.

    그게 에아이가 퍼트린거라도요. 무조건 그 수단으로 돈을 벌면.

    돈을 지불해야 하죠... 그럼 무단으로 쓰게 그냥 둬요?

  • 39. ㅇㅇ
    '25.4.27 9:02 AM (168.126.xxx.141) - 삭제된댓글

    일단 제 취향이 아니라서인지 전혀 이뻐보이지 않네요.
    한복 형식만 대충 따라한것같은 짝퉁처럼 보여요.

    그리고 다른분들 말씀처럼
    창작에 대한 존중과 법적 보호가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 40. 확실한건
    '25.4.27 9:03 AM (223.38.xxx.23) - 삭제된댓글

    AI에게 저작권을 따지기에는 AI는이 저작권 자체가 적용이 안되도록 변형을 해서 결과물을 낼 수 있다는 거예요.
    그리고 저작권의 창작물들도 기존의 무언가를 바탕으로 자기만의 색깔을 입힌 거잖아요.
    AI가 지금 똑같이 그렇게 하고 있어요.
    오히려 디자이너들이 AI를 베꼈을 때 저작권 소송이나 안 당하면 다행이겠습니다.

  • 41. 223.28
    '25.4.27 9:04 AM (121.188.xxx.163) - 삭제된댓글

    법이 더 강화 되게 갈거라는데. 님 창작자 일쪽아세요? 왜 자꾸 보호 하기 보다 무단으로 쓰고싶다고
    느껴지지요?

  • 42. 확실한건
    '25.4.27 9:04 AM (223.38.xxx.23)

    에게 저작권을 따지기에는 AI는이 저작권 자체가 적용이 안되도록 변형을 해서 결과물을 낼 수 있다는 거예요.
    그리고 저작권의 창작물들도 기존의 무언가를 바탕으로 자기만의 색깔을 입힌 거잖아요.
    AI가 지금 똑같이 그렇게 하고 있어요. 사람창작자처럼 누적학습후 창조를 해요.
    이렇게 본다면
    오히려 디자이너들이 AI를 베꼈을 때 ai회사에 저작권 소송을 당할수도 있겠어요.

  • 43. 00000
    '25.4.27 9:05 AM (121.188.xxx.163)

    법이 더 강화 되게 갈거라는데. 님 창작자 일쪽아세요? 왜 자꾸 보호 하기 보다 무단으로 쓰고싶다고
    느껴지지요?

    창작자 보호

    법이 강화되게 앞으로 갈거라 말하는거잖아요

  • 44. 영통
    '25.4.27 9:06 AM (106.101.xxx.155)

    저 50대 중반 넘어섰는데

    저거 배우고 있어요..강의료 100만원

    그런데 AI 도구 유료 가입해야하는데

    챗지피티에서부터 이런저런 AI한 달에 10만원 듭니다

  • 45.
    '25.4.27 9:08 AM (223.38.xxx.23) - 삭제된댓글

    저는 AI 창작자는 아니구요. 그런데 여기 아마 예술이라든가 창작으로 직업으로 하시는 분이나 가족분들이 꽤 있으신 모양입니다. 그런 분들한테는 상당히 불편할 그릴 수 있겠어요?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변화하는 세상에 대한 토론은 좀 있어야 되지 않겠어요?
    예전엔 처음 AI 나올 때 예술과 영역은 건드리지 못할 거라고 했는데 여기까지 건드려지니까 지금 다들 멘붕인 거 같기는 해요.
    어쨌든 현재 의료와 변호사 쪽에서는 AI를 적극 활용한다고는 하네요.
    원래 시니어 변호사가 신입 변호사 월급 조금 주면서 가르치면서 일을 시키는 건데 그 신입 변호사 일을 AI가 해주고 있고
    의료 영역은 특히 판독 영역 그다음에 간단한 피부 질환은 AI가 웬만한 경력 낮은 의사들보다 나와서 많이 활용을 하고 있대요. 문제는 AI가 지금 아주 초창기인데도이 정도.
    앞으로 AI에 집어넣을 정보가 무궁무진할텐데 이것들이 다 AI에 들어가게 되면 진짜 AI를 뛰어넘을 분야는 없을 거 같아요.
    이젠 다들 몸 쓰는 일을 할 생각을 해야지 않나 싶네요. 그것도 단순 노동은 로봇한테 대체될 테니까 고기능 노동요.

