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성경속 빌라도총독에 관한글 찾아주세요~

성경 조회수 : 682
작성일 : 2025-04-22 19:00:01

얼마전에 올라온글인데 읽고싶어서 찾으니 못찾겠어요

IP : 121.144.xxx.108
6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25.4.22 7:08 PM (183.99.xxx.230)

    어머. 저도 찾고 있었어요.
    빌라도가 예수님을 탄압한 게 맞냐.? 뭐 이런 내용이었죠?

  • 2. 여기
    '25.4.22 7:13 PM (58.127.xxx.169)

    https://www.82cook.com/entiz/read.php?bn=15&num=3984186&page=1&searchType=sear...

  • 3. 원글
    '25.4.22 7:17 PM (121.144.xxx.108)

    윗님 감사합니다

  • 4. 당시
    '25.4.22 7:39 PM (110.70.xxx.94) - 삭제된댓글

    이스라엘에겐 사형집행권이 없었어요. 로마 총독에게 있었습니다. 십자가형 역시 로마의 처형법였구요. 로마 정부에 대항한 정치범이나 흉악범에게 언도하는 극형이었어요. (너무 참혹해서 로마 시민에겐 금지하고 노예나 식민지 백성에게 내리는 처형이었죠. 그래서 사도 베드로나 안드레 등과 달리 사도 바울은 로마 시민권이 있어 십자가형을 안 받고 참수 당했다는..)

    본디오 빌라도가 예수 처형에 소극적이었던 건 맞지만 결국 사형언도는 그의 이름으로 내려졌고 예수는 공식적으로 로마 체제에 대한 반역자로서 십자가형이라는 공개처형을 당한 거니까요. 그래서 역사도 본디오 빌라도의 죄로 기억을 하는 것 같습니다.

    그렇다 해도 처벌을 주도한 유대인 지도자들(산헤드린 공의회, 헤롯 등)의 이름은 왜 거론되지 않느냐.. 이건 개인적으로 사도신경이 만들어진 시대 배경과 연관이 있지 않을까 생각이 들어요. 사도신경은 4세기 로마신경에서 시작되어 7-8세기 확정됐다고 하는데.. 당시 이스라엘은 해체된지 오래고(AD 70년 멸망) 로마는 건재했으니까요. 공중분해된 이스라엘 지도자들보다는 살아있는 로마권력을 더 의미심장하게 기억하지 않았을까요. 4세기 기독교 공인 전까지 로마의 기독교 박해는 가공할만했으니 그 흐름 속에 있는 초기 크리스찬들에겐 그것이 예수 탄압의 연속선상에 있다고 여겼을 수 있을 것 같아요.

  • 5. ...
    '25.4.22 7:41 PM (110.70.xxx.94) - 삭제된댓글

    사도신경에 본디오 빌라도가 언급되는 이유에 대한 개인적인 추측 :

    당시 이스라엘에겐 사형집행권이 없었어요. 로마 총독에게 있었습니다. 십자가형 역시 로마의 처형법였구요. 로마 정부에 대항한 정치범이나 흉악범에게 언도하는 극형이었어요. (너무 참혹해서 로마 시민에겐 금지하고 노예나 식민지 백성에게 내리는 처형이었죠. 그래서 사도 베드로나 안드레 등과 달리 사도 바울은 로마 시민권이 있어 십자가형을 안 받고 참수 당했다는..)

    본디오 빌라도가 예수 처형에 소극적이었던 건 맞지만 결국 사형언도는 그의 이름으로 내려졌고 예수는 공식적으로 로마 체제에 대한 반역자로서 십자가형이라는 공개처형을 당한 거니까요. 그래서 역사도 본디오 빌라도의 죄로 기억을 하는 것 같습니다.

    그렇다 해도 처벌을 주도한 유대인 지도자들(산헤드린 공의회, 헤롯 등)의 이름은 왜 거론되지 않느냐.. 이건 개인적으로 사도신경이 만들어진 시대 배경과 연관이 있지 않을까 생각이 들어요. 사도신경은 4세기 로마신경에서 시작되어 7-8세기 확정됐다고 하는데.. 당시 이스라엘은 해체된지 오래고(AD 70년 멸망) 로마는 건재했으니까요. 공중분해된 이스라엘 지도자들보다는 살아있는 로마권력을 더 의미심장하게 기억하지 않았을까요. 4세기 기독교 공인 전까지 로마의 기독교 박해는 가공할만했으니 그 흐름 속에 있는 초기 크리스찬들에겐 그것이 예수 탄압의 연속선상에 있다고 여겼을 수 있을 것 같아요.

  • 6. 포로리2
    '25.4.22 7:42 PM (110.70.xxx.94)

    사도신경에 본디오 빌라도가 언급되는 이유에 대한 개인적인 추측 :

    당시 이스라엘에겐 사형집행권이 없었어요. 로마 총독에게 있었습니다. 십자가형 역시 로마의 처형법였구요. 로마 정부에 대항한 정치범이나 흉악범에게 언도하는 극형이었어요. (너무 참혹해서 로마 시민에겐 금지하고 노예나 식민지 백성에게 내리는 처형이었죠. 그래서 사도 베드로나 안드레 등과 달리 사도 바울은 로마 시민권이 있어 십자가형을 안 받고 참수 당했다는..)

    본디오 빌라도가 예수 처형에 소극적이었던 건 맞지만 결국 사형언도는 그의 이름으로 내려졌고 예수는 공식적으로 로마 체제에 대한 반역자로서 십자가형이라는 공개처형을 당한 거니까요. 그래서 역사도 본디오 빌라도의 죄로 기억을 하는 것 같습니다.

    그렇다 해도 처벌을 주도한 유대인 지도자들(산헤드린 공의회, 헤롯 등)의 이름은 왜 거론되지 않느냐.. 이건 개인적으로 사도신경이 만들어진 시대 배경과 연관이 있지 않을까 생각이 들어요. 사도신경은 4세기 로마신경에서 시작되어 7-8세기 확정됐다고 하는데.. 당시 이스라엘은 해체된지 오래고(AD 70년 멸망) 로마는 건재했으니까요. 공중분해된 이스라엘 지도자들보다는 살아있는 로마권력을 더 의미심장하게 기억하지 않았을까요. 4세기 기독교 공인 전까지 로마의 기독교 박해는 가공할만했으니 그 흐름 속에 있는 초기 크리스찬들에겐 그것이 본디오 빌라도의 예수 탄압의 연속선상에 있다고 여겨졌을 수 있을 것 같아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703940 (한줄스포)영화 “야당” 보고 왔습니다 7 꼭보세요! 2025/04/22 2,096
1703939 국가는 왜 실패하는가(대런 에쓰모글루..) 같이 읽으실래요? -.. 1 Amu 2025/04/22 601
1703938 50후반 남자는 재취업? 11 ... 2025/04/22 2,896
1703937 배우자를 잃게될 두려움 13 겪고계신분 2025/04/22 6,821
1703936 군대보다 국민이 강한 나라 1 감동사연 2025/04/22 559
1703935 햇양파를 샀는데 잘라보니 색이 1 양파색 2025/04/22 1,841
1703934 친구를 만나고 두통 9 아아 2025/04/22 3,202
1703933 전업인데도 왜이렇게 할게 많나요.. 18 바빠 2025/04/22 6,201
1703932 쿠팡 타인카드결제요 3 현소 2025/04/22 1,093
1703931 손세정제 청소용으로 쓸수 있나요? 4 ... 2025/04/22 982
1703930 내가 가입한 보험 찾기? 1 궁금 2025/04/22 453
1703929 50대 후반 운동 추천해주세요 9 운동 2025/04/22 2,407
1703928 국힘 김문수·안철수·한동훈·홍준표 컷오프 통과 17 123 2025/04/22 4,879
1703927 사법부도 내란동조인건가요? 4 ㅇㅇ 2025/04/22 841
1703926 처음 듣는 새소리인데요 혹시 짐작되시는 분 계실까요? 12 .. 2025/04/22 1,394
1703925 80중후반 노인분 선물 문의드려요 5 ufg 2025/04/22 1,143
1703924 대문글에 사설 탐정해서 중간에 껴서 얘기한다는 글이요 2 대문글에 2025/04/22 1,074
1703923 성경속 빌라도총독에 관한글 찾아주세요~ 4 성경 2025/04/22 682
1703922 7시 정준희의 역사다방 ㅡ 반민특위실패 = 내란주범육성 .. 1 같이봅시다 .. 2025/04/22 443
1703921 5월2일 임시공휴일 되면 중간고사? 9 ㅋㅋ 2025/04/22 2,977
1703920 이낙연 전총리 연설 100만 돌파 35 ... 2025/04/22 2,593
1703919 지귀연판사 국회탄핵 동의 청원 부탁드립니다! 4 지귀연탄핵 2025/04/22 690
1703918 네이비색 가디건과 검정치마(코디조언부탁드려요) 22 ㅇㅇ 2025/04/22 1,722
1703917 콜롬비아 게이샤도 괜찮나요? 8 커피 2025/04/22 1,305
1703916 우리나라 편의점 수가 처음으로 줄었대요 3 ㅇㅇ 2025/04/22 2,180