  • 46. 영통님
    '25.4.27 9:09 AM (118.235.xxx.197) - 삭제된댓글

    저 작년에 영상편집(프리미어.애펙)과 유튜브 기획편집 수강 수료했어요.
    님이 배우신다는 수업 어떤걸로 찾으면 되나요? 저도 듣게요.

  • 47.
    '25.4.27 9:10 AM (223.38.xxx.23)

    저는 AI 창작자는 아니구요. 그런데 여기 아마 예술이라든가 창작으로 직업으로 하시는 분이나 가족분들이 꽤 있으신 모양입니다. 그런 분들한테는 상당히 불편할 그릴 수 있겠어요.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변화하는 세상에 대한 토론은 좀 있어야 되지 않겠어요.
    몇년전 처음 AI 나올 때 예술이나 창의력 심리상담영역은 건드리지 못할 거라고 했는데 여기까지 건드려지니까 지금 다들 멘붕인 거 같기는 해요.
    어쨌든 현재 최고 지적분야인 의료와 변호사 쪽에서는 AI를 적극 활용한다고는 하네요.
    원래 시니어 변호사가 신입 변호사 월급 조금 주면서 가르치면서 일을 시키는 건데 그 신입 변호사 일을 AI가 해주고 있고,
    의료 영역은 특히 판독 영역 또 피부 질환쪽은 AI가 웬만한 경력 낮은 의사들보다 나아서 많이 활용을 하고 있대요. 문제는 AI가 지금 아주 초창기인데도 이 정도라는것.
    앞으로 AI에 집어넣을 정보가 무궁무진할텐데 이것들이 다 AI에 들어가게 되면 진짜 AI를 뛰어넘을수 있는 분야는 없을 거 같아요.
    이젠 다들 몸 쓰는 일을 할 생각을 해야지 않나 싶네요. 그것도 단순 노동은 로봇한테 대체될 테니까 고기능 노동요.

  • 48. 000
    '25.4.27 9:12 AM (121.188.xxx.163) - 삭제된댓글

    창작자들이 백수되고 망한다고 하시는데

    유럽 화가들이 직업으로 궁정이나 귀족에게 소속이 되어 돈을 벌었죠
    그런데 사진이라는 기술이 발명이되고 그 사람들이 직업을 잃게 되자
    다른 방향으로 창작이 나옵니다 . 인상주의 같은 화가들이죠.

    또 당시 다른방향으로 화가들이 돈을 벌게되죠

    새로운 산업이 생기면 다른 방법으로 길을 찾지. 그렇다고 망하진 않아요

    가장 중요한것은,창작자의 저작권은 보호해야 한다봅니다.

    그러니 헐리우드 배우들도 항의 하는거구요.

  • 49. 000
    '25.4.27 9:13 AM (121.188.xxx.163)

    창작자들이 백수되고 망한다고 하시는데

    유럽 화가들이 직업으로 궁정이나 귀족에게 소속이 되어 돈을 벌었죠
    그런데 사진이라는 기술이 발명이되고 그 사람들이 직업을 잃게 되자
    다른 방향으로 창작이 나옵니다 . 인상주의 같은 화가들이죠.

    또 당시 다른방향으로 화가들이 돈을 벌게되죠

    새로운 산업이 생기면 다른 방법으로 길을 찾지. 그렇다고 망하진 않아요

    가장 중요한것은,창작자의 저작권은 보호해야 한다봅니다.

    그러니 헐리우드 배우들도 항의 하는거구요.

    제 생각은 그렇습니다. 아마 에아이도 사용하는데 한달에 얼마 내게 할겁니다
    넷플릭스 처럼요. 그럼 그회사들이 창작자에게 돈을 지불하겠죠

  • 50. 000
    '25.4.27 9:15 AM (121.188.xxx.163) - 삭제된댓글

    지금은 쳇 지피티나 에이이들 쓰는게 무료지 활성화 되면 한달에 일정돈을 지불하게 만들겁니다.
    유툽은 광고로 대신 돈을 내게 하고...

    앞으로 그런 시스템으로 가겠죠. 애플 뮤직도 한달 돈내고 다운받게 이런거처럼요

  • 51. ai가
    '25.4.27 9:17 AM (223.38.xxx.171)

    제일 무서운 건 순식간에 누적 학습을 하고 이걸 바탕으로 새로운 걸 만들어낸다는 거예요. 즉 AI가 독자적으로 창작을 한다는 겁니다.
    아무리 저작권으로 막으려고 해도 나름 독자적으로 창작하는 걸 어떻게 막나요?
    김지석 챗지피디 2탄을 보니까 솔직히 소름 돋더라고요. 첫번째 김지석과 대화했던 것들을 기억해서 능수능란하게 대화를 이어가는데 사람처럼 가끔씩 웃는 포인트도 넣고 챗GPT가 웃는 거 보니까 소름이 돋던데요. 이거 보니까 이제 PD들도 소름 끼치겠다 싶구요.
    예능 대본 작가들이 긴장하겠더라고요.
    어쩌면 이미 정말 많이 활용하고 있을지도 모르겠고
    그리고 무엇보다도 예능 프로에 사람인 척하고 앉혀놔도 예능감 있는 사람인 줄 믿겠어요.

  • 52. 223.38
    '25.4.27 9:18 AM (121.188.xxx.163) - 삭제된댓글

    에아이 활용 분야마다 다르기에 저작권을 쓸지 아닐지 다르겠죠 그러나 창작자가 있는데 도용되는것은
    분명 법으로 강화될겁니다. 자꾸 이 말을 하는데 못막는다 이러시네....

    그런데 시대에 맞춰 법이 강화될거라 주장해도 어떻게 막냐... 이렇게만 하고
    미래일을 원글이 아시나요?
    그러니 창작자들이 목소리 내는거구요.

  • 53. 223.38
    '25.4.27 9:19 AM (121.188.xxx.163)

    에아이 활용 분야마다 다르기에 저작권을 쓸지 아닐지 다르겠죠 그러나 창작자가 있는데 도용되는것은
    분명 법으로 강화될겁니다. 자꾸 이 말을 하는데 못막는다 이러시네....

    그런데 시대에 맞춰 법이 강화될거라 주장해도 어떻게 막냐... 이렇게만 하고
    미래일을 원글이 아시나요?
    그러니 창작자들이 목소리 내는거구요. 왜그리 똑같은 말만 반복하는지 참...

  • 54. 그냥
    '25.4.27 9:26 AM (118.235.xxx.247) - 삭제된댓글

    대부분의 사람들이 원글처럼 생각합니다 ㅎ
    그러니 ai가 발전해도 돈 버는 사람은 따로 있는 거예요

  • 55. ㅇㅇ
    '25.4.27 9:28 AM (168.126.xxx.141) - 삭제된댓글

    ai는 인간의 학습능력을 구현한 머닝러신이라고 이해하고 있는데
    그말은 인간의 창작능력을 계속 따라한다는 얘기 아닌가요?

    원글은 자꾸 ai가 창작한다고 얘기하는데 다시한번 알아보시는게 좋을듯

  • 56.
    '25.4.27 9:32 AM (118.235.xxx.13)

    생로랑 검정한복은 진짜 그냥 바로 입어도 될것같아요

  • 57. 한복도 한복이지만
    '25.4.27 10:04 AM (58.127.xxx.25)

    모델 퀄 보고 깜짝 놀랐어요 2-3년전 가상인간들이랑 달리 어색함이 하나도 없네요 진짜 brave new world네요

  • 58. 오우야..
    '25.4.27 10:17 AM (183.97.xxx.35) - 삭제된댓글

    아름답고 완벽

  • 59. 00
    '25.4.27 10:39 AM (211.246.xxx.116)

    50
    영통

    '25.4.27 9:06 AM (106.101.xxx.155)

    저 50대 중반 넘어섰는데

    저거 배우고 있어요..강의료 100만원

    그런데 AI 도구 유료 가입해야하는데

    챗지피티에서부터 이런저런 AI한 달에 10만원 듭니다


    ㅡㅡㅡㅡ

    영통님 그래서 배운 거 투자대비 잘 버시나요?
    연령 제한 없이 무슨 일 하시나
    전망은 어떤가 궁금해서요.

  • 60. 두번째
    '25.4.27 10:54 AM (223.38.xxx.199) - 삭제된댓글

    샤넬한복과 생로랑한복은 지금 입고 나가도 되겠다 싶죠?
    한복+명품브랜드 특징+아름다움 +실용성
    네 가지를 다 갖췄어요!

  • 61. 두번째링큰
    '25.4.27 10:55 AM (223.38.xxx.199)

    샤넬한복과 생로랑한복은 지금 입고 나가도 되겠다 싶죠?
    한복+명품브랜드 특징+아름다움 +실용성
    네 가지를 다 갖췄어요!
    특히 검정 생로랑 한복은 너~무 세련되었어요

  • 62. 평면으로
    '25.4.27 11:10 AM (59.7.xxx.113)

    볼수 있는 것(그림 영상 서류)은 AI가 장악하겠죠. 근데 챗gpt가 지금 대화하는거 보면 엄청 똑똑하잖아요? 그게 어떻게 가능하겠어요? 82자게를 봐도 다들 너무 좋아하면서 쓰고 있죠. 샘알트만이 앓는 소리를 하며 gpu 녹는다고..지브리 스타일 그림만드는거 그만 하라고 하지만..

    챗gpt는 단시간에 정말 어마어마한 실제 사진이라는 데이터를 먹어치운거예요.

    이렇게 사람들이 재미있고 편안해서 마구 퍼먹여주는 그 데이터가 인공지능의 밥이 됩니다.

    지금은 인공지능이라는 아기를 키우는 단계니까 다들 돈을 들여서 귀여워하며 예뻐하며 정보를 마구 먹여주고 있죠. 이건 소리바다와 비교될게 아니죠.

    그리고 디자이너와 실제 만드는 것을 놓고 보자면..

    성공하는 디자인은 실제로 만들어질 수 있는 것이어야겠죠. 우리가 상상하는 모양으로 만든 컨셉카 중에 실제 상용화 되는건 거의 없죠. 그 중의 일부부분만 따오는거지.

    다만 평면으로 보고 끝나는 부분은..사람의 손이 필요없으니 AI가 점령하겠죠.

    몇년전에..코로나 터지기 전이었는데요, 컴퓨터에 렘브란트 그림을 많이 넣어주고 렘브란트풍으로 그림을 그려보라고 하니..기가 막히게 렘브란트 모작을 내놓더래요.

    점점 저작권의 기준도 모호해지겠죠.

    중요한건 사람들이 모작을 많이 보면 볼수록 모작과 원작을 구분하기 어려워진다는 거죠.

    어쩜 내가 지금 하는 생각도 내것이니 어디서 듣고 배운건지 모를걸요.

    아니..사실은 전부 듣고 배운거죠. 그러면 인공지능이 취합한 정보로 만든 생산물도 마찬가지 아닐까요?

    인간의 뇌가 모방학습에서 추론을 거쳐 새로운 생각을 내놓듯이 인공지능도 데이터습득을 하다가 추론을 거쳐 새로운 생각을 내놓게 되면.. 그것을 창작이 아니라고 할수 있을까요?

  • 63. .....
    '25.4.27 11:28 AM (119.71.xxx.80) - 삭제된댓글

    창작자도 천재급들만 살아남을 거예요

    영상보니 정말 감탄스럽네요
    브랜의 아이덴티티가 녹아있어요 ㅠ

  • 64. .....
    '25.4.27 11:29 AM (119.71.xxx.80)

    창작자도 천재급들만 살아남을 거예요

    영상보니 정말 감탄스럽네요
    브랜드의 아이덴티티가 녹아있어요 ㅠ

  • 65. 나이스고스트
    '25.4.27 12:13 PM (14.7.xxx.43)

    각 국가마다 공유가치 개념이 커져서 사진이나 그림 퍼블릭도메인 오픈소스로 정말 많이 생산되고 있어요 저작권 강화 개념으로는 산업이 살아남지를 못해요

  • 66. 어머나
    '25.4.27 12:35 PM (223.38.xxx.69)

    https://youtube.com/shorts/P154iE-0Cy4?si=fsfZD7UoVO68uURn

    그것도 보세요. 이건 5~6살 여자애들한테 명품별 한복 입혀놓은 거예요. 보테가베네타 한복 , 샤넬한복 너무 이뻐요~

  • 67. ....
    '25.4.27 1:23 PM (175.194.xxx.151) - 삭제된댓글

    저렴한 옷들은 단순한 바느질 즉 오바로크나 삼봉 같은 기계로 되지만 일반 봉제미싱 영역은 사람의 디테일한 손놀림이 필요합니다
    인간의 손가락을 닮은 수준의 로봇이 나온다면 모를까요

    고퀼의 비싼 숙녀복은 사람손의 영역 입니다

  • 68. ㅇㅇ
    '25.4.27 2:09 PM (211.36.xxx.74)

    걍 그런데요...ㅠㅠㅠ

  • 69.
    '25.4.27 2:37 PM (1.237.xxx.38) - 삭제된댓글

    이런거 말고 힘든 작업 농업이나 공업에나 써먹어 외국인 유입이나 막아야하는데 에효

  • 70.
    '25.4.27 2:38 PM (1.237.xxx.38) - 삭제된댓글

    그냥 화려하다뿐이지 입고 싶다는 생각은 없어요
    이런거 말고 힘든 작업 농업이나 공업에나 써먹어 외국인 유입이나 막아야하는데 에효
    힘든건 아직도 아날로그인데요

  • 71.
    '25.4.27 2:39 PM (1.237.xxx.38)

    그냥 화려하다뿐이지 입고 싶다는 생각은 없어요
    이런거 말고 꺼리는 힘든 작업 농업이나 공업에나 써먹어 외국인 유입이나 막아야하는데 에효
    힘든건 아직도 아날로그인데요

  • 72.
    '25.4.27 2:45 PM (58.230.xxx.181)

    베르사체 부티의 끝판왕이네요

  • 73.
    '25.4.27 3:17 PM (211.235.xxx.147)

    별 감흥도 없는데 왠 오바를
    Ai가 아무리 발전해도 데이터의 결과물일뿐
    인간의 소울풀한 엉역은 침범할 수 없다고 봄

  • 74. 별로
    '25.4.27 3:31 PM (58.231.xxx.67)

    디자인들아 별로인데요
    한복에 뱀 그림이요?? ㅋㅋㅋㅋ
    옷들이 자연스럽지 않고 모두 중국옷 같아요

  • 75. 있는거
    '25.4.27 3:54 PM (59.7.xxx.217)

    가져다 만들어 낸거잖아요. 저게 창작은 아니잖아요.

  • 76. ㅇㅇ
    '25.4.27 3:59 PM (211.220.xxx.123)

    호불호야 탄다 쳐도 충분히 디자이너들이 참고할 만한 것들이 된다고 생각해요 저런 자료 중에서도 사람들의 호감을 더 많이 받는 데이터들이 모이고 더 나은 창조물을 만들어 가는 과정 자체가 인간하고 비교할 수없이 빠를텐데요

    지금 gpt 대화해 보면 얼마나 인간같나요
    처음보다 더 인간같쟎아요 많은 사람들이 얼굴 보여주고
    인간사 고민털어놓고 심리 상담하고 그러니 인간에 대한 이해도가
    어마어마하게 높아졋겠죠

    창작물도 빠른 속도로 업데이트 되고 인간의 영역을
    떠날 숭 ㅣㅆ다고 봐요

  • 77.
    '25.4.27 4:18 PM (211.235.xxx.147)

    제눈엔 다 이상하고 촌시러워요

  • 78. mm
    '25.4.27 4:46 PM (125.185.xxx.27) - 삭제된댓글

    근데 샤넬이니 구찌니..........한복에 브랜드이름은 왜 적어놓은거죠?
    우리나라 한복을 왜 외국브랜드를 적어놓고 난리?

    저 한복과 모델이 다 ai가 만든거라고요?

  • 79. 흠..
    '25.4.27 5:16 PM (221.138.xxx.71)

    부자들은 사람이 디자인하고 만든 한정판 옷 입고
    그렇지 않은 사람들은 AI 묻은 대량생산된 옷 입고..
    그런데 결과물이 후자가 더 아름답다면요?
    222222222222222

    이게 지금 명품시장이 망하고 있는 이유인 것 같아요.
    천만원 짜리 샤넬 들어봤자 그다지 아름답지 않은 거죠...

    게다가 만들기는 어차피 중국 공장에서 공업용 미싱으로 드륵드륵 박아내니까요.
    공장에서 만든 양상품을 천만원 주고 살 이유가 없어진거죠.
    특별하지 않으니까요..
    오히려 호구 소리만 듣는다는....

  • 80. ...
    '25.4.27 6:20 PM (125.177.xxx.34) - 삭제된댓글

    두번째링크 생로랑 시크하면서도 이쁘네요
    로제가 입으면 진짜 잘 어울릴듯 ㅋ
    마지막 링크에 구찌는 이질적인 느낌없이 자연스럽게 그냥 전통한복 같아요
    모델들도 정형화되지 않은 한국모델 느낌 신기하네요

  • 81. ...
    '25.4.27 6:22 PM (125.177.xxx.34)

    두번째링크 생로랑 시크하면서도 이쁘네요
    로제가 입으면 진짜 잘 어울릴듯 ㅋ
    마지막 링크에 구찌는 이질적인 느낌없이 자연스럽게 그냥 전통한복 같아요
    모델들도 정형화되지 않은 한국모델 느낌 신기하네요
    진짜 저렇게 생긴 한국 사람 있을듯

  • 82. ㅡㅡ
    '25.4.27 6:50 PM (58.82.xxx.68)

    램브란트 이미지는 따라 만들수 있지만
    붓터치는 따라하기 힘들어요
    물리적으로 구현하는건 인간몫이죠
    그보다 프로젝트를 스스로 시작하질 못하잖아요
    어시스턴트 역할정도 하는거죠
    완전한 자율성이 가능할지 모르겠네요

  • 83. ..
    '25.4.27 7:53 PM (39.7.xxx.151)

    지금도 목소리 구분도 하기 어려워요. 발전하면 사람보다 더 잘하거나 구분 안되는 거 얼마든지 가능하겠죠.
    그래서 출생률이 낮아지고 인구가 줄어드는 건가도 싶네요. 자연적으로 균형 맞추려고요. 일자리도 줄고 사람도 줄고..

  • 84. 판다댁
    '25.4.27 8:02 PM (172.225.xxx.239)

    아직도ai인정못하고 의심많으신분들
    계속그러셔요
    흐름에 뒤쳐질수밖에요
    빨리배우고 익히고 이용하는 자만이 앞설겁니다

  • 85.
    '25.4.27 9:01 PM (211.235.xxx.147)

    Ai의 한계를 인정해야지
    뭘 인정못한다고 ㅎ

  • 86. 한복
    '25.4.27 9:35 PM (180.71.xxx.214)

    이쁘데서 그것만 봤는데

    저건 무슨 기생들이입는 옷 아니에요 ?
    일반 한복이 아니잖아요
    그리고 한복의 고유한 아름다움를 해체하고
    저고리를 심하게 짧게 해서 노출을 심하게 유도했네요
    저게 무슨 한복인가요

    한복에서 영감받은 노출 의상이죠

  • 87. Rossy
    '25.4.27 11:23 PM (112.159.xxx.46)

    일하다가 챗gpt한테 뒤통수 맞아보신 분들 여기는 없나보네 ㅋㅋㅋㅋ 거짓말 엄청 잘하고요 없는 말도 제멋대로 지어냅니다
    유료버전도 그래요. 그리고 AI로 생성된 이미지 결과물이 너무 많아져서, 그걸 재학습한 AI 결과물의 퀄리티가 낮아지는 현상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툴을 잘 사용하는 일부 디자이너들은 살아남을거고 신규 진입자들은 줄어들 것 같긴 해요

  • 88.
    '25.4.28 1:28 AM (174.164.xxx.170)

    툴은 툴이에요. 저작권 같은 거 안중 없는 나라 어디게요? 중국이요.

  • 89. 0000
    '25.4.28 2:14 AM (49.173.xxx.147)

    *Ai로 생산된 한복 창작물

  • 90. 소신발언
    '25.4.28 2:29 AM (121.136.xxx.65)

    제 눈에는 디자인이 아직은 싼티나게 보여요.
    AI가 완벽해질 날이 오겠지만 지금은 많은 보완이 필요한듯 합니다.

  • 91. 아이구야
    '25.4.28 7:59 AM (116.38.xxx.203)

    핸드폰게임하면 양산형중국게임 광고에 나오는
    그런 한복같구만요.
    그 게임 아시는분은 뭔말일지 아실꺼에요ㅋ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707686 실온에 방치했던 소고기 먹어도 될까요? 5 ㅇㅇ 2025/04/27 644
1707685 울 집 고딩 낼 부터 시험 이네요... 2 고1 2025/04/27 956
1707684 5월 연휴 뭐하시나요 5 ㅡㅡ 2025/04/27 2,267
1707683 세탁용 화이트 식초 구입할때 주의 사항 있을까요? 6 식초 2025/04/27 941
1707682 산에 왔어요. 참 좋네요 8 좋아 2025/04/27 2,033
1707681 누구일까요? 7 .. 2025/04/27 1,061
1707680 밥잘사주는 예쁜누나 재밌나요? 9 드라마 2025/04/27 1,609
1707679 흰머리 외출시 바르는거 추천해주세요 5 ... 2025/04/27 1,981
1707678 김밥싸먹는데요 9 요즘 2025/04/27 2,682
1707677 40대에 양가 부모님 다 안계시는 경우 있나요? 19 000 2025/04/27 3,196
1707676 분당우리교회 문의요 3 1111 2025/04/27 1,130
1707675 나이 들면 사람이 싫어지나요 27 2025/04/27 4,950
1707674 앞집이 문 앞에 너무 많은 물건을 내놓는데요 10 2025/04/27 3,234
1707673 발사믹식초 유통기간 한참 지났는데 버려야하죠? 4 ㅎㅎ 2025/04/27 1,254
1707672 하루 만남 전 장소 바꾼 남자 후기 (어죽) 170 궁금하다 2025/04/27 17,864
1707671 비대면 계좌개설, 여신거래 등 차단했는데 나중에 해지 방법요 7 고민 2025/04/27 2,038
1707670 생활비 어떤지 좀 봐주세요. 3 다른것들 2025/04/27 1,371
1707669 뇌검사상 이상은 없다고 했는데 10 .. 2025/04/27 1,637
1707668 요양원에 입소하시는데 실내복 추천이요 5 금수저 2025/04/27 1,085
1707667 유아인 법정구속시킨 판사가 지귀연인거 아셨어요? 33 와.. 2025/04/27 5,933
1707666 펌)어차피 고통은 1/n 겪어보지 않으면 모른다 6 맑은햇살 2025/04/27 1,371
1707665 2박으로 빌라쥬 드 아난티 가요 3 …… 2025/04/27 1,380
1707664 다정한 양육은 어떻게 아이를 망치는가 9 스트 2025/04/27 2,608
1707663 노트븍패드에서 복사/붙여놓기는 ctrl+c 만 되는 것인가요? 3 노트북 2025/04/27 275
1707662 뉴스를 보는데 남아나운서 외모가 8 뉴스 2025/04/27 2,7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